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darang:4_ss:45_wo:45_wo [2020/11/28 00:29] 마영리 |
doc:darang:4_ss:45_wo:45_wo [2020/11/28 00:32] (현재) 마영리 |
||
|---|---|---|---|
| 줄 14: | 줄 14: | ||
| - (2) 명사나 대명사가 관형어로 중심어의 앞에 온다. | - (2) 명사나 대명사가 관형어로 중심어의 앞에 온다. | ||
| - | {{{eg>diga1241 (sunhongkai2007:622) | + | 예: |
| | koŋ⁵⁵ʂe⁵⁵ ɑ³¹bɑ⁵⁵ tho⁵⁵lɑ⁵⁵tɕi⁵⁵ 공사의 트랙터 | | | koŋ⁵⁵ʂe⁵⁵ ɑ³¹bɑ⁵⁵ tho⁵⁵lɑ⁵⁵tɕi⁵⁵ 공사의 트랙터 | | ||
| | 공사(관형어) (조사) 트랙터 | | | 공사(관형어) (조사) 트랙터 | | ||
| | xɑŋ³⁵ tɑ³¹ko⁵⁵ 나의 책 | | | xɑŋ³⁵ tɑ³¹ko⁵⁵ 나의 책 | | ||
| | 나(관형어) 책 | | | 나(관형어) 책 | | ||
| - | }}} | + | |
| - 형용사와 수량사 어절이 관형어일 때 중심어의 뒤에 온다. | - 형용사와 수량사 어절이 관형어일 때 중심어의 뒤에 온다. | ||
| - | {{{eg>diga1241 (sunhongkai2007:622) | + | 예: |
| | mɑ³¹sɯŋ⁵³ dɯ³¹ɹɯŋ⁵⁵ 큰 나무 | | | mɑ³¹sɯŋ⁵³ dɯ³¹ɹɯŋ⁵⁵ 큰 나무 | | ||
| | 나무 크다(관형어) | | | 나무 크다(관형어) | | ||
| 줄 30: | 줄 30: | ||
| | 소 마리 다섯(관형어) | | | 소 마리 다섯(관형어) | | ||
| - | }}} | + | |
| - (3) 부사어는 보통 서술어의 앞에 온다. 시간 부사어와 장소 부사어는 가끔 주어의 앞에 올 수 있다. | - (3) 부사어는 보통 서술어의 앞에 온다. 시간 부사어와 장소 부사어는 가끔 주어의 앞에 올 수 있다. | ||
| {{{eg>diga1241 (sunhongkai2007:622) | {{{eg>diga1241 (sunhongkai2007:622) | ||
| - | |||
| e⁵⁵ tɑ³¹bɹɯ⁵⁵ e⁵⁵ ȵoŋ³⁵ kɯ³¹tshɯ⁵⁵ kɑ³¹po⁵³ ŋ̊ŋ³⁵. | e⁵⁵ tɑ³¹bɹɯ⁵⁵ e⁵⁵ ȵoŋ³⁵ kɯ³¹tshɯ⁵⁵ kɑ³¹po⁵³ ŋ̊ŋ³⁵. | ||
| this stuff this 2SG for.the.time.being take.care.of give | this stuff this 2SG for.the.time.being take.care.of give | ||
| 이 물건은 잠깐 보관해 줘. | 이 물건은 잠깐 보관해 줘.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