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cun:2_wordclass:36_ptcl:36_ptcl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다음 판
이전 판
doc:cun:2_wordclass:36_ptcl:36_ptcl [2018/11/04 17:45]
127.0.0.1 바깥 편집
doc:cun:2_wordclass:36_ptcl:36_ptcl [2021/08/29 23:27] (현재)
박은석 [소유관계 나타내는 조사 'di2']
줄 1: 줄 1:
 # 36_ptcl : 첨사(particle) # 36_ptcl : 첨사(particle)
 +
 +### 상조사
 +
 +동사 뒤에 경험상조사 '​kuə3'​ , 완료상조사 '​lɛu5',​ 근미래상조사 '​ki2'​를 부가하여 경험상, 완료상, 근미래상을 나타낼 수 있다. ​
 +그리고 동사 뒤에 조사 '​tsa5'​를 부가하여 지속을 나타낼 수 있다.  ​
 +
 +
 +
 +#### 경험상조사 '​kuə3'​
 +
 +{{{eg>​cunn1236 (ouyangjueya2007:​1362)
 +na5  zai3  kuə3  bək1keŋ2
 +3SG  go    EXPR  peking
 +그는 북경에 간적이 있다. ​
 +}}}
 +
 +
 +#### 완료상조사 '​lɛu5'​
 +
 +{{{eg>​cunn1236 (ouyangjueya2007:​1362)
 +na5  tɵak1 ​ vɛŋ4 ​  ​lɛu5 ​ aŋ2     ​sau1 ​ nam3  lɯəŋ1
 +3SG  wash   ​cloth ​ PFV   ​again ​  ​draw ​ water  go.back
 +그는 옷을 다 세탁한 뒤에 또 물을 길어서 돌아왔다.
 +}}}
 +
 +#### 근미래상조사 '​ki2'​
 +
 +{{{eg>​cunn1236 (ouyangjueya2007:​1362)
 +mɔ5  ki2   ​zai3 ​   san4di2
 +2SG  FUT   ​go ​     Q.where
 +너는 어디에 가려고 하니?
 +}}}
 +
 +#### 지속상조사 '​tsa5'​
 +
 +{{{eg>​cunn1236 (ouyangjueya2007:​1362)
 +na5  dət5  tsa5  la5  tshɔ5
 +3SG  sit   ​PROG ​ eat  meal
 +그는 앉아서 밥을 먹는다.
 +}}}
 +
 +
 +### 의문어기사
 +
 +춘어의 의문어기사로 'ni2, ma2, hia2' 등이 있다. ​
 +
 +{{{eg>​cunn1236 (ouyangjueya2007:​1368)
 +mɔ5  bɔn4 iu1  kə  ma2
 +2SG  come see  1SG Q
 +너는 나를 보러 왔니?
 +}}}
 +
 +### 명령어기사
 +
 +춘어에서 명령문의 어기를 나타내는 어기사로 'ba5, lə5  la5' 등이 있다.
 +이러한 어기사는 분부, 요청을 나타내며,​ 어기는 비교적 온화하다. ​
 +
 +{{{eg>​cunn1236 (ouyangjueya2007:​1368)
 +nɯn3   ​zai3 ​ ba5
 +quick  go    IMP
 +빨리 가라!
 +}}}
 +
 +
 +### 감탄어기사
 +
 +감탄을 나타내는 어기사로 'la3, la2, lə5' 등을 들 수 있다.
 +{{{eg>​cunn1236 (ouyangjueya2007:​1368)
 +dok2  ŋaːu1 ​ thɔk2 ​ hai3 nam3  la3
 +exist person ​ fall  down  water EXCLAM
 +어떤 사람이 물에 빠졌다!
 +}}}
 +
 +### 소유관계 나타내는 조사 '​di2'​
 +
 +'​di2'​는 중국어 차용어로 소유관계를 나타낸다. 그 위치는 소유자와 피소유자 사이이다. 피소유자가 더이상 나오지 않아도 '​di2'​는 여전히 남아 있다. ​
 +'​di2'​는 문미에 놓여서 긍정을 나타낸다. '​di2'​는 명사화의 기능도 한다. ​
 +
 +{{{eg>​cunn1236 (ouyangjueya2007:​1367)
 +na5  di2       ​khai1 ​   bi1    miu5tɵuən1 la5  lɛu5
 +3SG  PTCL.GEN ​ chicken ​ PASS   ​feral.cat ​ eat  PFV
 +그의 닭이 야생 고양이에게 잡아먹혔다.
 +}}}
 +
 +### 보어관계 나타내는 조사 '​dok2'​
 +
 +'​dok2'​은 원래 '​有'​의 의미였다. 동사나 형용사의 뒤에서 뒤의 보어를 연결해준다. 동작이 상황이 도달한 결과 혹은 정도를 말해준다. ​
 +
 +{{{eg>​cunn1236 (ouyangjueya2007:​1367)
 +miu5  thiau3 ​ dok2       ​phɛk2 ​ tsen5
 +cat   ​jump ​   PTCL.have ​ high   ​really
 +고양이가 정말 높이 뛰었다.
 +}}}
 +
 +
 +
 +
 +  ​
 + 
  
  
doc/cun/2_wordclass/36_ptcl/36_ptcl.1541321105.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11/04 17:45 저자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