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dai:2_wordclass:27_num:27_num [2017/12/13 23:46] 127.0.0.1 바깥 편집 |
doc:dai:2_wordclass:27_num:27_num [2021/08/22 15:15] (현재) 박성하 |
||
|---|---|---|---|
| 줄 1: | 줄 1: | ||
| # 27_num : 수사 (numeral) | # 27_num : 수사 (numeral) | ||
| + | |||
| + | |||
| + | ### 기수사 | ||
| + | |||
| + | #### 상용 기수사 | ||
| + | |||
| + | - nɯŋ6(ləŋ6) : 일, 정(整) | ||
| + | |||
| + | - et7(et9) : 일 | ||
| + | |||
| + | - sɔŋ1 : 이 | ||
| + | |||
| + | - saːm1 : 삼 | ||
| + | |||
| + | - si5 : 사 | ||
| + | |||
| + | - ha3 : 오 | ||
| + | |||
| + | - hok7(hok9) : 육 | ||
| + | |||
| + | - tset7(tset9) : 칠 | ||
| + | |||
| + | - pɛt9 : 팔 | ||
| + | |||
| + | - kau3 : 구 | ||
| + | |||
| + | - sip7 : 십 | ||
| + | |||
| + | - saːu2 : 이십 | ||
| + | |||
| + | - hɔi4(paːk9) : 백 | ||
| + | |||
| + | - pan2(heŋ1) : 천 | ||
| + | |||
| + | - mɯn5(mun5) : 만 | ||
| + | |||
| + | 이 중에서 saːu2(이십)는 수사 saːm1(삼)의 수식만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육십은 hok7sip7(육십)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saːm1saːu2(삼이십)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그러나 팔십은 pɛt9sip7(팔십)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si5saːu2(사이십)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 ||
| + | |||
| + | |||
| + | #### 다이어 수사와 중국어 수사의 다른 점 | ||
| + | |||
| + | ##### (1) ‘一’을 나타내는 수사 nɯŋ6(ləŋ6)은 양사 뒤에 쓰임 | ||
| + | |||
| + | 현대 중국어에서 수사 ‘一’은 양사 앞에서 쓰이는 반면 다이어에서 ‘一’을 나타내는 수사 nɯŋ6(ləŋ6) 은 양사 혹은 양사 작용을 하는 명사 뒤에서만 쓰일 수 있다. | ||
| + | |||
| + | {{{eg>luuu1242 (yucuirong2009:314) | ||
| + | vaːn5 nɯŋ6 | ||
| + | dish one | ||
| + | 그릇 하나 | ||
| + | }}} | ||
| + | |||
| + | ##### (2) ‘整’ 개념 나타내기 | ||
| + | |||
| + | 십 혹은 십의 배수 뒤에 nɯŋ6(ləŋ6)을 부가해서 ‘整’의 개념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sip7nɯŋ6 : 一十整 | ||
| + | |||
| + | - saːu2nɯŋ6 : 二十整 | ||
| + | |||
| + | - hɔi4nɯŋ6 : 一百整 | ||
| + | |||
| + | - mɯn5nɯŋ6 : 一萬整 | ||
| + | |||
| + | 그러나 삼십부터 구십 사이의 숫자 뒤에서는 ‘整’의 개념을 나타낼 때는 nɯŋ6(ləŋ6)을 쓰지 않고 tat8 을 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si5sip7tat8 : 四十整 | ||
| + | |||
| + | - kau3sip7tat8 : 九十整 | ||
| + | |||
| + | |||
| + | ##### (3) 어림수 나타내기 | ||
| + | |||
| + | 다이어에서 二 이상의 수사 혹은 二 이상의 두 개의 인접한 수사와 양사가 조합되어 같이 나타나는 경우, 그 뒤에 nɯŋ6(ləŋ6)을 부가해서 그 앞의 수가 어림수임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eg>luuu1242 (yucuirong2009:314) | ||
| + | Si5 ha3 noi5 nɯŋ6 | ||
| + | four five CL one | ||
| + | 네다섯 개 | ||
| + | }}} | ||
| + | |||
| + | |||
| + | ##### (4) 합성수 안의 ‘일(一)’은 et9(et7) 사용 | ||
| + | |||
| + | '십일, 이십일, 육십일, 구십일' 등의 합성수 안의 ‘일(一)’은 nɯŋ6(ləŋ6)을 쓰지 않고 et9(et7)을 써야 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sip7et7 : 十一 | ||
| + | |||
| + | - kau3sip7et7 : 九十一 | ||
| + | |||
| + | et9(et7) 이 ‘백, 천, 만’ 등의 수 뒤에 쓰이면 바로 아래 단위의 정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hɔi4et7 : 一百一十 | ||
| + | |||
| + | - pan2et7 : 一千一百 | ||
| + | |||
| + | - mɯn5et7 : 一萬一千 | ||
| + | |||
| + | et9(et7)은 수를 세는데 쓸 수 없으며 명사, 양사와 연용할 수 없다. | ||
| + | |||
| + | 그 밖에도 시수앙반나 방언에서 si1sak7 (一)은 부정 형식에서만 쓰인다. | ||
| + | |||
| + | |||
| + | ##### (5) 단독 개념을 나타낼 때 deu1(leu6) 사용 | ||
| + | |||
| + | 단독의, 하나밖에 없는 개념을 나타낼 때는 nɯŋ6(ləŋ6)을 쓰지 않고 deu1(leu6)을 쓴다. | ||
| + | |||
| + | 시수앙반나 방언의 예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eg>luuu1242 (yucuirong2009:316) | ||
| + | Luk8tsaːi2 deu1 | ||
| + | Son only.one | ||
| + | 외아들 | ||
| + | }}} | ||
| + | |||
| + | 더홍 방언의 예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eg>luuu1242 (yucuirong2009:316) | ||
| + | ko4 leu6 ma2 | ||
| + | CL only.one come | ||
| + | 혼자 오다 | ||
| + | }}} | ||
| + | |||
| + | ##### (6) ‘0’ 을 나타내는 두 가지 방법 | ||
| + | |||
| + | ###### 수량이 없음을 나타낼 때 sun1(liŋ3) 사용 | ||
| + | |||
| + | 다음은 더홍방언의 예이다. | ||
| + | |||
| + | {{{eg>luuu1242 (yucuirong2009:316) | ||
| + | sɔŋ1 jɯt7 sɔŋ1 lai3 liŋ3 | ||
| + | two minus two get zero | ||
| + | 2 빼기 2 는 0 | ||
| + | }}} | ||
| + | |||
| + | ###### 3자리 이상 숫자에서는 paːi1(paːi6) 사용 | ||
| + | |||
| + | {{{eg>luuu1242 (yucuirong2009:316) | ||
| + | hɔi4 paːi1 nɯŋ6 | ||
| + | hundred zero one | ||
| + | 101 | ||
| + | }}} | ||
| + | |||
| + | ##### (7) 서기 년도 표시법 | ||
| + | |||
| + | 1978년 2월 8일을 예로 들면 시수앙반나 방언에서는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 ||
| + | |||
| + | {{{eg>luuu1242 (yucuirong2009:316) | ||
| + | Pi1 pan2 kau3 hɔi4 tset7 sip7 pɛt9 dən1 kam1 ɔk9 pɛt9 xam6 | ||
| + | year thousand nine hundred seven ten eight month two come.out eight day | ||
| + | 1978년 2월8일 | ||
| + | }}} | ||
| + | |||
| + | 더홍방언에서는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 ||
| + | |||
| + | {{{eg>luuu1242 (yucuirong2009:316) | ||
| + | heŋ1 kau3 paːk9 tset9 sip7 pɛt9 pi6 lən6 kam6 lai3 pɛt9 van2 | ||
| + | thousand nine hundred seven ten eight year month two get eight day | ||
| + | 1978년 2월8일 | ||
| + | }}} | ||
| + | |||
| + | |||
| + | ### 서수사 | ||
| + | |||
| + | #### 서수를 나타내는 방법 | ||
| + | |||
| + | 서수를 나타내는 방법으로는 고유하고 독립된 서수사를 사용하는 방법과 기수사 앞에 양사 혹은 양사 작용을 하는 명사를 사용하여 서수를 나타내는 방법이 있다. 그리고 그 외에도 중국어 ‘第’의 차용어인 ‘ti5’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 ||
| + | |||
| + | ##### (1) 고유하고 독립된 서수사 사용 | ||
| + | |||
| + | 시수앙반나 방언의 고유하고 독립된 서수사로는 thi2, thon3이 있고, 더홍방언에는 laːm5 이 있다. 기수사 앞에 이 서수사를 놓아 서수를 나타낸다. | ||
| + | 시수앙반나 방언의 thi2의 예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eg>luuu1242 (yucuirong2009:317) | ||
| + | thi2 ha3 | ||
| + | auxiliary.word.for.ordinal.numbers five | ||
| + | 제 5. | ||
| + | }}} | ||
| + | |||
| + | 더홍방언 laːm5의 예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eg>luuu1242 (yucuirong2009:317) | ||
| + | laːm5 ha3 | ||
| + | auxiliary.word.for.ordinal.numbers five | ||
| + | 제 5. | ||
| + | }}} | ||
| + | |||
| + | |||
| + | ##### (2) 양사 혹은 양사 작용 명사 사용 | ||
| + | |||
| + | 더홍 방언에서는 기수사 앞에 양사 혹은 양사 작용의 명사를 놓아 서수를 나타낼 수 있다. 즉, ‘thi2’, ‘thon3’을 쓰지 않고도 서수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시수앙반나 방언에서는 그렇게 할 수 없다. | ||
| + | |||
| + | |||
| + | 더홍 방언의 그 예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eg>luuu1242 (yucuirong2009:317) | ||
| + | laːi2 pap8 saːm1 | ||
| + | book CL three | ||
| + | 세 번째 책 | ||
| + | }}} | ||
| + | |||
| + | |||
| + | {{{eg>luuu1242 (yucuirong2009:317) | ||
| + | lɔn8 ha3 | ||
| + | month five | ||
| + | 다섯 번째 달 | ||
| + | }}} | ||
| + | |||
| + | ##### (3) 중국어 차용 | ||
| + | |||
| + | 더홍 방언과 시수앙반나 방언 모두 중국어 ‘第’의 차용어인 ‘ti3’를 사용한다. | ||
| + | 그러나 일반적으로 ‘ti5 ji4 tsu2’ : 제 1조, 혹은 ‘ti5 ə5 tui5’ : 제 2 팀 과 같은 구에만 사용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