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choyo:0_general:01_basic:01_basic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choyo:0_general:01_basic:01_basic [2020/01/20 22:33]
마영리
doc:choyo:0_general:01_basic:01_basic [2020/10/22 20:41] (현재)
마영리
줄 1: 줄 1:
 # 01_basic :  기초 정보 (basic information) # 01_basic :  기초 정보 (basic information)
    
 +
 +
 - 취에위어는 중국 쓰촨성 간쯔티베트족자치주(四川省甘孜藏族自治州)의 야장현(雅江縣),​ 다오푸현(道孚縣),​ 신룽(新龍縣),​ 리탕(理塘縣) 등 현의 일부 지역에 거주하는 티베트족 거주민들이 사용하는 일종의 언어이며,​ 사용인구는 20,000여 명에 달한다. 쓰촨성민족연구소 유회(劉輝) 연구원이 1984년에 쓰촨성 간쯔현(甘孜县),​ 아바현(阿坝县) 양 주에 가서 현지 조사를 실행한 결과, 상술한 지역 외에 또 다른 일부의 티베트 거주민들이 취에위어를 사용하고 있는 바 있다. 그들은 간즈티베트족자치구의 주룽현(九龙县),​ 강딩현(康定县),​ 이둔현(义敦县),​ 바탕현(巴塘县),​ 망강현(芒康县)등 현에 산재적으로 거주하고 있다. ​ - 취에위어는 중국 쓰촨성 간쯔티베트족자치주(四川省甘孜藏族自治州)의 야장현(雅江縣),​ 다오푸현(道孚縣),​ 신룽(新龍縣),​ 리탕(理塘縣) 등 현의 일부 지역에 거주하는 티베트족 거주민들이 사용하는 일종의 언어이며,​ 사용인구는 20,000여 명에 달한다. 쓰촨성민족연구소 유회(劉輝) 연구원이 1984년에 쓰촨성 간쯔현(甘孜县),​ 아바현(阿坝县) 양 주에 가서 현지 조사를 실행한 결과, 상술한 지역 외에 또 다른 일부의 티베트 거주민들이 취에위어를 사용하고 있는 바 있다. 그들은 간즈티베트족자치구의 주룽현(九龙县),​ 강딩현(康定县),​ 이둔현(义敦县),​ 바탕현(巴塘县),​ 망강현(芒康县)등 현에 산재적으로 거주하고 있다. ​
- 지금까지 파악된 언어 자료에 의하면, 취에위어는 현지 티베트어도 아니고, 무야어(木雅語)나 얼궁어(尔龔語)도 아니며, 하나의 독립적인 언어이다. ​+ 
 +지금까지 파악된 언어 자료에 의하면, 취에위어는 현지 티베트어도 아니고, 무야어(木雅語)나 얼궁어(尔龔語)도 아니며, 하나의 독립적인 언어이다.  
 + 
 +- 취에위어는 상술한 현의 부분 지역의 티베트족 거주민들의 주요 소통의 도구이며,​ 그 중 대부분 청소년 및 장년층은 현지의 티베트어도 능통하고,​ 한어도 말할 수 있다.
doc/choyo/0_general/01_basic/01_basic.1579527239.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0/01/20 22:33 저자 마영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