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다음 판 | 이전 판 | ||
doc:gelao:1_phonology:11_cons:11_cons [2016/06/16 19:45] 127.0.0.1 바깥 편집 |
doc:gelao:1_phonology:11_cons:11_cons [2018/06/25 23:44] (현재) 김나연 [자음 개요] |
||
---|---|---|---|
줄 3: | 줄 3: | ||
### 자음 개요 | ### 자음 개요 | ||
- | - 자음의 수와 목록을 제시. | + | 거라오어의 성모는 비교적 많다.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에서 유성/무성음의 대립이 있다. 복자음성모, 무성음 비음 성모와 앞에 후색음을 수반하는 성모도 있다. 총 48개이다. |
- | - 구분되는 조음 위치의 수: 자음이 몇 종류의 조음위치로 구분되는가 기술. | + | | bilibial | plosive |[p], [p_h], [b], [pl], [p_h_l], [bl], [pz]| |
- | + | | bilibial| nasal | [m], [m_0], [ml]| | |
- | ### 장애음 | + | | labiodental | fricative | f v | |
- | + | | alveolar | plosive | [t], [t_h], [d]| | |
- | - 장애음의 수와 목록을 제시 | + | | alveolar | nasal |[n], [n_0], [nz\]| |
- | - 장애음의 대립 유형 | + | | alveolar | fricative |[s], [z], [s\][z\], [?z\]| |
- | - 유성과 무성 대립의 존재 여부 | + | | alveolar | lateral fricative |[ɬ] | |
- | - 유기와 무기 대립의 존재 여부 | + | | alveolar | lateral approximant | [l], [?l] | |
- | -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계열 대립의 존재 여부 | + | | palatal | approximant | [j], [?j] | |
- | - 변별되는 조음위치를 전체적으로 기술 | + | | palatal| nasal | [J_+], [J_+_0]| |
- | - 변별되는 조음방식을 전체적으로 기술 | + | | velar | plosive |[k], [k_h], [g] | |
- | + | | velar | nasal |[N], [N_0] | | |
- | + | | velar | approximant | [w] | | |
- | + | | velar | fricative | [x], [G] | | |
- | 사례: | + | |alveolo palatal |fricative| ʨ ʨ ͪ ɕ [s\][z\], [?z\]| |
- | + | |alveolar| plosive fricative| [ts], [ts_h], [dz], [dz\]| | |
- | - selkup에 자음이 one-focus, two-focus 구분이 있음. | + | |glottal |fricative|[h]| |
- | + | |glottal| plosive |[?]| | |
- | + | |uvlar|plosive|[q], [q_h]| | |
- | + | ||
- | ### 공명음 | + | |
- | + | ||
- | - 공명음의 수와 목록을 제시 | + | |
- | - 비음 | + | |
- | - 비음의 수와 목록을 제시 | + | |
- | - 유음 | + | |
- | - 유음의 수와 목록을 제시 | + | |
- | - 탄설음 r, 설측음 l, 전동음 ʀ 중 어느 것이 음운 목록으로 존재하는가를 제시. 참고문헌에 서술된 내용을 그대로 기술하면 됨. (참고사항: 음소의 차원에서는 변이음이지만 모어 화자들이 완전히 다른 소리로 인식하는 경우도 있음) | + | |
- | + | ||
- | + | ||
- | 유형론적 유의사항 | + | |
- | + | ||
- | - 유음이 어두에 올 수 있는가의 여부를 검토할 것. | + | |
- | - 비음이 장애음과 평행하게 모든 조음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도 있고 아닌 경우도 있음. 예) 어떤 언어에는 장애음은 p, t, k가 있는 반면 비음은 n밖에 없는 경우가 있음. | + | |
- | - 비음이 초성과 종성에서 목록이 다른 경우. 예) 표준중국어에서는 초성에는 m, n이 올 수 있는데 종성에서는 n, ŋ만 올 수 있음. 일본어에서는 초성에서는 n, m을 구별하는데 종성에서는 n, m, ŋ을 구별하지 않음. | + | |
- | + | ||
+ | ###자음 설명 | ||
+ | -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모두 유성/무성음이 대립하고 있다. p/b, /t/d, k/g, pl/bl, ts/dz, ʨ/ʥ, f/v, s/z, x/ɣ 등이 있다. | ||
+ | - 무성음화 비음 m̥,n̥,ŋ̥,ȵ̥ 이 있다. | ||
+ | - 복자음 성모 pl, phl, bl, ml, pz, nʑ 가 있다. 그 중 복성모 pz는 3개의 단어만 발견되었고, 고모음운모 ɿ와 함께 나타난다. p의 변이라 여겨지며, p 음위에 병합할 수 있다. | ||
+ | - 후색음류에는 ˀl, ˀȵ,ˀʑ,ˀj 가 있다 | ||
+ | - 유성 마찰음 v와 반모음 w의 구분이 명확하다. 음위상 대립을 형성한다. 두 개의 독립적인 음위이다. | ||
+ | - 소설음 q는 어두에 올 때 자주 생략된다. 생략되든, 생략되지 않든, 단어의 이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
+ | - 노년층은 ɣ를 l로 읽는다.그러나 ɣ과 l은 두 개의 음위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