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chuvash:4_ss:41_cl:41_cl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다음 판
이전 판
doc:chuvash:4_ss:41_cl:41_cl [2018/06/25 08:56]
127.0.0.1 바깥 편집
doc:chuvash:4_ss:41_cl:41_cl [2021/08/28 20:58] (현재)
최문정 [어순]
줄 1: 줄 1:
-# 41_cl : 절(clause) : 0% +# 41_cl : 절(clause) ​ 
 + 
 +- 추바시어는 주격 언어문장 내 주어는 서술어와 무관하게 하나의 격 형태를 가짐 
 +- 기본격은 주체의 특별한 격이 아니고, 행위의 대상을 표시할 수 있음 
 +- 주체와 객체가 기본격의 형태로 표현된 경우, 주어는 발화의 주제와 일치하는가에 따라 결정됨 
 + 
 +{{{eg>​chuv1255 (andreyev2005:396) 
 +каччă хӗр суйла-ть 
 +young.man girl chooze-3SG 
 +청년이 아가씨를 선택한다 
 +}}} 
 + 
 +{{{eg>​chuv1255 (andreyev2005:​396) 
 +туслăх телей кӱрет 
 +friendship happiness bring 
 +우정은 행복을 가져온다 
 +}}} 
 + 
 + 
 + 
 +- 이 경우 문장은 주체 + 객체 + 술어의 구조로 이루어짐 
 + 
 +##### 수동구문 
 + 
 +- 표준어와 상류 방언: 수동구문 없음 
 +- 하류 방언에는 있음 
 +- 술어가 나타내는 행위의 성격(객체에 대한 행위, 주체에 대한 행위, 상호, 재귀)과 무관하게 그 행위는 항상 주체에서 나오는 것으로 생각됨. 
 + 
 +##### 어순  
 + 
 +- 어순은 문법적 기능을 함 
 +- 형태적 표지가 있지만, 명사구와 동사구에서 종속적 요소는 항상 주된 요소에 선행한다. 
 + 
 +{{{eg>​chuv1255 (andreyev2005:​396) 
 +чул ҫурт 
 +stone house 
 +돌로 만든 집 
 +}}} 
 + 
 +{{{eg>​chuv1255 (andreyev2005:​396) 
 +пысăк чул ҫрт 
 +large stone house 
 +큰 석조 집 
 +}}} 
 + 
 +{{{eg>​chuv1255 (andreyev2005:​396) 
 +вăрман-а кӗр- 
 +forest.DAT.ACC come.in 
 +숲에 들어가다 
 +}}} 
 + 
 +{{{eg>​chuv1255 (andreyev2005:​396) 
 +чăтлăх вăрмана кӗр- 
 +dense forest come.in 
 +울창한 숲에 들어가다 
 +}}}
  
doc/chuvash/4_ss/41_cl/41_cl.1529884619.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6/25 08:56 저자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