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chadong:4_ss:51_neg:51_neg [2018/05/13 21:11] 127.0.0.1 바깥 편집 |
doc:chadong:4_ss:51_neg:51_neg [2021/01/18 15:19] (현재) 최소연 [(6) 완료상의 부정] |
||
|---|---|---|---|
| 줄 1: | 줄 1: | ||
| - | # 51_neg : 부정 (negation) | + | # 51_neg : 부정 (negation) |
| + | |||
| + | - 차동어의 부정사로는 ‘[k_we21], [kaŋ21]’가 있고 ‘[k_we21]’가 더 많이 쓰인다. | ||
| + | - ‘[k_we21]’는 ‘[kə]’로 약화되는 경우가 있다. | ||
| + | |||
| + | ### (1) 계사의 부정 | ||
| + | |||
| + | - 계사의 부정은 ‘[k_we33si35]’이고 ‘[kəsi35]’로 약화되는 경우가 있다. | ||
| + | - 약화되는 부정 계사가 더 많이 쓰인다. | ||
| + | |||
| + | {{{eg>chad1240 (lirulong2012:179) | ||
| + | [k_wai35 l_0ie53 si35 mən21 ti kəsi35 jie21 ti]. | ||
| + | this book COP 3SG POSS NEG.COP 1SG POSS | ||
| + | 이 책은 그의 것이고 내 것이 아니다. | ||
| + | }}} | ||
| + | |||
| + | ### (2) 존재나 소유의 부정 | ||
| + | |||
| + | #### 1) 존재의 부정 | ||
| + | |||
| + | - 부정사 ‘[k_we21]’가 방위명사구와 명사 사이에 결합됨으로 존재에 대한 부정을 나타낸다. | ||
| + | |||
| + | {{{eg>chad1240 (lirulong2012:179) | ||
| + | [cio33 ciai45 k_we21 lən53 ȵiau35]. | ||
| + | head mountain NEG person live | ||
| + | 산꼭대기에는 아무도 안 산다. | ||
| + | }}} | ||
| + | |||
| + | - 존재에 대한 부정을 나타낼 때 부정사가 문장 앞에 나온 내용을 지칭할 수 있다. | ||
| + | - 이때 부정되는 부분은 화제가 될 수 있다. | ||
| + | - 부정사는 ‘[k_we21lei23](없다)’가 쓰인다. | ||
| + | |||
| + | {{{eg>chad1240 (lirulong2012:180) | ||
| + | [k_wai35tsuŋ31 ko31tθei31 pən31ti35 k_we21lei23]. | ||
| + | this fruit local NEG | ||
| + | 이런 과일은 현지에 없다. | ||
| + | }}} | ||
| + | |||
| + | #### 2) 소유의 부정 | ||
| + | |||
| + | - 부정사 ‘[k_we21]’가 소유주와 소유물 사이에 결합됨으로 소유에 대한 부정을 나타낸다. | ||
| + | |||
| + | {{{eg>chad1240 (lirulong2012:180) | ||
| + | [sie53 lau11 çia:n53 k_we21 p_hi:u45]. | ||
| + | 2PL in house NEG ticket | ||
| + | 너네 집에 돈이 없다. | ||
| + | }}} | ||
| + | |||
| + | ### (3) 비교구문의 부정 | ||
| + | |||
| + | - 부정을 나타낼 때 비교 항목 앞에 ‘[k_we21lei23](-되지 않다, 없다)’가 결합된다. | ||
| + | - 또는, 조사 ‘[ji:ŋ35](처럼)’이나 ‘[ho21pi31](-만 못하다)’가 결합된다. | ||
| + | |||
| + | {{{eg>chad1240 (lirulong2012:180) | ||
| + | [ko35 ciai45 k_we21lei23 k_wai23 ciai35 ji:ŋ35 wu:ŋ53]. | ||
| + | that mountain NEG this mountain PTCL high | ||
| + | 그 산은 이 산처럼 높지 않다. | ||
| + | }}} | ||
| + | ### (4) 형용사의 부정 | ||
| + | |||
| + | - 형용사의 부정은 형용사 앞에 부정사 ‘[k_we21]’가 결합됨으로 이루어진다. | ||
| + | |||
| + | {{{eg>chad1240 (lirulong2012:181) | ||
| + | [puk5 jien53 toi45 sən33t_hi331 k_we21 nən31]. | ||
| + | cigarette smoke PREP body NEG good | ||
| + | 담배를 피우는 것이 몸에 안 좋다. | ||
| + | }}} | ||
| + | |||
| + | ### (5) 의문대명사의 부정 | ||
| + | |||
| + | - 의문대명사가 의문의 뜻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 부정사 ‘[k_we21]’가 의문대명사 앞에 결합된다. | ||
| + | |||
| + | {{{eg>chad1240 (lirulong2012:181) | ||
| + | [cia:ŋ31 lei23 k_we21 tia:ŋ21 nən31]. | ||
| + | speak AUX NEG Q good | ||
| + | 그다지 잘 말하지 못했다. | ||
| + | }}} | ||
| + | |||
| + | |||
| + | ### (6) 완료상의 부정 | ||
| + | |||
| + | - 완료상의 부정은 일이 아직 완성되지 않았거나 일어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 ||
| + | - 부정사가 동사 앞에 있을 때 부정사로는 ‘[kaŋ21](‘[kətθaŋ21], -한 적이 없다, 不曾’의 축약)’가 쓰인다. | ||
| + | - 부정사가 동사와 보어 사이에 있을 때 ‘[k_we21]’의 약화형인 ‘[kə]’가 쓰인다. | ||
| + | |||
| + | {{{eg>chad1240 (lirulong2012:184) | ||
| + | [mən21 taŋ53 pa, paŋ35 kaŋ21 t_hou45]. | ||
| + | 3SG come PTCL yet NEG arrive | ||
| + | 그가 왔는데 아직 도착하지 않았다. | ||
| + | }}} | ||
| + | |||
| + | {{{eg>chad1240 (lirulong2012:184) | ||
| + | [cia:ŋ31 tsy23 pu:n45 wan53 paŋ35 cia:ŋ31 kə ts_həŋ33ts_hu31]. | ||
| + | speak PTCL half day yet speak NEG clear | ||
| + | 한참 말했는데 똑똑히 설명하지 못했다. | ||
| + | }}} | ||
| + | |||
| + | ### (7) 경험상의 부정 | ||
| + | |||
| + | - 경험상의 부정은 일이 일어나지 않음을 나타낸다. | ||
| + | - [k_we21] + 동사 + 경험상 표지 [ta35] | ||
| + | |||
| + | {{{eg>chad1240 (lirulong2012:185) | ||
| + | [mən21 pə55 ta35 pak31ciŋ53, jie21 k_we21 pə55 ta35]. | ||
| + | 3SG go EXP Beijing 1SG NEG go EXP | ||
| + | 그는 북경에 간 적이 있고 나는 간 적이 없다.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