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buyi:9_etc:91_borrowing [2017/06/25 19:08] 최소연 |
doc:buyi:9_etc:91_borrowing [2018/06/25 08:56] (현재) |
||
|---|---|---|---|
| 줄 4: | 줄 4: | ||
| - 들어온 시기에 따라 조기 차용어와 현대 차용어로 나뉠 수 있는데 후자는 부이어 어휘의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런 분류는 서로 다른 음운적 특징과 어휘적 특징을 드러나고 있다. | - 들어온 시기에 따라 조기 차용어와 현대 차용어로 나뉠 수 있는데 후자는 부이어 어휘의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런 분류는 서로 다른 음운적 특징과 어휘적 특징을 드러나고 있다. | ||
| - | # (1) 음운적 특징 | + | ### (1) 음운적 특징 |
| - | ## ① 조기 차용어의 음운적 특징 | + | #### ① 조기 차용어의 음운적 특징 |
| - 조기 차용어는 음운적으로 보통 고유어의 음운체계에 적응되어 다른 음소를 추가하는 일이 없다. | - 조기 차용어는 음운적으로 보통 고유어의 음운체계에 적응되어 다른 음소를 추가하는 일이 없다. | ||
| 줄 12: | 줄 12: | ||
| - 이때 중국어 차용어의 음운론적인 변동도 고유어의 음운 변동과 일치한다. | - 이때 중국어 차용어의 음운론적인 변동도 고유어의 음운 변동과 일치한다. | ||
| - | ## ② 현대 차용어의 음운적 특징 | + | #### ② 현대 차용어의 음운적 특징 |
| - 양창 부이어의 현대 중국어 차용어들이 중국어 서남관화(西南官話)에서 직접 차용한 것들이다. 이들은 고유어의 음운 체계에 완전히 적용할 술 없다. 새로운 자음과 모음이 추가되었다. 현대 중국어 차용어 때문에 새로 생긴 음소들은 다음과 같다. | - 양창 부이어의 현대 중국어 차용어들이 중국어 서남관화(西南官話)에서 직접 차용한 것들이다. 이들은 고유어의 음운 체계에 완전히 적용할 술 없다. 새로운 자음과 모음이 추가되었다. 현대 중국어 차용어 때문에 새로 생긴 음소들은 다음과 같다. | ||
| 줄 24: | 줄 24: | ||
| - 양창 부이어의 현대 중국어 차용어의 발음에는 방언 차이가 적다. 이들이 고유어의 음절구조 제약을 받지 않는다. | - 양창 부이어의 현대 중국어 차용어의 발음에는 방언 차이가 적다. 이들이 고유어의 음절구조 제약을 받지 않는다. | ||
| - | # (2) 어휘적 특징 | + | ### (2) 어휘적 특징 |
| - | ## ① 중국어 차용어의 분류 | + | #### ① 중국어 차용어의 분류 |
| - 조기 차용어는 대부분이 단음절 단어이고 현대 차용어는 주로 2음절 혹은 2음절 이상의 단어들이다. 현대 차용어는 부이어 어휘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 - 조기 차용어는 대부분이 단음절 단어이고 현대 차용어는 주로 2음절 혹은 2음절 이상의 단어들이다. 현대 차용어는 부이어 어휘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 ||
| - | ## ② 차용어의 구성 방식 | + | #### ② 차용어의 구성 방식 |
| - | ### Ⓐ 현지 서남관화의 발음을 그대로 차용한 경우 | + | ##### Ⓐ 현지 서남관화의 발음을 그대로 차용한 경우 |
| - 현재 중국어 차용어는 주로 이 방식에 의해 차용된다. | - 현재 중국어 차용어는 주로 이 방식에 의해 차용된다. | ||
| - | [xo53tse33] 기차 | + | [xo53tse33] 기차 |
| [se13xui13] 사회 | [se13xui13] 사회 | ||
| - | ### Ⓑ 차용어 형태소+차용어 형태소/부이어 고유어 | + | ##### Ⓑ 차용어 형태소+차용어 형태소/부이어 고유어 |
| 줄 48: | 줄 49: | ||
| [pja?35] 채소 + [jiu11] 기름 → [pja?35jiu11] 유채 | [pja?35] 채소 + [jiu11] 기름 → [pja?35jiu11] 유채 | ||
| - | ### Ⓒ 완전 차용+주석 | + | ##### Ⓒ 완전 차용+주석 |
| - 현대 차용어 앞에 부이어 혹은 조기 차용어의 주석을 붙여준다. | - 현대 차용어 앞에 부이어 혹은 조기 차용어의 주석을 붙여준다. | ||
| 줄 57: | 줄 58: | ||
| - | ## ③ 동의어의 구성 방식 | + | #### ③ 동의어의 구성 방식 |
| - | ### Ⓐ 고유어와 현대 중국어 차용어가 동의어 관계를 이루는 경우. | + | ##### Ⓐ 고유어와 현대 중국어 차용어가 동의어 관계를 이루는 경우. |
| 줄 67: | 줄 68: | ||
| | 기술 | [pai11vMN11] (제2의 + 손) | [ts\i13su31] | | | 기술 | [pai11vMN11] (제2의 + 손) | [ts\i13su31] | | ||
| - | ### Ⓑ 고유어와 조기 중국어 차용어가 동의어 관계를 이루는 경우. | + | ##### Ⓑ 고유어와 조기 중국어 차용어가 동의어 관계를 이루는 경우. |
| | 뜻 | 고유어 | 조기 차용어 | | | 뜻 | 고유어 | 조기 차용어 | | ||
| 줄 73: | 줄 74: | ||
| | 그릇 | [tsa35] | [vaːn13] | | | 그릇 | [tsa35] | [vaːn13] | | ||
| - | ### Ⓒ 조기 중국어 차용어와 현대 차용 중국어가 동의어 관계를 이루는 경우. | + | ##### Ⓒ 조기 중국어 차용어와 현대 차용 중국어가 동의어 관계를 이루는 경우. |
| | 뜻 | 조기 차용어 | 현대 차용어 | | | 뜻 | 조기 차용어 | 현대 차용어 | | ||
| 줄 79: | 줄 80: | ||
| | 은혜 | [an35] | [NMn33ts\in31] | | | 은혜 | [an35] | [NMn33ts\in31] | | ||
| - | ### Ⓓ 고유어, 조기 중국어 차용어, 현대 중국어 차용어가 공존하는 경우. | + | ##### Ⓓ 고유어, 조기 중국어 차용어, 현대 중국어 차용어가 공존하는 경우. |
| | 뜻 | 고유어 | 조기 차용어 | 현대 차용어 | | | 뜻 | 고유어 | 조기 차용어 | 현대 차용어 | | ||
| | 대중 | [vMn11laːi35](사람+많다) | [ta13ts\oN33] | [ts\in31tsuN13] | | | 대중 | [vMn11laːi35](사람+많다) | [ta13ts\oN33] | [ts\in31tsuN13] | | ||
| | 둘 | [suaN35] | [ȵi11] | [er13] | | | 둘 | [suaN35] | [ȵi11] | [er13]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