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chuvash:0_general:01_basic:01_basic [2018/06/25 08:56] 127.0.0.1 바깥 편집 |
doc:chuvash:0_general:01_basic:01_basic [2021/08/26 11:55] (현재) 최문정 [사용인구] |
||
|---|---|---|---|
| 줄 1: | 줄 1: | ||
| - | # 01_basic : 기초 정보 (basic information) : 95% : | + | # 01_basic : 기초 정보 (basic information) |
| ### 코드 | ### 코드 | ||
| 줄 13: | 줄 13: | ||
| - 러시아어 : чувашский язык | - 러시아어 : чувашский язык | ||
| - 자칭 : чаваш челхи | - 자칭 : чаваш челхи | ||
| - | - 민족 자칭 : чаваш (이전에는 불가르 부족인 수바즈(suvaz) 또는 수바르(suvar)라고 불렸다) (러시아 문헌에는 추바시라는 민족명이 16세기 이반뇌제의 카잔 원정 기술과 관련하여 처음으로 등장한다.) | + | |
| + | ### 민족명 | ||
| + | |||
| + | - 자칭 : чаваш (이전에는 불가르 부족인 수바즈(suvaz) 또는 수바르(suvar)라고 불림) | ||
| + | - 러시아 문헌에는 추바시라는 민족명이 16세기 이반뇌제의 카잔 원정 기술과 관련하여 처음으로 등장함. | ||
| + | |||
| + | ### 공식적 지위 | ||
| - 러시아 추바시공화국 내 추바시어의 지위: 국어 (러시아어도 국어) (1990년부터) | - 러시아 추바시공화국 내 추바시어의 지위: 국어 (러시아어도 국어) (1990년부터) | ||
| 줄 21: | 줄 27: | ||
| #### 사용인구 | #### 사용인구 | ||
| - | - 추바시어 화자수 : | + | - 추바시인의 수 |
| - | - 추바시인의 수 : (1989년 인구총조사) 1773645명 (그중 추바시공화국에 906922명-51.13%,구소련 국가들에 68701명) | + | - (1989년 인구총조사) 1773645명 (그중 추바시공화국에 906922명-51.13%,구소련 국가들에 68701명) |
| + | - (2010년 인구총조사) 1435872명 | ||
| + | - 추바시어 화자 수 (2010): 1042989명 | ||
| - 추바시어를 모어라고 생각하는 추바시인 : (언어법 통과 이전) 76.4%, 러시아어 제2의 언어로 구사 : 65% | - 추바시어를 모어라고 생각하는 추바시인 : (언어법 통과 이전) 76.4%, 러시아어 제2의 언어로 구사 : 65% | ||
| - 도시의 젊은 세대는 모어를 적극적으로 배우고 있고, 추바시인이 아닌 사람들도 젊은 세대는 추바시어를 배우는 추세. | - 도시의 젊은 세대는 모어를 적극적으로 배우고 있고, 추바시인이 아닌 사람들도 젊은 세대는 추바시어를 배우는 추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