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dai:2_wordclass:25_adv:25_adv [2018/02/20 16:37] 박은석 [2) 명령부정부사] |
doc:dai:2_wordclass:25_adv:25_adv [2021/08/22 15:15] (현재) 박성하 |
||
|---|---|---|---|
| 줄 3: | 줄 3: | ||
| 다이어의 부사는 동사와 형용사를 수식하는데 쓰인다. 다이어의 부사는 부정부사, 정도부사, 시간부사, 범위부사, 조건부사, 의성의태부사로 나눌 수 있다. | 다이어의 부사는 동사와 형용사를 수식하는데 쓰인다. 다이어의 부사는 부정부사, 정도부사, 시간부사, 범위부사, 조건부사, 의성의태부사로 나눌 수 있다. | ||
| - | #### (1) 부정부사 | + | ### (1) 부정부사 |
| 부정부사는 언제나 피수식어 앞에 놓인다. 부정부사는 일반부정부사와 명령부정부사로 나눌 수 있다. | 부정부사는 언제나 피수식어 앞에 놓인다. 부정부사는 일반부정부사와 명령부정부사로 나눌 수 있다. | ||
| - | ##### 1) 일반부정부사 | + | #### 1) 일반부정부사 |
| 시수앙반나 방언의 일반부정부사로는 bau5 혹은 그 축소 형식인 m̩5 (중국어의 不, 沒에 해당)이 있다. | 시수앙반나 방언의 일반부정부사로는 bau5 혹은 그 축소 형식인 m̩5 (중국어의 不, 沒에 해당)이 있다. | ||
| 줄 47: | 줄 47: | ||
| }}} | }}} | ||
| - | ##### 2) 명령부정부사 | + | #### 2) 명령부정부사 |
| 명령부정부사로는 ‘ja5’, ‘pai1(pai5)’, ‘ja5pai1(ja5 pai5)’가 있다. | 명령부정부사로는 ‘ja5’, ‘pai1(pai5)’, ‘ja5pai1(ja5 pai5)’가 있다. | ||
| 줄 63: | 줄 63: | ||
| {{{eg>luuu1242 (yucuirong2009:330) | {{{eg>luuu1242 (yucuirong2009:330) | ||
| - | Pai5 tak8 seŋ1 | + | pai5 tak8seŋ1 |
| - | PROH makevoice | + | PROH makevoice |
| - | 소리내지 마라! | + | 소리내지 마라! |
| }}} | }}} | ||
| + | |||
| + | ### (2) 정도부사 | ||
| + | |||
| + | 다이어의 정도부사는 어떤 것들은 피수식어 뒤에 놓이고 어떤 것들은 피수식어 앞에 놓인다. 동사와 형용사를 모두 수식할 수 있는 정도부사도 있지만, 동사만 수식할 수 있거나 형용사만 수식할 수 있는 정도부사도 있다(yucuirong2009에 어떤 부사가 어떤 부류에 속하는지 분류가 되어 있거나 예시가 나와 있지는 않다). | ||
| + | |||
| + | |||
| + | 시수앙반나 방언의 정도부사의 예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eg>luuu1242 (yucuirong2009:331) | ||
| + | di1 tɛ4 | ||
| + | good very | ||
| + | 매우 좋다. | ||
| + | }}} | ||
| + | |||
| + | {{{eg>luuu1242 (yucuirong2009:331) | ||
| + | xwɛn4 pi2 | ||
| + | even.more fat | ||
| + | 더 살찌다. | ||
| + | }}} | ||
| + | |||
| + | 더홍 방언의 정도부사의 예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eg>luuu1242 (yucuirong2009:331) | ||
| + | Li6 te4te4 | ||
| + | good very | ||
| + | 매우 좋다. | ||
| + | }}} | ||
| + | |||
| + | |||
| + | {{{eg>luuu1242 (yucuirong2009:331) | ||
| + | Kai6 phɛu1 | ||
| + | far extremely | ||
| + | 매우 멀다. | ||
| + | }}} | ||
| + | |||
| + | |||
| + | ### (3) 범위, 조건부사 | ||
| + | |||
| + | 다이어의 범위, 조건부사로는 ‘Kɔi2ka6 : 단지, kɔi2 : 다만, kɔ4(kɔ3) : 모두, sam4(mɛn4) : 완전히 , tsiŋ5(tsaŋ5) : 비로소’ 등이 있다. | ||
| + | |||
| + | 다음은 더홍 방언의 ‘kɔi2 : 다만’의 예이다. | ||
| + | |||
| + | {{{eg>luuu1242 (yucuirong2009:331) | ||
| + | kɔi2 ka5 sɔŋ van2 | ||
| + | only go two day | ||
| + | 단지 이틀만 간다. | ||
| + | }}} | ||
| + | |||
| + | ### (4) 시간부사 | ||
| + | |||
| + | 시간부사들은 동사만을 수식한다. | ||
| + | 어떤 시간부사들은 피수식어 앞에 오고 어떤 시간부사들은 피수식어 뒤에 온다. | ||
| + | 상용되는 시간부사로는 ‘se5se5 : 자주, taŋ2van2 : 하루종일, ɔn1(ɔn6taːŋ2) : 먼저, pɔ2daːi1(pu2) : 이미, tɛ5tsau4 : 방금, sak7kam2 막’ 등이 있다. | ||
| + | |||
| + | ‘taŋ2van2 : 하루종일’의 예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eg>luuu1242 (yucuirong2009:332) | ||
| + | het8 taŋ2van2 | ||
| + | do all.day | ||
| + | 하루종일 하다 | ||
| + | }}} | ||
| + | |||
| + | #### 1) 더홍 방언 중국어 차용어 시간부사 | ||
| + | |||
| + | 더홍 방언에는 중국어를 차용한 시간부사들이 있다. 즉, ‘tseu2 : 이르게, 빨리, kaːn2kin2 : 빨리, tsaːŋ6tsaːŋ6 : 막’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피수식어 앞에 놓인다. | ||
| + | |||
| + | 이 중에서 ‘tseu2 : 이르게, 빨리’의 예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eg>luuu1242 (yucuirong2009:332) | ||
| + | tseu2 ka5 tseu2 ma2 | ||
| + | quick go quick come | ||
| + | 빨리 갔다 빨리 오다 | ||
| + | }}} | ||
| + | |||
| + | |||
| + | #### 2) 시수앙반나 방언 중국어 차용어 시간부사 | ||
| + | |||
| + | 시수앙반나 방언에도 중국어를 차용한 시간부사들이 있다. 즉, ‘tseu6 : 이르게, 빨리, kaːn2kin2 : 빨리’ 등이 있다. | ||
| + | |||
| + | 이 중에서 ‘kaːn2kin2 : 빨리’의 예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eg>luuu1242 (yucuirong2009:332) | ||
| + | kaːn2kin2 pai1 | ||
| + | quick go | ||
| + | 빨리 가다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