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buyi:1_phonology:13_supra:13_supra [2017/06/07 15:49] 최소연 [13_supra : 초분절요소 (suprasegmental)] |
doc:buyi:1_phonology:13_supra:13_supra [2018/06/25 08:56] (현재) |
||
|---|---|---|---|
| 줄 1: | 줄 1: | ||
| - | # 13_supra : 초분절요소 (suprasegmental) : 100% | + | # 13_supra : 초분절요소 (suprasegmental) |
| - | ## (1) supra_length : 장단 (length) | + | - 부이어의 초분절요소에는 장단과 음조가 있다. |
| - | - 부이어는 장단의 구별이 있다. | ||
| - | - 단, ‘a, e, i, o, u, ɯ’ 등 6개 단모음이 운모(韻母)로 쓰일 때(‘자음+a/e/i/o/u/ɯ’) 이 들이 장단의 대립이 없고 모두 자음으로 실현된다. | ||
| - | - 운미(韻尾) 앞에 있는 긴 소리 [aː]는 [a], 짧은 소리 [a]는 [ɐ]에 해당된다. | ||
| - | - 운미(韻尾) 앞에 있는 긴 소리 [iː], [uː], [ːɯ]는 각각 [iə], [uə], [əɯ]에 해당된다. | ||
| - | ## (2) supra_pitch : 음조 (pitch) | ||
| - | - 양창 부이어에 성조는 8가지가 있다. | ||
| - | |||
| - | | 성조 유형 | 성조 값 | 예 | | ||
| - | | 제1조 | 35 | [na35] 두껍다 | | ||
| - | | 제2조 | 11 | [na11] 밭 | | ||
| - | | 제3조 | 13 | [na13] 낯 | | ||
| - | | 제4조 | 31 | [na31] 외삼촌 | | ||
| - | | 제5조 | 33 | [na33] 화살 | | ||
| - | | 제6조 | 53 | [ta53] 하천 | | ||
| - | | 제7조 장음 | 33 | [taː?33] 말리다| | ||
| - | | 제7조 단음 | 35 | [ta?35] 푸다 | | ||
| - | | 제8조 장음 | 53 | [zaː?53] 뿌리 | | ||
| - | | 제8조 단음 | 11 | [za?11] 훔치다 | | ||
| - | |||
| - | |||
| - | - 입성조인 제7조, 제8조는 각각 두 개의 성조 유형을 가지는데 이때 장음과 단음의 구별이 있다. | ||
| - | |||
| - | - 양창 부이어에 제7조의 두 가지 성조 값은 제5조, 제1조와 같고 제8조의 두 가지 성조 값은 제6조, 제2조와 같다. | ||
| - | |||
| - | - 양창 부이어의 대부분 자음은 모든 성조 유형과 어울릴 수 있지만 소수의 자음은 일정한 성조 유형과만 어울린다. 후두폐쇄 자음과 앞에 후두 폐쇄음이 딸린 유성 자음들이 보통 제1, 4, 5, 7조와 어울린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