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chuvash:0_general:03_contact:03_contact [2016/12/10 18:02] 127.0.0.1 바깥 편집 |
doc:chuvash:0_general:03_contact:03_contact [2021/08/26 12:43] (현재) 최문정 |
||
|---|---|---|---|
| 줄 1: | 줄 1: | ||
| - | # 03_contact : 접촉 언어 (contact language) : 0% : | + | # 03_contact : 접촉 언어 (contact language) |
| + | - 이란어족, 핀-우고르어족, 슬라브어족 등과 같이 체계가 다른 언어들과 오랜 시간 동안 접촉: 다른 튀르크 어족 언어들에 비해 주변부에 위치하기 때문. | ||
| + | - 핀-우고르 언어의 영향: 마리어와 같이 볼가강 유역의 이웃 핀-우고르 어족 언어의 영향으로 상류 방언뿐 아니라 추바시어 표준어에서도 다강세(разноместное верховое ударение)가 규범이 됨. 명사의 격체계와 동사의 인칭/비인칭 체계에도 볼가강 유역 핀-우고르어의 영향이 보임. | ||
| + | - 최근 1세기 동안 전문용어를 비롯한 새로운 어휘가 대규모 유입되고 추바시어와 러시아어의 이중언어 사용이 확대됨에 따라 음성과 통사 체계에 큰 변화. 차용어에만 적용되는 음운 하위체계가 성립. 강세도 고유어와 외래어에 이중적 체계. 모음과 자음의 발음에도 이중적 체계. 구어에서는 러시아어 유형이 생산적인 것으로 자리잡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