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dai:2_wordclass:24_adj:24_adj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dai:2_wordclass:24_adj:24_adj [2018/02/19 22:16]
박은석 [(4) 부치사 lə1(si1)을 사용해서 비교문을 만듦]
doc:dai:2_wordclass:24_adj:24_adj [2021/08/22 15:15] (현재)
박성하
줄 1: 줄 1:
-# 24_adj :  형용사 (adjective) ​+# 24_adj :  형용사 (adjective)
  
  
줄 44: 줄 44:
  
  
-#### (3) ‘tɛ4(te4te4): 매우’의 수식을 받음+#### (3) ‘tɛ4(te4te4)'의 수식을 받음
  
 다이어의 형용사는 ‘tɛ4(te4te4):​ 매우’의 수식을 받아 정도가 심함을 나타낼 수 있다. ​ 다이어의 형용사는 ‘tɛ4(te4te4):​ 매우’의 수식을 받아 정도가 심함을 나타낼 수 있다. ​
줄 64: 줄 64:
 }}} }}}
  
-#### (4) 부치사 lə1(si1)을 사용해서 ​비교문을 만듦+#### (4) 비교문 만듦
  
 다이어의 형용사는 뒤에 비교를 나타내는 부치사 ‘lə1(si1)’를 대동해서 비교문을 만들 수 있다. ​ 다이어의 형용사는 뒤에 비교를 나타내는 부치사 ‘lə1(si1)’를 대동해서 비교문을 만들 수 있다. ​
줄 71: 줄 71:
  
 {{{eg>​luuu1242 (yucuirong2009:​325) {{{eg>​luuu1242 (yucuirong2009:​325)
-mə6lai4 ​ mai3 si1 mə6  sɯn2 +mə6lai4 ​ mai3  si1  6sɯn2 
-today    hot  than  the.day.before.yesterday +today hot than the.day.before.yesterday 
-오늘은 그저께보다 덥다+오늘은 그저께보다 덥다.
 }}} }}}
  
 +
 +#### (5) 명사와 명량사 수식 ​
 +
 +다이어의 형용사는 명사와 명량사를 수식할 수 있다. ​
 +
 +명사를 수식한 예는 다음과 같다. ​
 +
 +{{{eg>​luuu1242 (yucuirong2009:​325)
 +dɔk9mai4 dɜŋ1
 +flower red 
 +붉은 꽃
 +}}}
 +
 +
 +명량사를 수식한 예는 다음과 같다. ​
 +
 +{{{eg>​luuu1242 (yucuirong2009:​325)
 +to1 nɔi4 
 +CL small
 +작은 그 마리
 +}}}
 +
 +
 +#### (6) 동사를 수식, 보충 ​
 +
 +다이어의 형용사는 동사를 수식하거나 보충할 수 있다.
 +
 +그 예는 다음과 같다.  ​
 +
 +{{{eg>​luuu1242 (yucuirong2009:​325)
 +di1 kin1
 +good eat
 +맛있다.
 +}}}
 +
 +
 +{{{eg>​luuu1242 (yucuirong2009:​325)
 +Kin1 im5
 +eat  be.stuffed
 +먹어서 배부르다(배부르게 먹었다).
 +}}}
 +
 +#### (7) 명사 보어 대동 ​
 +
 +형용사는 명사 보어를 대동하기도 하는데 이 보어는 형용사의 성질, 상태와 비슷한 개념을 나타낸다. ​
 +
 +시수앙반나 방언의 예는 다음과 같다. ​
 +
 +{{{eg>​luuu1242 (yucuirong2009:​325)
 +peʔ7 hə5
 +wet   ​sweat ​
 +땀으로 축축하다
 +}}}
 +
 +
 +#### (8) 목적어 대동
 +
 +어떤 형용사는 동사처럼 목적어를 대동하기도 한다. ​
 +
 +더홍 방언의 예는 다음과 같다. ​
 +
 +{{{eg>​luuu1242 (yucuirong2009:​325)
 +man2 ma2  li6 kau6 se5se5
 +3SG  come good 1SG  often 
 +그는 자주 나에게 우애를 표시한다.
 +}}}
  
  
doc/dai/2_wordclass/24_adj/24_adj.1519046176.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2/19 22:16 저자 박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