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dargwa:2_wordclass:22_noun:22_noun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dargwa:2_wordclass:22_noun:22_noun [2020/08/27 08:44]
동영은
doc:dargwa:2_wordclass:22_noun:22_noun [2021/03/16 03:38] (현재)
동영은
줄 1: 줄 1:
-# 22_noun :  명사 (noun)+# 22_noun : 명사 (noun)
  
-명사는 격 구분+명사는 수, , 클래스(성) 범주가 있다
  
 ### 클래스 구분 ### 클래스 구분
줄 9: 줄 9:
 ###### 1) 남성지칭 ###### 1) 남성지칭
  
-클래스 표지 : -в-+클래스 표지 : -в- (G1으로 주석) 
 +- 종교와 관련된 명사들도 1 클래스에 속한다 (Аллагь '​god',​ малаик '​angel',​ идбаг '​prophet'​)
  
 {{{eg>​darg1241 (Musaev2001:​340) {{{eg>​darg1241 (Musaev2001:​340)
-узи в-акӀиб +узи в-акӀ-иб 
-sibling CLASS.M.SG-come+brother G1-come-AOR
 형(남동생)이 왔다 형(남동생)이 왔다
 }}} }}}
 +
 +- 신체부위 명사가 1 클래스 표지와 쓰여서 남성의 신체를 지칭할 수 있다
 +
 +{{{lex>​darg1241 (Abdullaevetal2014:​131)
 +
 +- вяхӀ : face of a man
 +- вай : waist of a man
 +
 +}}}
 +
 +- 모음 у나 и 앞에서 в 표지는 탈락될 수 있다
 +
 +{{{eg>​darg1241 (Abdullaevetal2014:​131)
 +узи уз-улри ( <- в-уз-улри )
 +brother work-CVB ( <- G1-work-CVB )
 +형은 일을 했다
 +}}}
 +
  
 ###### 2) 여성지칭 ###### 2) 여성지칭
  
-클래스 표지 : -р-+클래스 표지 : -р- (G2로 주석)
  
 {{{eg>​darg1241 (Musaev2001:​340) {{{eg>​darg1241 (Musaev2001:​340)
-р-узи р-акӀиб +р-узи р-акӀ-иб 
-CLASS.F.SG-sibling CLASS.F.SG-come +G2-brother G2-come-AOR 
-언니(여동생)이 왔다+언니(여동생)가 왔다 
 +}}} 
 + 
 +- 신체부위 명사가 2 클래스 표지와 쓰여서 여성의 신체를 지칭할 수 있다  
 + 
 +{{{lex>​darg1241 (Abdullaevetal2014:​132) 
 + 
 +- ряхӀ : face of a woman 
 +- рай : waist of a woman 
 + 
 +}}} 
 + 
 +- 직업명사 중 특히 현대 러시아어에서 차용된 아래의 명사들은 고유 다르구아어 명사와 달리 실제 지시체의 성에 따라서 G1 또는 G2와 일치를 보일 수 있다. 아래와 같은 명사들이 이에 해당한다. 
 + 
 +{{{eg>​darg1241 (Abdullaevetal2014:​133) 
 +директор в-акӀ-иб 
 +director G1-come-AOR 
 +감독(남)이 왔다 
 +}}} 
 + 
 +{{{eg>​darg1241 (Abdullaevetal2014:​133) 
 +директор р-акӀ-иб 
 +director G2-come-AOR 
 +감독(여)이 왔다 
 +}}} 
 + 
 +{{{lex>​darg1241 (Abdullaevetal2014:​133) 
 + 
 +- директор : director 
 +- агроном : agronomist 
 +- инженер : engineer 
 +- завуч : school head 
 +- бухгалтер : accountant 
 +- кассир : cashier 
 +- секретарь : secretary 
 }}} }}}
  
줄 30: 줄 84:
 ###### 3) 그 외 ###### 3) 그 외
  
-클래스 표지 : -б-+클래스 표지 : -б- (G3로 주석) 
 +- 신체부위 명사가 3클래스 표지와 쓰여서 동물의 몸을 지칭할 수 있다  
 + 
 +{{{lex>​darg1241 (Abdullaevetal2014:​132) 
 + 
 +- бяхӀ : face of an animal 
 +- бай : waist of an animal 
 + 
 +}}}
  
 ##### 복수 명사 및 집합명사의 클래스 구분 ##### 복수 명사 및 집합명사의 클래스 구분
 +
 +복수 명사에서는 남성과 여성의 구분이 사라지고 유정명사와 무정명사의 2가지 클래스만 구분된다
  
 ###### 1) 사람 지칭 ###### 1) 사람 지칭
  
-클래스 표지 : -б-+클래스 표지 : -б- (G4로 주석)
  
 ###### 2) 그 외 ###### 2) 그 외
  
-클래스 표지 : -д-/-р-+클래스 표지 : -д-/​-р- ​(G5로 주석) 
 + 
 +##### 클래스 표지의 사용 
 + 
 +- 주로 접두사로 쓰이지만 접요사나 접미사로 쓰일 수도 있으며, 때로는 한 어휘에 2~3개의 클래스 표지가 쓰일 수도 있다 
 + 
 +{{{eg>​darg1241 (Musaev2001a:​360) 
 +р-ехӀ-р-ихъ-иб 
 +G2-begin-G2-UNK-AOR 
 +(그녀는) 시작했다 
 +}}} 
 + 
 +{{{eg>​darg1241 (Musaev2001a:​360) 
 +р-айгьа-р-р-ик-иб 
 +G2-go.across-G2-G2-UNK-AOR 
 +(그녀는) 가로질러 갔다 
 +}}} 
 + 
 +- 신체부위나 친족을 나타내는 명사는 클래스에 따라서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 
 + 
 +{{{eg>​darg1241 (Musaev2001a:​360) 
 +в-яхӀ 
 +G1-face 
 +그의 얼굴 
 +}}} 
 + 
 +{{{eg>​darg1241 (Musaev2001a:​360) 
 +р-яхӀ 
 +G2-face 
 +그녀의 얼굴 
 +}}} 
 + 
 +{{{eg>​darg1241 (Musaev2001a:​360) 
 +в-узи 
 +G1-brother 
 +형제 
 +}}} 
 + 
 +{{{eg>​darg1241 (Musaev2001a:​360) 
 +р-узи 
 +G2-brother 
 +자매 
 +}}} 
 + 
 +{{{eg>​darg1241 (Musaev2001a:​360) 
 +б-узи 
 +G3-brother 
 +(가축에 대해) 남매 
 +}}} 
 + 
 +- 클래스에 따라서 어휘요소 뿐만 아니라 문법요소의 표지가 달라지기도 한다 
 + 
 +^ 품사 ^ 의미 ^ G1 ^ G2 ^ G3 ^ 
 +| 접두사 | ~로부터 | в-ет | р-ет | б-ет | 
 +| 접미사 | ~의(소유 형용사) | че-в | че-р | че-б | 
 +| 격어미 | 재격(essive) | зи-в | зи-р | зи-б | 
 + 
 + 
 +- 모든 형용사와 동사가 클래스 표지를 사용하지는 않는다 
  
 ### 수 구분 ### 수 구분
줄 47: 줄 170:
 - 복수를 표지하는 접미사는 다양(-би,​ -ни, -ти, -ми, -ри, -и 등) - 복수를 표지하는 접미사는 다양(-би,​ -ни, -ти, -ми, -ри, -и 등)
  
-{{{eg>​darg1241 (Musaev2001:340)+{{{eg>​darg1241 (Musaev2001a:360)
 уз-би уз-би
-sibling-PL+brother-PL
 형제들 형제들
 }}} }}}
  
-{{{eg>​darg1241 (Musaev1998:103)+{{{eg>​darg1241 (Musaev2001a:360)
 юрт-ани юрт-ани
 house-PL house-PL
줄 59: 줄 182:
 }}} }}}
  
-{{{eg>​darg1241 (Musaev1998:103)+{{{eg>​darg1241 (Musaev2001a:360)
 адам-ти адам-ти
 person-PL person-PL
줄 65: 줄 188:
 }}} }}}
  
-{{{eg>​darg1241 (Musaev2001:340)+{{{eg>​darg1241 (Musaev2001a:361)
 ши-ми ши-ми
 town-PL town-PL
줄 71: 줄 194:
 }}} }}}
  
-- 모음교체가 일어나기도 한다+복수 표지 앞 어근의 ​모음교체가 일어나기도 한다 
 + 
 +{{{lex>​darg1241 (Musaev2001:​340) 
 + 
 +- кам : ski & кумри : skins
  
-{{{eg>​darg1241 (Musaev2001:​340) 
-кам 
-skin 
-가죽 
 }}} }}}
  
-{{{eg>​darg1241 (Musaev2001:340+ 
-кум-ри +- 복수표지 없이 모음교체 만으로 복수를 표현하기도 한다(3음절 명사) 
-skin-PL + 
-가죽들+{{{lex>​darg1241 (Musaev2001a:361
 + 
 +набадари : carrot & набадури : carrots 
 +гидгари : egg & гидгури : eggs 
 }}} }}}
 +
 +{{{lex>​darg1241 (Abdullaevetal2014:​120)
 +
 +- бехӀцӀари : cookie & бехӀцӀури : cookies
 +- гантари : corner & гантури : corners
 +
 +}}}
 +
 +- 모음교체와 접미사가 함께 쓰일 수도 있다
 +
 +{{{lex>​darg1241 (Musaev2001a:​361)
 +
 +- кабц : knife & кубцри : knives
 +
 +}}}
 +
  
 ### 격변화 ### 격변화
  
-- 다르구아어는 기본적으로 능격어 ​구조의 ​특성을 ​지닌.+- 다르구아어는 기본적으로 능격어적인 ​특성을 ​보인
  
-{{{eg>​darg1241 (Abdullaev1966:511) +{{{eg>​darg1241 (Abdullaev1967:511) 
-нуни жуз бучӀул-ра +ну-ни    жуз ​        ​б-учӀ-ул-ра 
-PRON.1SG.ERG book.NOM read-PRS.1SG +1SG-ERG book(G3).ABS G3-read-PRS-1 
-나는 책을 읽+나는 책을 읽고 있
 }}} }}}
  
  
-##### 일반격+- 다르구아어의 격의 수는 완전히 합의된 결론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표준어에서 (시리즈를 제외하고도) 11개의 격 (7개의 추상격, 4개의 처소 관련격)을 구분한다 
 +- 추상격 7개 : 절대격, 능격, 속격, 여격, 동반격, 전치격(주제격),​ 도구격(원인격) 
 +- 처소관련격 4개 : 방향격, 재격, 향격, 탈
  
-Musaeve의 이전 문헌에는 (1998:105) 일반격 7개를 추상격이라고 부르며 조금 다르게 분류한다:​ 주격, 능격, 속격, 여격, 동반격, 주제격, 도구격. 명칭의 차이 또는 아래와 같은 분류의 차이가 있다. 
  
-- Musaev(1998:​105)는 다르구아어의 도구(-чибли)을 인정하고 그 주된 의미는 행위의 도구이고 때로 원인을 나타낼 수 있다고 설명한 반면, Musaev(2001)에서는 다르구아어에 (대격과) 도구격이 없고 주격, 능격, 원인격 등으로 그 역할을 대신한다고 설명했다+#### 추상
  
-{{{eg>​darg1241 (Musaev1998:105+- 7개의 추상격은 문헌에 따라서 조금씩 명칭의 차이 또는 분류의 차이가 있다. 
-иш секӀал хӀе-чибли биубси саби +- 비고. 다른 격들에 비해 의미 스펙트럼이 약하지만 7개의 추상격 외에 변성격(превратительный падеж)을 인정하는 연구도 있다.(Abdullaevetal 2014:167) 
-UNK UNK  PRON.2SG-INS UNK UNK + 
-이것은 너 때문에 일어났+ 
 + 
 +##### 절대격 (-∅) 
 + 
 +- 자동사의 주어 
 + 
 +{{{eg>​darg1241 (Musaev2001a:361
 +Неш-∅ р-акӀ-иб 
 +mom-ABS G2--come-AOR 
 +엄마가 왔
 }}} }}}
  
-주제격: 발화의 주제 또는 감정의 대상 등을 표현 (-чила)+타동사의 목적어
  
-{{{eg>​darg1241 (Musaev1998:105+ 
-хӀе-чила гъай-хӀе-бикӀи +{{{eg>​darg1241 (Musaev2001a:361
-PRON.2SG-PREP   UNK +Неши урши-∅ вагь-ур 
-너에 대해서 이야기하지 않았다+mom-ERG son-ABS recognize-AOR 
 +엄마는 아들을 알아보았다
 }}} }}}
  
-{{{eg>​darg1241 (Musaev1998:105+- 시간적 배경 
-неш ​урши-ли-чила шишимрикӀули сари + 
-mom son-간접어간-INS UNK UNK +{{{eg>​darg1241 (Musaev2001a:361
-엄마는 아들 때문에 슬퍼한+ДуцӀрум-∅ р-акӀ-иб 
 +summer-ABS G2-come.AOR 
 +여름에 (그녀가) 왔다 (G2: 여성 단수)
 }}} }}}
  
-<​note>​ +##### 능격 (-ли, -ни, -й) 
-#disqus 원인격(/도구격), 주격(/​전치격)은 따로 gloss 없는데 연구서에 따라 격 름이 혼용되서 도구격, 전치으로 gloss 가능?+ 
 +- 타동사의 주어 
 + 
 +{{{eg>​darg1241 (Musaev2001a:​361) 
 +Неш-ли урши-∅ вагь-ур 
 +mom-ERG son-ABS recognize-AOR 
 +엄마는 아들을 알아보았다 
 +}}} 
 + 
 +도구 
 + 
 +{{{eg>​darg1241 (Musaev2001a:​361) 
 +Ну-ни ​  ​кагъар ​   калам-ли ​ б-е-л-кӀ-унра 
 +1SG-ERG letter(G3) pencil-ERG ​ G3-TV-CONN-write-PERF.1SG 
 +Я письмо карандашом написал 
 +나는 연필로 편지를 다 썼다 
 +}}} 
 + 
 + 
 +##### 속격 (-ла, -на, 어간축약) 
 + 
 + 
 +- 한정적 관계 
 + 
 +{{{eg>​darg1241 (Musaev2001a:​362) 
 +дудеш-ла хӀяка 
 +father-GEN fur.coat 
 +아버지의 외투 
 +}}} 
 + 
 +{{{eg>​darg1241 (Musaev2001a:​362) 
 +халкь-ла хӀурмат 
 +human-GEN honor 
 +인간의 명예 
 +}}} 
 + 
 + 
 +- 상실동사의 목적어 
 + 
 +{{{eg>​darg1241 (Musaev2001a:​362) 
 +Гӏиниз шин-на бегъ-уб 
 +spring water-GEN be.lost-AOR 
 +온천 물이 사라졌다(말랐다) 
 +}}} 
 + 
 + 
 + 
 +- 전체의 일부분 
 + 
 +{{{eg>​darg1241 (Musaev2001a:​362) 
 +Ну-ни ​   чай-ла бержи-ра 
 +1SG-ERG tea-GEN drink-PERF.1SG 
 +나는 차를 (좀) 마셨다 
 +}}} 
 + 
 +- 후치사 앞 
 + 
 +{{{eg>​darg1241 (Musaev2001a:​362) 
 +школа-ла гьала 
 +school-GEN ahead.of 
 +학교 앞에 
 +}}} 
 + 
 + 
 +##### 여격 (-с대명사에서는 -б, -д도 사용) 
 + 
 +로 수신인 
 + 
 +{{{eg>​darg1241 (Musaev2001a:​362) 
 +ДурхӀяли-с гӀинц бед-иб 
 +boy-DAT apple give-AOR 
 +소년에게 사과를 주었다 
 +}}} 
 + 
 + 
 +##### 동반격 (-личил/-чил) 
 + 
 +- 행위의 동반대상,​ 도구 
 + 
 + 
 +##### 전치격/주제격 (-чила) 
 + 
 +- 주로 발화의 주제 
 + 
 +{{{eg>​darg1241 (Musaev2001a:​362) 
 +Хӏе-чила ​  ​гъаи-хӀе-б-и-кӀ-и 
 +2SG-PREP ​  ​UNK-NEG-G4-TV-speak-IMPERF 
 +에 대해서 ​야기하지 않았다 (G4: 복수 유정) 
 +}}} 
 + 
 +- 걱정의 대상 
 + 
 +{{{eg>​darg1241 (Musaev2001a:​362) 
 +Неш урши-ли-чила шишимрикӀу-ли сари 
 +mom son-CONN-INS grieve-CVB ​ COP.G2 
 +엄마는 아들 때문에 슬퍼한다(-ли는 간접간 형성) 
 +}}} 
 + 
 + 
 + 
 +##### 도구격/원인격 (-чибли) 
 + 
 +- 행위의 도구, 원인 
 + 
  
-#disqus 어간이 두 가지일 때 간접어간을 나타내는 형태소 gloss? 
-</​note>​ 
  
 ##### 처소관련격 ##### 처소관련격
 +###### 처소관련격들의 특징
  
 - 4개의 처소관련격은 각각 행위의 지점에 따라 5개의 시리즈로 구분된다(Musaev2001) - 4개의 처소관련격은 각각 행위의 지점에 따라 5개의 시리즈로 구분된다(Musaev2001)
  
-{{{lex>​darg1241 (Musaev2001:​340)+{{{lex>​darg1241 (Musaev2001:​341)
  
-- -чи :  +- -чи : on 
-- -у : 아래 +- -у : under 
-- -зи : 안 (차있는 공간+- -зи : into (the body or the mass
-- -хӀи : 안 (빈 공간+- -хӀи : into (the hollow space
-- -гӀи : 근처+- -гӀи : at
  
 }}} }}}
  
-단수와 복수에 따른 격어미 차이는 ​+- 이하 처소관련격으로 표현하는 의미들은 속격 + 후치사의 조합으로 대신할 수도 있
  
-- Musaev(1998:105)는 처소관련격의 구분 역시 2001년 문헌과 조금 다르다: 방향격, 재격, 향격, 탈격 +{{{lex>​darg1241 ​(Musaev2001a:362)
-- 아래 명사의 격변화 예시는 격표지가 제시된 Musaev(1998:​108)을 기준으로 한다+
  
-^ 격 ^ 단수 활용 예 ^ 복수 활용 예 ^ +- чеди : on 
-격 | унц ​: ox | унц-и |+- уди : under 
 +- гьала : ahead of 
 +- гӀела : behind 
 +- мякьла : near 
 +- урга : between 
 +- бухӀна : inward 
 +- алав : around 
 + 
 +}}} 
 + 
 + 
 + 
 +###### 방향격 
 + 
 +- 방향격의 형태는 시리즈 표지와 일치한다 
 +- 다른 대상이 가까워지는 대상을 표현 
 + 
 + 
 +{{{eg>​darg1241 (Musaev2001a:​362) 
 +Жуз стол-ли-чи кабихь-а 
 +book table-CONN-LAT.on put.down-IMP 
 +책을 탁자 위에 놓아라(-ли는 간접어간 형성) 
 +}}} 
 + 
 + 
 + 
 +###### 재격 (방향격에 클래스 표지를 덧붙인 형태) 
 + 
 +- 정적인 위치 
 + 
 +{{{eg>​darg1241 (Musaev2001a:​362) 
 +Газета стол-ли-чи-б саби 
 +newspaper(G3) table-CONN-on-ESS.G3 COP.G3 
 +신문은 탁자 위에 있다(-ли는 간접어간 형성) 
 +}}} 
 + 
 + 
 +###### 향격 (-вяхӀ, -ряхӀ, -бяхӀ, -дяхӀ) 
 + 
 +- 사물이 향하는 방향 (끝까지 다다를 필요는 없다) 
 + 
 +{{{eg>​darg1241 (Musaev2001a:​362) 
 +вацӀализи-бяхӀ 
 +woods-ALL 
 +숲 쪽으로 
 +}}} 
 + 
 +###### 탈격 (-ад) 
 + 
 +{{{eg>​darg1241 (Musaev2001a:​362) 
 +вацӀализиб-ад 
 +woods-ABL 
 +숲 으로부터 
 +}}} 
 + 
 + 
 + 
 +^ 격 ^ 단수활용 예 ^ 복수활용 예 ^ 
 +절대격 | унц-∅ | унц-и |
 | 능격 | унц-ли | унца-ни | | 능격 | унц-ли | унца-ни |
 | 속격 | унц-ла | унца-ла | | 속격 | унц-ла | унца-ла |
 | 여격 | унц-ли-с | унца-с | | 여격 | унц-ли-с | унца-с |
 | 동반격 | унц-ли-чил | унца-чил | | 동반격 | унц-ли-чил | унца-чил |
-| 주제격 | унц-ли-чила | унца-чила | +전치격(주제격| унц-ли-чила | унца-чила | 
-| 도구격 | унц-ли-чибли | унца-чибли |+| 도구격(원인격) ​| унц-ли-чибли | унца-чибли |
 | 방향격 | унц-ли-чи | унца-чи | | 방향격 | унц-ли-чи | унца-чи |
-| 향격 | унц-ли-чибяхӀ | унца-чи-бяхӀ |+| 향격 | унц-ли-чи-бяхӀ | унца-чи-бяхӀ |
 | 재격 | унц-ли-чи-б | унца-чи-б | | 재격 | унц-ли-чи-б | унца-чи-б |
 | 탈격 | унц-ли-чи-б-ад | унца-чи-б-ад | | 탈격 | унц-ли-чи-б-ад | унца-чи-б-ад |
줄 162: 줄 478:
  
 - 위 표에는 단수 간접어간 중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제 3형(-ли)이 쓰였다. - 위 표에는 단수 간접어간 중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제 3형(-ли)이 쓰였다.
-- 간접어간 1형(-ни),​ 2형 (-й) 어간도 있다 +- 간접어간에는 ​1형(-ни),​ 2형 (-й) 어간도 있다 
-- 단수와 복수의 격어미 차이는 ​+- 단수와 복수명사에 쓰이는 ​격접사는 동일하
 - 처소관련격은 원칙적으로 위에 소개된 '​처소 시리즈'​와 함께 활용되며 위 예에서 보이는 -чи는 위에 소개된 중 '​위'​의 의미에 해당한다 - 처소관련격은 원칙적으로 위에 소개된 '​처소 시리즈'​와 함께 활용되며 위 예에서 보이는 -чи는 위에 소개된 중 '​위'​의 의미에 해당한다
 +- 위 표에서 재격에 쓰인 -б는 G3를 예로 기술한 것이다
 +
 +
 +
 +
 +
 +
 +
 +
 +
 +
  
doc/dargwa/2_wordclass/22_noun/22_noun.1598485493.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0/08/27 08:44 저자 동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