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chuvash:9_etc:91_borrowing:91_borrowing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다음 판
이전 판
doc:chuvash:9_etc:91_borrowing:91_borrowing [2018/06/25 08:56]
127.0.0.1 바깥 편집
doc:chuvash:9_etc:91_borrowing:91_borrowing [2021/08/28 21:05] (현재)
최문정
줄 1: 줄 1:
-# 91_borrowing :  차용 (borrowing) ​ 0% +# 91_borrowing :  차용 (borrowing) 
 + 
 +- 추바시어의 어휘체계에서 차용어가 큰 부분을 차지한다. 이는 역사적으로 다른 민족과의 접촉의 결과이다. 
 +- 몽골어, 아랍어, 페르시아어,​ 핀-우고르어,​ 타타르어,​ 러시아어 차용어가 있다. 
 +- 러시아어 차용어가 가장 많다. 
 + 
 + 
 +###### 몽골어 차용어 
 + 
 +- 몽골어 차용어는 가장 초기에 들어온 차용어임 
 +- 대개 목축 풍습과 관련된 어휘 
 + 
 +{{{lex>​chuv1255 (andreyev2005:397) 
 + 
 +- хурал ​경비, 보초 
 +- ӗне : 소 
 +- нăхта : 고삐 (недоуздок) 
 +- чӗлпӗр : 고삐 (повод узды) 
 + 
 +}}} 
 + 
 + 
 +###### 아랍어, 페르시아어 차용어 
 + 
 +- 아랍어, 페르시아어 차용어는 대개 Middle East 국가들과의 경제교역,​ 문화적 접촉으로 들어왔다. 
 +- 주로 문화, 일상 생활, 행정, 재정 분야의 어휘 
 + 
 +{{{lex>​chuv1255 (andreyev2005:​397) 
 + 
 +- хут : 종이 
 +- пахча : 텃밭, 경계(огород)  
 +- хыпар : 소식, 기별 
 +- салам : 인사, 전언 
 +- хуҫа : 주인 
 + 
 +}}} 
 + 
 +###### 핀-우고르 언어에서 온 차용어 
 + 
 +- 많지 않음 
 +- 주로 일상 생활, 숲 관련 어휘 
 +- 마리어 차용어 
 + 
 +{{{lex>​chuv1255 (andreyev2005:​397) 
 + 
 +- ана : 구멍 
 +- кăшăл : 테, 굴렁쇠 
 +- кăткă : 개미 
 +- пӱрт : 오두막 
 + 
 +}}} 
 + 
 +- 우르무트어 차용어 
 + 
 +{{{lex>​chuv1255 (andreyev2005:​397) 
 + 
 +- пӗрне : 손바구니 
 +- кӗтмел : 크랜베리 
 +- пукан : 의자 (원래 чурбан)  
 + 
 +}}} 
 + 
 +- 인명, 지명, 하천명, 마을명에 마리어 차용어가 많음 
 + 
 + 
 + 
 +###### 타타르어 차용어 
 + 
 +- 타타르어 차용어는 볼가강 불가리아 시대(7세기에서 13세기 사이에 볼가강과 카마강 유역에 존재했던 불가르인의 국가)에 들어온 것으로 추정됨 
 +- 카잔 칸국 시기에 타타르어 차용어의 유입이 가장 본격적으로 이루어짐 
 +- 현대 추바시어에서 타타르어 차용어는 타타르어에 지리적으로 접한 하류 방언에서 특히 눈에 띔 
 + 
 +{{{lex>​chuv1255 (andreyev2005:​397) 
 + 
 +- ялан : 항상 
 +- ялав : 깃발 
 +- явлăк : 숄 
 +- йăмран : 땅다람쥐 
 +- акăш : 백조 
 + 
 +}}} 
 + 
 +###### 러시아어 차용어 
 + 
 +- 소련 이전 시기에는 구어로 들어와서 추바시어 규범를 완전히 따른 형태로 차용되었다. 
 + 
 +{{{lex>​chuv1255 (andreyev2005:​397) 
 + 
 +- кӗрепле : 쇠스랑 & грабли : 쇠스랑 (러시아어) 
 +- пӗремӗк : 당밀과자 & пряник : 당밀과자 (러시아어) 
 +- черет : 줄 (줄을 서다) & очередь : 줄 (러시아어) 
 + 
 +}}} 
 + 
 +- 소련 시기에는 러시아어와 국제어 어휘가 주로 문어로 유입되었고,​ 새로 들어온 차용어는 대부분 추바시어 음성 규칙과 문법 규칙을 따르지 않는다. 
 +- 1990년대부터 나타난 언어순수주의(Linguistic purism) 경향에도 불구하고,​ 국제어, 러시아어 차용어가 많이 들어오고 있음 
 +- аукцион,​ менеджер,​ менеджмент,​ рейтинг 
 + 
  
  
doc/chuvash/9_etc/91_borrowing/91_borrowing.1529884619.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6/25 08:56 저자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