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chuvash:0_general:02_dialect:02_dialect [2018/06/25 09:37] 최문정 |
doc:chuvash:0_general:02_dialect:02_dialect [2021/08/26 12:38] (현재) 최문정 [방언의 통사적 차이] |
||
|---|---|---|---|
| 줄 1: | 줄 1: | ||
| - | # 02_dialect : 방언 (dialect) : | + | # 02_dialect : 방언 (dialect) |
| ### 표준어 정립 역사 | ### 표준어 정립 역사 | ||
| 줄 11: | 줄 11: | ||
| - 상류 방언: 볼가강 상류 | - 상류 방언: 볼가강 상류 | ||
| - 하류 방언: 볼가강 하류 | - 하류 방언: 볼가강 하류 | ||
| - | 그 사이에는 상당히 넓은 중간적 하위방언들이 존재 | + | - 그 사이에는 상당히 넓은 중간적 하위방언들이 존재 |
| - 방언의 차이에도 각기 다른 방언 사용자들 사이에 의사 소통의 어려움은 없다. | - 방언의 차이에도 각기 다른 방언 사용자들 사이에 의사 소통의 어려움은 없다. | ||
| 줄 20: | 줄 20: | ||
| ###### (1) 오카니예(okanye): 단어의 첫 음절에 o. 고대 장모음 a:에 해당 | ###### (1) 오카니예(okanye): 단어의 첫 음절에 o. 고대 장모음 a:에 해당 | ||
| - | - пор : 있다 | + | {{{lex>chuv1255 (andreyev2005:389) |
| - | - ҫок : 없다 | + | |
| - | - ора : 다리(발) | + | - пор : 있다 (상류 방언) & пур : 있다 (하류 방언) |
| + | - ҫок : 없다 (상류 방언) & ҫук : 없다 (하류 방언) | ||
| + | - ора : 다리(발) (상류 방언) & ура : 다리(발) (하류 방언) | ||
| + | |||
| + | }}} | ||
| ###### (2) 철저한 모음조화. 복수 접미사(-сам/-сем)와 후치사(пак/пек)의 두 가지 변이형에 나타남 | ###### (2) 철저한 모음조화. 복수 접미사(-сам/-сем)와 후치사(пак/пек)의 두 가지 변이형에 나타남 | ||
| + | |||
| + | {{{lex>chuv1255 (andreyev2005:389) | ||
| - ял-сам : 시골들(PL) | - ял-сам : 시골들(PL) | ||
| 줄 30: | 줄 36: | ||
| - чул-пак : 돌처럼 | - чул-пак : 돌처럼 | ||
| - ҫил-пек : 바람처럼 | - ҫил-пек : 바람처럼 | ||
| + | |||
| + | }}} | ||
| + | |||
| ###### (3) 연자음 р’의 존재 (< йр) | ###### (3) 연자음 р’의 존재 (< йр) | ||
| - | - мыр’ă : 견과 | + | {{{lex>chuv1255 (andreyev2005:389) |
| - | - мăйăр : (하류 방언) | + | |
| - | - кар’ан : 후에 | + | |
| - | - кайран: (하류 방언) | + | |
| + | - мыр’ă : 견과(상류 방언) & мăйăр : 견과(하류 방언) | ||
| + | - кар’ан : 후에(상류 방언) & кайран : 후에(하류 방언) | ||
| - | #### 하류 방언의 특징 | + | }}} |
| - | ###### (1) 우카니예(ukanye) | ||
| - | - пур | + | #### 상류 방언과 하류 방언의 음성적 차이 표 |
| - | - ҫук | + | |
| - | - ура | + | |
| - | ###### (2) 연자음 р’ 음소가 없음 | + | | 상류 방언 | 하류 방언 | |
| + | | 오카니예(okanye) | 우카니예(ukanye) | | ||
| + | | 연자음 р’ 음소 있음 | 연자음 р’ 음소 없음 | | ||
| + | | 철저한 모음조화. 복수 접미사(-сам/-сем)와 후치사(пак/пек)의 두 가지 변이형에 나타남 | 복수 접미사 -сем, 후치사 пек | | ||
| - | ###### (3) 복수 접미사 -сем, 후치사 пек | ||
| ### 방언의 형태적 차이 | ### 방언의 형태적 차이 | ||
| 줄 61: | 줄 68: | ||
| {{{eg>chuv1255 (andreyev2005:389) | {{{eg>chuv1255 (andreyev2005:389) | ||
| - | пыраятăп | + | пыр-ая-тăп |
| - | 0 | + | come-POT-1SG |
| - | 나는 올(갈) 수 있다. | + | 나는 올(갈) 수 있다. (하류 방언) |
| + | }}} | ||
| + | |||
| + | {{{eg>chuv1255 (andreyev2005:389) | ||
| + | пыр-ай-мас-тăп | ||
| + | come-POT-NEG-1SG | ||
| + | 나는 올(갈) 수 없다. (하류 방언) | ||
| }}} | }}} | ||
| {{{eg>chuv1255 (andreyev2005:389) | {{{eg>chuv1255 (andreyev2005:389) | ||
| - | пыраймастăп | + | пыр-и-мас-тăп |
| - | 0 | + | come-POT-NEG-1SG |
| - | 나는 올(갈) 수 없다. | + | 나는 올(갈) 수 없다. (상류 방언) |
| }}} | }}} | ||
| - | - 비교: 하류 방언 пыримастăп | ||
| ###### 상류 방언의 다양한 동사 형태는 가능상аспект возможности이 아예 없다. | ###### 상류 방언의 다양한 동사 형태는 가능상аспект возможности이 아예 없다. | ||
| 줄 81: | 줄 93: | ||
| {{{eg>chuv1255 (andreyev2005:389) | {{{eg>chuv1255 (andreyev2005:389) | ||
| - | кунта килӳҫӗн | + | кунта кил-ӳҫӗн |
| - | 0 0 | + | to.here com-CVB |
| 이리로 오는 길에 | 이리로 오는 길에 | ||
| }}} | }}} | ||
| - | ##### (3) 상류 방언에는 오래전 과거 시제가 있고, 하류 방언에는 없다. | + | ##### (3) 상류 방언에는 원격과거 시제가 있고, 하류 방언에는 없다. |
| {{{eg>chuv1255 (andreyev2005:389) | {{{eg>chuv1255 (andreyev2005:389) | ||
| - | килсеттӗм | + | кил-сеттӗм |
| - | 0 | + | come-PST.REM |
| (ru: я приходил) | (ru: я приходил) | ||
| }}} | }}} | ||
| {{{eg>chuv1255 (andreyev2005:389) | {{{eg>chuv1255 (andreyev2005:389) | ||
| - | кайсаттăм | + | кай-саттăм |
| - | 0 | + | go.awat-PST.REM |
| (ru: я уходил) | (ru: я уходил) | ||
| }}} | }}} | ||
| 줄 110: | 줄 122: | ||
| {{{eg>chuv1255 (andreyev2005:389) | {{{eg>chuv1255 (andreyev2005:389) | ||
| - | эпӗ хулара пулса | + | эпӗ хула-ра пул-са |
| - | 0 0 0 | + | I city-LOC be-PERF-CVB |
| - | 나는 도시에 있었다. | + | 나는 도시에 있었다. (상류 방언) |
| }}} | }}} | ||
| {{{eg>chuv1255 (andreyev2005:389) | {{{eg>chuv1255 (andreyev2005:389) | ||
| - | эпӗ хулара пулнă | + | эпӗ хула-ра пул-нă |
| - | 0 0 0 | + | I city-LOC be-PERF-CVB |
| - | 나는 도시에 있었다. | + | 나는 도시에 있었다. (하류 방언) |
| }}} | }}} | ||
| {{{eg>chuv1255 (andreyev2005:389) | {{{eg>chuv1255 (andreyev2005:389) | ||
| - | вăл пире курнă | + | вăл пире кур-нă |
| - | 0 0 0 | + | he us.DAT.ACC see-PERF-CVB |
| - | 그는 우리를 보았다. | + | 그는 우리를 보았다. (하류 방언) |
| }}} | }}} | ||
| {{{eg>chuv1255 (andreyev2005:389) | {{{eg>chuv1255 (andreyev2005:389) | ||
| - | вăл пире курса | + | вăл пире кур-са |
| - | 0 0 0 | + | he us.DAT.ACC see-PERF-CVB |
| - | 그는 우리를 보았다. | + | 그는 우리를 보았다. (상류 방언)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