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 |||
|
doc:enets:2_wordclass:31_pro:pro_pers [2021/01/18 20:59] 동영은 |
doc:enets:2_wordclass:31_pro:pro_pers [2021/08/25 20:10] (현재) 동영은 |
||
|---|---|---|---|
| 줄 1: | 줄 1: | ||
| ## pro_pers : 인칭대명사 (personal pronoun) | ## pro_pers : 인칭대명사 (personal pronoun) | ||
| - | 인칭대명사의 활용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 부분은 각 인칭과 수에 따른 주격 대명사이고 이어서 이어지는 두 번째 부분은 독립 어간 si- 또는 접미사 어간 no-중의 하나이다. 인칭대명사를 활용할 때 첫 번째 부분은 생략 가능하다 | + | 인칭대명사의 활용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 부분은 각 인칭과 수에 따른 주격 대명사이고 이어서 이어지는 두 번째 부분은 독립 어간 si- 또는 접미사 어간 no-중의 하나이다. 인칭대명사를 활용할 때 첫 번째 부분은 생략 가능하다. (아래 예시 참고) |
| + | |||
| + | |||
| + | ###### 1인칭 대명사 (마이방언) | ||
| + | |||
| + | ^ 격 ^ 단수 ^ 쌍수 ^ 복수 ^ | ||
| + | |주격 | modi, mod' | modini' | modina'| | ||
| + | |속격| mod' sin | modin' sizin' | modina' sizna'| | ||
| + | |대격| mod' si' | modin' sizin' | modina' sizna'| | ||
| + | |여-방향격| mod' non | modin' non' | modina' nona'| | ||
| + | |처-도구격| mod' nonen | modin' nonen' | modina' nonna'| | ||
| + | |탈격| mod' nozon| modin' nozon'| modina' nozna'| | ||
| + | |연격| mod' noonen| modin' noonen'| modina' noonena'| | ||
| + | |||
| + | |||
| + | ###### 2인칭 대명사 (마이방언) | ||
| + | |||
| + | ^ 격 ^ 단수 ^ 쌍수 ^ 복수 ^ | ||
| + | |주격| u | udi'| uda'| | ||
| + | |속격| u sit| udi' sizti'| uda' sizta'| | ||
| + | |대격| u sit| udi' sizzi'| uda' sizza'| | ||
| + | |여-방향격| u nod| udi' nodi'| uda' noda'| | ||
| + | |처-도구격| u noned| udi' nondi'| uda' nonda'| | ||
| + | |탈격| u nozod |udi' nozdi'| uda' nozda'| | ||
| + | |연격| u nooned| udi' noonedi'| uda' nooneda'| | ||
| + | |||
| + | |||
| + | ###### 3인칭 대명사 (마이방언) | ||
| + | |||
| + | ^ 격 ^ 단수 ^ 쌍수 ^ 복수 ^ | ||
| + | |주격| bu| budi'| budu'| | ||
| + | |속격| bu sita| budi' siti'| budu' siztu'| | ||
| + | |대격| bu sita| budi' sizzi'| budu' sizzu'| | ||
| + | |여-방향격| bu noda |budi' nodi' |budu' nodu'| | ||
| + | |처-도구격| bu nonda| budi' nondi'| budu' nondu'| | ||
| + | |탈격| bu nozda| budi' nozdi'| budu' nozdu'| | ||
| + | |연격| bu nooneda| budi' noonedi'| budu' noonedu'| | ||
| {{{eg>fore1265 (Kunnap1999:22) | {{{eg>fore1265 (Kunnap1999:22) | ||
| 줄 14: | 줄 51: | ||
| 내일 만나요(나는 내일 여러분 볼 것이다) | 내일 만나요(나는 내일 여러분 볼 것이다) | ||
| }}} | }}} | ||
| - | |||
| - | |||
| - | 한편, 마두방언에서는 인칭대명사의 형태가 바이방언과 다르다. 1인칭 인칭대명사가 공통사모예드어 어원을 따른다면; 바이방언의 2, 3인칭 인칭대명사는 케트어로부터 차용, 마두방언 2인칭은 응가나산, 셀쿱어와 일치(즉, 공통 사모예드); 마두어 3인칭은 다른 사모예드어와는 별도로 독립적인 형태이다. | ||
| 줄 24: | 줄 58: | ||
| |1인칭 | модь (modʹ) '나' | си-нь (si-nʹ)'나의' | си-й (si-j) '나를'| | |1인칭 | модь (modʹ) '나' | си-нь (si-nʹ)'나의' | си-й (si-j) '나를'| | ||
| - | |2인칭 | у (u) '너' | си-т (si-t)'너의, 너를'|| | + | |2인칭 | у (u) '너' | си-т (si-t)'너의, 너를'|си-т (si-t)'너의, 너를'| |
| - | |3인칭 | бу(bu) '그(녀)' |си-та (si-ta)'그(녀)의, 그(녀)를'|| | + | |3인칭 | бу(bu) '그(녀)' |си-та (si-ta)'그(녀)의, 그(녀)를'| си-та (si-ta)'그(녀)의, 그(녀)를'| |
| 처소와 관련한 격에서 인칭대명사는 후치사 нэ /но (ne, no))와 함께 쓰인다. | 처소와 관련한 격에서 인칭대명사는 후치사 нэ /но (ne, no))와 함께 쓰인다. | ||
| 줄 36: | 줄 70: | ||
| + | 한편, 마두방언에서는 인칭대명사의 형태가 바이방언과 다르다. 1인칭 인칭대명사가 공통사모예드어 어원을 따른다면; 바이방언의 2, 3인칭 인칭대명사는 케트어로부터 차용, 마두방언 2인칭은 응가나산, 셀쿱어와 일치(즉, 공통 사모예드); 마두어 3인칭은 다른 사모예드어와는 별도로 독립적인 형태이다. | ||
| + | {{{lex>tund1254 (Sorokina2005:475) | ||
| + | - моди : I | ||
| + | - тоди : you | ||
| + | - иноро нитоду : he/she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