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 |||
doc:darang:8_lexicology:82_wform:82_wform [2020/11/28 01:04] 마영리 |
doc:darang:8_lexicology:82_wform:82_wform [2020/11/28 01:10] (현재) 마영리 |
||
---|---|---|---|
줄 1: | 줄 1: | ||
# 82_wform : 조어법 (word formation) | # 82_wform : 조어법 (word formation) | ||
- | ### 파생법 | + | ### 1) 파생법 |
- 접두사와 접미사를 붙는 방식으로 단어를 만든다. 다랑어에 접두사가 아주 풍부하며, 접두사를 가진 단어는 50%에 가깝다. 접두사는 보통 경성으로 발음하며, 성모에는 복합자음이 나타나지 않고, 운모에는 i, ɑ, ɯ 3개의 단모음 밖에 없다. | - 접두사와 접미사를 붙는 방식으로 단어를 만든다. 다랑어에 접두사가 아주 풍부하며, 접두사를 가진 단어는 50%에 가깝다. 접두사는 보통 경성으로 발음하며, 성모에는 복합자음이 나타나지 않고, 운모에는 i, ɑ, ɯ 3개의 단모음 밖에 없다. | ||
줄 17: | 줄 17: | ||
| khɑ³¹-: khɑ³¹-liau⁵⁵ 밭 | khɯ³¹-: khɯ³¹-lɑu⁵³ 황해쑥 | gɑ³¹-: gɑ³¹-ɹoŋ⁵⁵ 미나리| | | khɑ³¹-: khɑ³¹-liau⁵⁵ 밭 | khɯ³¹-: khɯ³¹-lɑu⁵³ 황해쑥 | gɑ³¹-: gɑ³¹-ɹoŋ⁵⁵ 미나리| | ||
| gɯ³¹-: gɯ³¹-ɹɑu⁵⁵ 당나귀 | ɑ³¹-: ɑ³¹-sɯŋ⁵⁵ 살아 있는 | xɑ³¹-: xɑ³¹-po⁵⁵ 폐 | | | gɯ³¹-: gɯ³¹-ɹɑu⁵⁵ 당나귀 | ɑ³¹-: ɑ³¹-sɯŋ⁵⁵ 살아 있는 | xɑ³¹-: xɑ³¹-po⁵⁵ 폐 | | ||
+ | |||
+ | }}} | ||
- 소수의 단어에는 어근에 2 개의 접두사를 붙을 수 있다. 예컨대, ɑ³¹-tɯ³¹-mɹoŋ⁵⁵ ‘동무, 친구’ , tɑ³¹-kɯ³¹-lo⁵⁵ ‘물조개’가 있다. | - 소수의 단어에는 어근에 2 개의 접두사를 붙을 수 있다. 예컨대, ɑ³¹-tɯ³¹-mɹoŋ⁵⁵ ‘동무, 친구’ , tɑ³¹-kɯ³¹-lo⁵⁵ ‘물조개’가 있다. | ||
줄 49: | 줄 51: | ||
}}} | }}} | ||
- | ### 합성법 | + | ### 2) 합성법 |
- 합성어를 형성하는 어근 간의 관계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5가지로 나눌 수 있다. | - 합성어를 형성하는 어근 간의 관계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5가지로 나눌 수 있다. | ||
줄 127: | 줄 129: | ||
}}} | }}} | ||
- | ### 의성법 | + | ### 3) 의성법 |
- 2가지가 있다. 하나는 물체가 내는 소리에 따라 그 물체 또는 동작을 명명한다. | - 2가지가 있다. 하나는 물체가 내는 소리에 따라 그 물체 또는 동작을 명명한다. | ||
줄 147: | 줄 149: | ||
}}} | }}} | ||
- | ### 4음연면(聯綿)법 | + | ### 4) 4음연면(聯綿)법 |
- 다음과 같은 3가지가 있다. | - 다음과 같은 3가지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