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dulong:2_wordclass:24_adj:24_adj [2017/05/11 21:21] 127.0.0.1 바깥 편집 |
doc:dulong:2_wordclass:24_adj:24_adj [2021/08/22 11:18] (현재) 김나연 |
||
|---|---|---|---|
| 줄 1: | 줄 1: | ||
| - | # 24_adj : 형용사 (adjective) | + | # 24_adj : 형용사 (adjective) |
| + | |||
| + | 두룽어의 형용사는 문장에서 동사와 같거나 비슷한 면이 많다. 그러나 다른 특징도 가지고 있다. | ||
| + | |||
| + | ##형용사 특징 | ||
| + | |||
| + | - 두룽어의 형용사는 동사와 같은 역할을 할 때가 있다. 인칭, 수의 문법 범위를 가진다. | ||
| + | 수동태 형용사 [sM31kAm55] 로 수동 형식을 나타낸다. 이를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ex) | ||
| + | [sM31kɑ̆m55] 1인칭단수 | ||
| + | |||
| + | [sM31kɑ̆m55s\M31] 1인칭 쌍수 | ||
| + | |||
| + | [nA55sM31kAm55] 2인칭단수 | ||
| + | |||
| + | [nA55sM31kAm55s\M31] 2인칭 쌍수 | ||
| + | |||
| + | [sM31kAm55] 3인칭 단수 쌍수 복수 | ||
| + | |||
| + | - 두룽어의 형용사는 태의 문법 범위도 가진다 | ||
| + | |||
| + | {{{eg>dulo1242 (sunhongkai1982:127) | ||
| + | [A31sɑ̆N55ni53 nɑ̆m53 gɑ̆m53pɑ̆N53wA31] | ||
| + | Tomorrow weather ADJ | ||
| + | 내일은 날씨가 맑을 것이다 | ||
| + | }}} | ||
| + | |||
| + | - 두룽어의 형용사는 식의 어법 법위를 가진다. | ||
| + | 그 중 진술식, 의문식과 부정식의 표현방식은 동사와 기본적으로 같다. | ||
| + | 명령식과 서술식은 수동태 형용사만 쓰인다. | ||
| + | |||
| + | {{{eg>dulo1242 (sunhongkai1982:127) | ||
| + | [ɑ̆N53 dzA53 A31jA55mA55 gɑ̆m31] | ||
| + | 2SG illness Q ADJ | ||
| + | 그의 병이 나았습니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