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doc:chadong:4_ss:42_np:42_np [2018/05/23 14:12] 최소연 [5) 방위명사 + 명사] |
doc:chadong:4_ss:42_np:42_np [2019/03/29 16:17] (현재) 유현조 |
||
---|---|---|---|
줄 1: | 줄 1: | ||
- | # 42_np : 명사구 구조 (noun phrase struture) | + | # 42_np : 명사구 구조 (noun phrase structure) |
- 차동어의 명사구는 주로 ‘수식어+명사’의 형식으로 구성된다. | - 차동어의 명사구는 주로 ‘수식어+명사’의 형식으로 구성된다. | ||
- 수식어가 될 수 있는 성분으로는 종속명사, 성별을 나타내는 명사, 소유명사, 형용사, 방위명사, 지시대명사, 수사, 분류사, 관계절 등이 있다. | - 수식어가 될 수 있는 성분으로는 종속명사, 성별을 나타내는 명사, 소유명사, 형용사, 방위명사, 지시대명사, 수사, 분류사, 관계절 등이 있다. | ||
- | ### 1) 종속명사(수식어) + 명사(중심어) | + | ### (1) 종속명사(수식어) + 명사(중심어) |
- 종속명사가 명사를 수식할 때 명사 앞이나 뒤에 올 수 있다. | - 종속명사가 명사를 수식할 때 명사 앞이나 뒤에 올 수 있다. | ||
줄 11: | 줄 11: | ||
{{{lex>chad1240 (lirulong2012:144) | {{{lex>chad1240 (lirulong2012:144) | ||
- | - [na:n23] : 소 + [po23] : 고기 -> [na:n23->11po23] : 소기고 | + | - [na:n23] : 소 + [po23] : 고기 -> [na:n11po23] : 소기고 |
- | - [cio31] : 머리 + [ciai45] : 꼭대기 -> [cio31->33ciai45] : 산꼭대기 | + | - [cio31] : 머리 + [ciai45] : 꼭대기 -> [cio33ciai45] : 산꼭대기 |
- | - [pia21] : 칼 + [peŋ45] : 손잡이 -> [pia21->33peŋ45] : 칼 손잡이 | + | - [pia21] : 칼 + [peŋ45] : 손잡이 -> [pia33peŋ45] : 칼 손잡이 |
- | - [naŋ53] : 코 + [tsəm21] : 구멍 -> [naŋ53->11tsəm21] : 콧구멍 | + | - [naŋ53] : 코 + [tsəm21] : 구멍 -> [naŋ11tsəm21] : 콧구멍 |
}}} | }}} | ||
- | ### 2) 성별명사 + 명사(중심어) | + | ### (2) 성별명사 + 명사(중심어) |
- 동물의 성별을 나타내는 명사가 중심어 명사 앞에 결합된다. | - 동물의 성별을 나타내는 명사가 중심어 명사 앞에 결합된다. | ||
줄 24: | 줄 24: | ||
{{{lex>chad1240 (lirulong2012:144) | {{{lex>chad1240 (lirulong2012:144) | ||
- | - [tak23] : 수컷 + [po23] : 소 -> [tak23->31][po23] : 수소 | + | - [tak23] : 수컷 + [po23] : 소 -> [tak31][po23] : 수소 |
- | - [ni23] : 암컷 + [po23] : 소 -> [ni23->11][po23] : 암소 | + | - [ni23] : 암컷 + [po23] : 소 -> [ni11][po23] : 암소 |
- | - [tak23] : 수컷 + [m_0a53] : 개 -> [tak23->31][m_0a53] : 수캐 | + | - [tak23] : 수컷 + [m_0a53] : 개 -> [tak31][m_0a53] : 수캐 |
- | - [ni23] : 암컷 + [m_0a53] : 개 ->[ni23->11][m_0a53] : 암캐 | + | - [ni23] : 암컷 + [m_0a53] : 개 ->[ni11][m_0a53] : 암캐 |
}}} | }}} | ||
- | ### 3) 소유명사 + 명사(중심어) | + | ### (3) 소유명사 + 명사(중심어) |
- 소유명사가 중심어인 명사를 수식할 때 명사 앞에 결합된다. | - 소유명사가 중심어인 명사를 수식할 때 명사 앞에 결합된다. | ||
줄 40: | 줄 40: | ||
{{{lex>chad1240 (lirulong2012:145) | {{{lex>chad1240 (lirulong2012:145) | ||
- | - [la:k23->31pi:k23] : 여자아이 + ti : -의 + [kuk31] : 옷 -> [la:k23->31pi:k23tikuk31] : 여자아이의 옷 | + | - [la:k23->31pi:k23] : 여자아이 + ti : -의 + [kuk31] : 옷 -> [la:k31pi:k23tikuk31] : 여자아이의 옷 |
- [mən21] : 3SG + ti : -의 + [la:n21] : 이름 -> [mən21tila:n21] : 그의 이름 | - [mən21] : 3SG + ti : -의 + [la:n21] : 이름 -> [mən21tila:n21] : 그의 이름 | ||
- [jie21] : 1SG + [nuŋ35]: 남동생 -> [jie21nuŋ35] : 내 남동생 | - [jie21] : 1SG + [nuŋ35]: 남동생 -> [jie21nuŋ35] : 내 남동생 | ||
줄 47: | 줄 47: | ||
}}} | }}} | ||
- | ### 4) 형용사 + 명사(중심어) | + | ### (4) 형용사 + 명사(중심어) |
-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할 때 주조조사 ‘ti’(-의, 的)가 없으면 형용사가 명사 뒤에 결합된다. | -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할 때 주조조사 ‘ti’(-의, 的)가 없으면 형용사가 명사 뒤에 결합된다. | ||
줄 59: | 줄 59: | ||
}}} | }}} | ||
- | ### 5) 방위명사 + 명사 | + | ### (5) 방위명사 + 명사 |
- 단음절 방위명사가 중심어인 명사를 수식할 때 명사 앞에 결합된다. | - 단음절 방위명사가 중심어인 명사를 수식할 때 명사 앞에 결합된다. | ||
줄 67: | 줄 67: | ||
{{{lex>chad1240 (lirulong2012:146) | {{{lex>chad1240 (lirulong2012:146) | ||
- | - [lau23] : 안 + [mi:u35] : 절 -> [lau23->11mi:u35] : 절 안에 | + | - [lau23] : 안 + [mi:u35] : 절 -> [lau11mi:u35] : 절 안에 |
- | - [k_ha31] : 밑, 아래 + [m_023] : 나무 + [lək23] : 크다 -> [k_ha31->11m_023->11lək23] : 큰 나무 아래 | + | - [k_ha31] : 밑, 아래 + [m_023] : 나무 + [lək23] : 크다 -> [k_ha11m_023lək23] : 큰 나무 아래 |
- | - [si:ŋ35] : 위 + [lən21] : 몸 -> [si:ŋ35->33lən21] : 상반신 | + | - [si:ŋ35] : 위 + [lən21] : 몸 -> [si:ŋ33lən21] : 상반신 |
- | - [ha35] : 아래 + [lən21] : 몸 -> [ha35->11lən21] : 하반신 | + | - [ha35] : 아래 + [lən21] : 몸 -> [ha11lən21] : 하반신 |
}}} | }}} | ||
{{{eg>chad1240 (lirulong2012:146) | {{{eg>chad1240 (lirulong2012:146) | ||
- | [çia:n53 təŋ31 jiu53->33ka45 me21 sən33t_he53 ȵiok23]. | + | [çia:n53 təŋ31 jiu33ka45 me21 sən33t_he53 ȵiok23]. |
house roof up.side EXIST many bird | house roof up.side EXIST many bird | ||
옥상 위에 새가 많이 있다. | 옥상 위에 새가 많이 있다. | ||
}}} | }}} | ||
- | ### 6) 관형어+ 명사(중심어) | + | ### (6) 관형어+ 명사(중심어) |
- 차동어에서 관형어의 표기는 구조조사 ‘ti’이다. | - 차동어에서 관형어의 표기는 구조조사 ‘ti’이다. | ||
줄 86: | 줄 86: | ||
{{{eg>chad1240 (lirulong2012:146) | {{{eg>chad1240 (lirulong2012:146) | ||
- | [ke53->33 cyø53 ti lən53]. | + | [ke33 cyø53 ti lən53]. |
sell salt PTCL person | sell salt PTCL person | ||
소금을 파는 사람. | 소금을 파는 사람.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