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gelao:1_phonology:15_phonproc:phonproc_supra [2018/06/25 08:56] 127.0.0.1 바깥 편집 |
doc:gelao:1_phonology:15_phonproc:phonproc_supra [2018/08/17 15:37] (현재) 김나연 [단어 음변] |
||
|---|---|---|---|
| 줄 4: | 줄 4: | ||
| | | ||
| - | - 거라오어에 존재하는 음변 현상은 대부분 연속해서 읽을 때 일어나는 변조 현상이다. | + | 거라오어에 존재하는 음변 현상은 대부분 연속해서 읽을 때 일어나는 변조 현상이다. |
| - | - 연속해서 읽을 때 나타나는 변조는 단어, 문장에서 균등하게 일어나지만, 새로운 성조를 발생시키지는 않는다. | + | 연속해서 읽을 때 나타나는 변조는 단어, 문장에서 균등하게 일어나지만, 새로운 성조를 발생시키지는 않는다. |
| - | - 변조범위는 본래 성조 체계의 범위로 한정하여 일어난다. | + | 변조범위는 본래 성조 체계의 범위로 한정하여 일어난다. |
| - | - 거라오어의 접두사는 동사성 접두사와 명사성 접두사로 나뉜다. | + | 거라오어의 접두사는 동사성 접두사와 명사성 접두사로 나뉜다.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120) | + | - 동사성 접두사: qʌ³¹, vu³¹, lʌ³¹ |
| - | 동사성 접두사: qʌ³¹, vu³¹, lʌ³¹ | + | |
| - | 명사성 접두사: ma³³,la³⁵,qʌ³¹,vu³¹, lʌ³¹ | + | - 명사성 접두사: ma³³,la³⁵,qʌ³¹,vu³¹, lʌ³¹ |
| - | }}} | + | |
| | | ||
| - | - 명사성, 동사성 접두사 모두 변조 현상이 존재하며 명사 앞의 접두사로 쓰일때에만 변조가 일어나지 않는다. | + | 명사성, 동사성 접두사 모두 변조 현상이 존재하며 명사 앞의 접두사로 쓰일때에만 변조가 일어나지 않는다. |
| #####단어 음변 | #####단어 음변 | ||
| - | (一)qʌ³¹ | + | ######qʌ³¹ |
| - | 1.본조+오름조 | + | |
| + | #######본조+오름조 | ||
| (1)명사 | (1)명사 | ||
| - | [qV31ts_hu35] 사람 [qV31de35]뼈 | + | |
| + | - [qV31ts_hu35] 사람 [qV31de35]뼈 | ||
| (2) 동사/형용사 | (2) 동사/형용사 | ||
| - | [qV31ts_hu35] 낮다 [qV31plW35]뛰다 | ||
| - | 2.본조+내림조 | + | - [qV31ts_hu35] 낮다 [qV31plW35]뛰다 |
| + | |||
| + | #######본조+내림조 | ||
| (1)명사 | (1)명사 | ||
| - | [qV31laN31]음식 [qV31?lan31] 길 | + | |
| + | - [qV31laN31]음식 [qV31?lan31] 길 | ||
| (2)동사/형용사 | (2)동사/형용사 | ||
| - | [qV31s@W31] 웃음 [qV31z\u31] 낚다 | ||
| - | 3.변조+수평조 | + | - [qV31s@W31] 웃음 [qV31z\u31] 낚다 |
| + | |||
| + | ####### 변조+수평조 | ||
| (1)명사 | (1)명사 | ||
| - | [qV33pin33] 형제 [qV33luan33] 규칙 | + | |
| + | - [qV33pin33] 형제 [qV33luan33] 규칙 | ||
| (2)동사/형용사 | (2)동사/형용사 | ||
| - | [qV33de33] 기름지다 [qV33dzoN33]위쪽 | ||
| + | - [qV33de33] 기름지다 [qV33dzoN33]위쪽 | ||
| + | |||
| + | |||
| + | ###### vu³¹ | ||
| - | (二)vu³¹ | ||
| 동사성이든 명사성이든 접두사 vu³¹ 는 뒤에 오는 음절이 내림조혹은 오름조일 때, 접두사가 본래 조인 31조로 읽힌다. 만약 접두사 뒤에 수평조가 온다면 접두사 역시 동화되어 중수평조 vu³³이 된다. 예외는 대사 “vu ʨi” 이다. 접두사 뒤에 수평조가 오는데 접두사가 본래 성조로 읽힌다. | 동사성이든 명사성이든 접두사 vu³¹ 는 뒤에 오는 음절이 내림조혹은 오름조일 때, 접두사가 본래 조인 31조로 읽힌다. 만약 접두사 뒤에 수평조가 온다면 접두사 역시 동화되어 중수평조 vu³³이 된다. 예외는 대사 “vu ʨi” 이다. 접두사 뒤에 수평조가 오는데 접두사가 본래 성조로 읽힌다. | ||
| - | 1.본조+오름조 | + | |
| + | ####### 본조+오름조 | ||
| (1)명사 | (1)명사 | ||
| - | [vu31tau35] 흙 [vu31liu35] 얼굴 | + | |
| + | - [vu31tau35] 흙 [vu31liu35] 얼굴 | ||
| (2)동사 | (2)동사 | ||
| - | [vu31ja35] 성 [vu31ne35]처리하다 | ||
| + | - [vu31ja35] 성 [vu31ne35]처리하다 | ||
| + | |||
| + | |||
| + | #######본조+내림조 | ||
| - | 2.본조+내림조 | ||
| (1)명사 | (1)명사 | ||
| - | [vu31juN31] 기력 [vu31dz\i31] 월 | + | |
| + | - [vu31juN31] 기력 [vu31dz\i31] 월 | ||
| (2)동사 | (2)동사 | ||
| - | [vu31ha31] 열다 [vu31l@M31] 무섭다. | + | |
| + | - [vu31ha31] 열다 [vu31l@M31] 무섭다. | ||
| (3)개사 | (3)개사 | ||
| - | [vu31ze35] 때리다 | + | |
| + | - [vu31ze35] 때리다 | ||
| (4)대사 | (4)대사 | ||
| - | [vu31ts\i33] 무엇 | ||
| + | - [vu31ts\i33] 무엇 | ||
| - | 3. 변조+수평조 | + | |
| - | (1)명사 | + | ####### 변조+수평조 |
| - | [vu33tai33] 콩 [vu33J_+_055] 말 | + | |
| + | (1) 명사 | ||
| + | |||
| + | - [vu33tai33] 콩 [vu33J_+_055] 말 | ||
| (2)동사 | (2)동사 | ||
| - | [vu33][daN33] 죽이다 | + | |
| + | - [vu33][daN33] 죽이다 | ||
| (3)형용사 | (3)형용사 | ||
| - | [vu33tsา33] 많다 | + | |
| + | - [vu33tsา33] 많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