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chukchi:0_general:03_contact:03_contact [2019/06/14 10:42] lisa |
doc:chukchi:0_general:03_contact:03_contact [2021/08/25 20:45] (현재) lisa |
||
|---|---|---|---|
| 줄 1: | 줄 1: | ||
| - | # 03_contact : 접촉 언어 (contact language) : 100% | + | # 03_contact : 접촉 언어 (contact language) |
| - 축치어는 코리야크어와 언어적/ 문화적 유사성이 있다.(B.Comrie:1988). | - 축치어는 코리야크어와 언어적/ 문화적 유사성이 있다.(B.Comrie:1988). | ||
| - Itelmen 언어와 약간의 유사성이 보인다. | - Itelmen 언어와 약간의 유사성이 보인다. | ||
| + | # 03_contact : 접촉 언어 (contact language) | ||
| + | - 축지어는 에스키모어 어휘적인 영향을 주었다. | ||
| + | |||
| + | |||
| + | {{{lex>chuk1273 (dunn1999:12) | ||
| + | |||
| + | - puwreq : 흰돌고래 (축지어, 에스키모어) | ||
| + | |||
| + | }}} | ||
| + | |||
| + | - 19세기부터 축치어로 러시아어와 북미에서 온 차용어들이 많아진다(북미 같은 경우에, 포경선 뱃사람의 용어가 들어왔다). 러시아어 같은 경우, 콜리마 강쪽에 이루워졌던 교역 용어가 들어왔다. | ||
| + | |||
| + | {{{lex>chuk1273 (dunn1999:13) | ||
| + | |||
| + | - korpat : 러시아어 [krupa] 메밀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