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chadong:2_wordclass:28_clf:28_clf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다음 판
이전 판
doc:chadong:2_wordclass:28_clf:28_clf [2018/05/13 21:11]
127.0.0.1 바깥 편집
doc:chadong:2_wordclass:28_clf:28_clf [2018/08/17 14:12] (현재)
최소연 [2) 명사+수량사구]
줄 1: 줄 1:
 #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1) 분류사의 유형
 +
 +#### 1) 계량 분류사(计量量词)
 +
 +- 계랑 분류사에는 단체를 계량하는 분류사와 개체를 계량하는 분류사가 있다.
 +
 +##### 단체 계량 분류사
 +
 +- 단체 계량 분류사는 둘이나 둘 이상의 개체로 이루어지는 단체를 계량할 때 쓰인다.
 +
 +- 정량(定量) 단체 계량 분류사와 부정(不定) 단체 계량 분류사로 나뉜다.
 +
 +###### 정량(定量) 단체 계량 분류사
 +
 +{{{lex>​chad1240 (lirulong2012:​114)
 +
 +- [soŋ53] : 쌍, 켤레(双)
 +- [toi45] : 쌍(对)
 +- [fu45] : (副, 예: 안경 하나)
 +
 +}}}
 +
 +###### 부정(不定) 단체 계량 분류사
 +
 +{{{lex>​chad1240 (lirulong2012:​114)
 +
 +- [pa31] : 묶음(把, 예: 장작/​꽃/​모 한 묶음)
 +- [tθok31] : 송이(束, 예: 꽃 한 송이)
 +- [lan31] : 단(捆, 예: 나무 한 단)
 +- [tsai31] : 무리(群, 예: 사람/양 한 무리)
 +- [ts_hyn45] : 꿰미(串, 예: 고추 한 꿰미)
 +- [c_hyen53] : 바퀴(圈, 예: 밧줄 한 바퀴)
 +- [tui53] : 더미(堆, 예: 똥거름 한 더미)
 +- [lu45], [hoŋ35] : 행(路, 行, 예: 옥수수 한 행)
 +
 +}}}
 +
 +##### 개체 계량 분류사
 +
 +- 자주 쓰이는 개체 계량 분류사는 다음과 같다.
 +
 +{{{lex>​chad1240 (lirulong2012:​114)
 +
 +- [tək5] : 방울(滴, 예: 물 한 방울)
 +- [k_h_wai45] : 조각(块, 예: 천 한 조각)
 +- [t_ha:p31] : 뭉치(沓, 예: 인민폐 한 뭉치)
 +- [ta:p31] : 짐(担, 똥거름 한 짐)
 +
 +}}}
 +
 +#### 2) 고유 분류사(类别量词)
 +
 +- 명사의 고유적인 성질을 계량하는 분류사이다.
 +
 +{{{lex>​chad1240 (lirulong2012:​114)
 +
 +- [tsi:ŋ53] : 장(张, 예: 종이 한 장)
 +- [tθaŋ21] : 겹(层, 예: 껍질 한 겹)
 +- [liuŋ45] : 칸(间, 예: 방 한 칸)
 +- [k_haŋ45] : 알(粒, 예: 쌀 한 알)
 +- [cien35] : 벌(件, 예: 옷 한 벌)
 +- [fuŋ53] : 통(封, 예: 편지 한 통)
 +- [pən31] : 권(本, 예: 책 한 권)
 +
 +}}}
 +
 +
 +- [tsi53](条)
 +
 +- 길쭉한 사물을 셀 때 쓰이는 분류사.
 +- 밧줄, 길, 강, 막대기, 풀 등을 셀 때 쓰인다.
 +
 +- [k_haŋ45] (个)
 +
 +- 성질이 다른 여러 명사를 셀 때 쓰일 수 있다.
 +- 용법은 ‘개(个)’와 비슷하다.
 +- 사람, 물고기, 알, 돌, 모, 쌀, 꽃 등을 셀 때 쓰인다.
 +
 +#### 3) 척도 분류사(度量衡量词)
 +
 +- 척도 분류사에는 표준 척도 분류사와 비표준 척도 분류사가 있다.
 +
 +##### 1) 표준 척도 분류사
 +
 +- 엄격한 규제에 따라 길이, 크기, 수량 등을 나타내는 분류사.
 +- 이런 분류사들은 거의 다 중국어에서 차용된 것이다.
 +
 +###### 무게
 +
 +{{{lex>​chad1240 (lirulong2012:​115)
 +
 +- [cian53] : 근(斤)
 +- [li:ŋ31] : 냥(兩)
 +- [tθien21] : 전(錢)
 +
 +}}}
 +
 +###### 면적
 +
 +{{{lex>​chad1240 (lirulong2012:​115)
 +
 +- [tsi:ŋ45] : 장(丈)
 +- [kuŋ53] : 이랑(亩)
 +
 +}}}
 +
 +###### 길이
 +
 +{{{lex>​chad1240 (lirulong2012:​115)
 +
 +- [li23] : 리(里)
 +- [ts_hel31] : 척(尺)
 +- [tθən45] : 촌(寸)
 +
 +}}}
 +
 +###### 화폐
 +
 +{{{lex>​chad1240 (lirulong2012:​115)
 +
 +- [k_h_wai45] : 위안(元)
 +- [k_haŋ45] : 쟈오(角)
 +- [kak5] : 쟈오(角)
 +- [fən53] : 펀(分)
 +
 +}}}
 +
 +##### 2) 비표준 척도 분류사
 +
 +- 엄격한 규제가 없는 척도 분류사.
 +
 +{{{lex>​chad1240 (lirulong2012:​115)
 +
 +- [ka21] : 뼘(拃)
 +- [paŋ31] : 발(庹)
 +- [tsi31] : 손가락 굵기(指)
 +- [pu35], [ke35] : 보(步)
 +
 +}}}
 +
 +##### 3) 용량 분류사
 +
 +- 용량을 나타내는 분류사가 보통 명사의 성격도 겸한다.
 +- 이런 유형의 분류사는 주로 중국어에서 차용된 것이다.
 +
 +{{{lex>​chad1240 (lirulong2012:​115)
 +
 +- [səŋ53] : 리터(升, 예: 쌀 일 리터)
 +- [p_huŋ31] : 움큼(捧, 예: 쌀 한 움큼)
 +- [pau53] : 봉지(包, 예: 물건 한 봉지)
 +- [tei35] : 포대(袋, 예: 쌀 한 포대)
 +- [pui54] : 잔, 컵(杯, 예: 물 한 잔)
 +- [wu:n31] : 그릇(碗, 예: 밥 한 그릇)
 +
 +}}}
 +
 +#### 4) 시간단위 분류사(时间单位量词)
 +
 +- 시간단위 분류사는 시간의 단위를 나타낸다.
 +
 +{{{lex>​chad1240 (lirulong2012:​115)
 +
 +- [wan:53] : 일(天)
 +- [ȵiam45] : 밤(夜)
 +- [ȵyet23], [nien21] : 월(月)
 +- [pe53] : 년, 세(年, 岁)
 +- [se45] : 세대(世),​ 평생(辈子)
 +- [tei35] : 대(代)
 +
 +}}}
 +
 +#### 5) 부정 분류사(不定量量词)
 +
 +- 불확정한 수량을 나타낸다.
 +- 주로 ‘[la:​k31tək5](혹은 [tək5])(조금,​ 좀)’, ‘[la:​k11nit5](혹은 [nit5])(조금)’가 있다.
 +
 +{{{eg>​chad1240 (lirulong2012:​116)
 +[paŋ35 me21 jit5 tək5 p_hi:u45].
 +yet EXIST one CL money
 +아직 돈이 좀 있다.
 +}}}
 +
 +{{{eg>​chad1240 (lirulong2012:​116)
 +[ts_həŋ45 nit5 ka45 wu23 teə55 li:u23].
 +take some that meal eat PTCL
 +그 밥을 다 먹어라.
 +}}}
 +
 +#### 6) 동량사(动量词)
 +
 +- 동작이 일어나는 횟수를 나타낸다.
 +
 +{{{lex>​chad1240 (lirulong2012:​116)
 +
 +- [po31] : 번(下, 예: 한번 때리다)
 +- [tan45] : 차례(頓, 예: 한바탕 때리다)
 +- [to45] : 번(遍, 예: 한번 읽다)
 +- [tθuŋ53] : 번(叫, 예: 소리 한번 지르다)
 +- [haŋ45] : 입(口, 예: 한 입 깨물다)
 +- [cyen21] : 대(拳, 예: 한 대 때리다)
 +- [tin53] : 발(脚, 예: 한 발 차다)
 +- [kau45] : 잠(觉, 예: 한잠 자다)
 +- [to45], [p_hu53] : 번(次)
 +- [wui21] : 회(回, 한 번 가다)
 +
 +}}}
 +
 +### (2) 분류사의 문법적 특
 +
 +#### 1) 수사/​지시대명사+분류사+명사
 +
 +- 수사나 지시대명사가 명사를 수식할 때 분류사는 둘 사이에 있다.
 +
 +{{{lex>​chad1240 (lirulong2012:​117)
 +
 +- [jit5] : 하나 + [tsət5] : CL + [lo23] : 늙다 + [a53] : 까마귀 -> [jit5 tsət5 lo11a53] : 늙은 까마귀 한 마리
 +- [k_wai35] : 이(this) + [cien35] : CL + [sei35] : 일(thing) -> [k_wai35cien35sei35] : 이 일
 +
 +}}}
 +
 +#### 2) 명사+수량사구
 +
 +- 수량사구가 명사를 수식할 때 명사가 수량사구 앞에 올 수도 있다.
 +
 +{{{eg>​chad1240 (lirulong2012:​117)
 +[pyø53la:​k31 ka:m53 ci31 pek31 kun45].
 +plant.PST tangerine several hundred CL
 +감귤나무 몇 백 그루를 심었다.
 +}}}
 +
 +#### 3) 분류사+명사
 +
 +- 수사가 ‘일(하나)’일 때 수사가 생략되면 분류사가 명사 앞에 바로 결합된다.
 +
 +{{{eg>​chad1240 (lirulong2012:​117)
 +[tsa21tuŋ35 me21 ko21 t_hien11ŋo21 ləŋ23].
 +Chadong EXIST CL Tian’e ridge
 +차둥에는 톈어령이라는 곳이 있다.
 +}}} 
 +
 +#### 4) 분류사=‘주어+목적어’구조
 +
 +- 분류사가 ‘주어+목적어’구조가 될 수 있다.
 +- 이때는 ‘하나+분류사’형태에서 수사가 생략된다.
 +- ‘각...마다,​ ...하나씩’의 뜻이다.
 +
 +{{{eg>​chad1240 (lirulong2012:​118)
 +[lau53 lo31lo31 taŋ53 tθai53 ko31tθei31,​ ei53 k_haŋ45].
 +1PL.EXCL everybody come share fruit CL CL
 +우리 여러 사람들이 과일을 나누자. 사람마다 하나씩 가진다.
 +}}}
 +
 +{{{eg>​chad1240 (lirulong2012:​118)
 +[k_wai35 çia53 ei53 lən53, ei53 tsə55 wu:n31].
 +this two CL person CL eat CL
 +이 두 사람, 한 사람이 한 그릇씩 먹는다.
 +}}}
doc/chadong/2_wordclass/28_clf/28_clf.1526213465.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5/13 21:11 저자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