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gelao:1_phonology:13_supra:13_supra [2016/06/16 19:45] 127.0.0.1 바깥 편집 |
doc:gelao:1_phonology:13_supra:13_supra [2018/08/18 13:19] (현재) 박은석 [성조] |
||
|---|---|---|---|
| 줄 1: | 줄 1: | ||
| # 13_supra : 초분절요소 (suprasegmental) | # 13_supra : 초분절요소 (suprasegmental) | ||
| - | - 변별적 기능을 하는 초분절요소의 수와 목록을 제시. | + | ##성조 |
| - | - 성조는 고평조, 저평조, 상승조, 하강조 등으로 기술. | + | |
| - | - 강세는 2분체계, 3분체계 등으로 기술. | + | |
| - | - 장단은 모음의 장단을 중심으로 자음의 장단도 기술(geminate). | + | |
| - | - 초분절요소의 대립항 수: 해당 언어에서 장단, 음조, 강세 중에서 몇 가지를 구분하는지 검토할 것. | + | |
| - | - 장단 구별이 있는가? 예/아니요 | + | |
| - | - 음조 구별이 있는가? 예/아니요 | + | |
| - | - 강세 구별이 있는가? 예/아니요 | + | |
| - | - 초분절요소와 관련하여 기술할 내용이 적다면 전체적인 내용을 간략하게 기술할 것. | + | |
| - | - 긴장/이완(tense/lax)의 구분이 있다면 기술. | + | |
| - | - 억양과 관련하여 언급할 문제가 있다면 기술. | + | |
| + | 거도 거라오어에는 총 4개의 성조가 있다. | ||
| - | 유형론적 유의사항 | + | 성조값 예시 |
| - | + | ||
| - | - 동남아 언어의 경우 register라는 초분절요소가 나타나는 것으로 기술하는 서구학자들이 있음. 음성학적으로는 tone, vowel phonation, glottalization 등의 자질 결합임. 예를 들어, 버마어에는 4가지 register가 있음(low, high, creaky, checked). low, hight는 tone, creaky, checked는 glotal 등의 자질임. 이 현상을 중국학자의 저술에서는 성조로만 기술한 경우가 많고 서구학자들이 기술할 경우에는 register로 기술하기도 함. 장면어, 남아어가 이에 해당할 것으로 보임. | + | |
| + | - 55 ta55 원숭이 | ||
| + | - 33 vu33 가다 | ||
| + | - 35 vu35 | ||
| + | - 31 ta31 셋(3) | ||
| + | ###성조특징 | ||
| + | - 거라오어에는 두 개의 평조(1성,2성)이 있다. 하나는 오름조, 하나는 내림조이다. | ||
| + | - 성조체계에 서성조, 촉성조와 입성의 구분이 없다. | ||
| + | - 변조 현상이 비교적 명확하고, 구나 문장에서 균등하게 나타난다. | ||
| + | - 33조와 55조를 구분하기 어렵다. 발화자가 발화 시 바꿔 발음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두 개의 다른 성조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