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gelao:2_wordclass:22_noun:22_noun [2016/06/16 19:45] 127.0.0.1 바깥 편집 |
doc:gelao:2_wordclass:22_noun:22_noun [2018/08/18 14:00] (현재) 김나연 [명사의 수] |
||
|---|---|---|---|
| 줄 1: | 줄 1: | ||
| # 22_noun : 명사 (noun) | # 22_noun : 명사 (noun) | ||
| - | - 명사의 전반적인 특징을 우선적으로 기술. 특별한 특징이 있다면 기술. 일반적인 것이라도 간략히 언급. | + | ### 명사의 성 |
| - | - 고유명사, 보통명사 등 부류도 일반적이라도 간략히 기술. | + | |
| - | - 가산 명사, 비가산 명사 구별이 있는지? | + | |
| - | - 형식 명사, 의존 명사, 불완전 명사 같은 부류가 있는지? | + | |
| - | - 성, 수, 격, 존칭/경어, 소유, (시제, 서법) 등의 요소가 있는지? | + | |
| + | - 거라오어 명사에는 성의 구별이 있다. | ||
| + | - 성을 구별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 ||
| + | - 하나는 접두사를 사용하여 구별하는 방법이고 하나는 단어 자체를 바꿔서 나타내는 방법이다. | ||
| + | - 접두사로는 ma33/ja31 (여성) 혹은 pau33/dɯ35/be31(남성)을 사용한다. | ||
| - | 형태론이 발달한 경우에 해당 언어의 특징에 맞게 섹션을 구분하여 기술한다. 형태론 관련하여 기술할 수 있는 대표적인 항목들은 아래에 있다. 언어에 따라 성, 수, 격에 따른 곡용 패러다임을 따로 기술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대상 언어에 따라 적절한 방식으로 섹션을 구분하여 기술한다. 이외에 해당 언어의 참조 문법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지는 내용은 필요에 따라 섹션을 나누어 기술한다. | + | ### 접두사 부가 |
| + | 동물, 사람의 성의 구별을 모두 접두사를 붙여서 표시한다. 남성이나 수컷은 pau33, 여성이나 암컷은 ma33를 붙인다. | ||
| + | - 남자 pau33no55 | ||
| - | ## noun_declension : 곡용부류류 (declension class) | + | - 여자 ma33no55 |
| - | 명사의 곡용에서 곡용 형태 패턴이 몇가지 부류가 있는 경우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라틴어의 명사 곡용과 같은 경우이다. | + | - 수탉 [pau33qE31] |
| - | ## noun_gender : 성 (gender) 또는 명사부류 (noun class) | + | - 암탉 [ma33qE31] |
| - | ## noun_num : 수 (number) | + | 나이 많은 연배의 친족 명칭에는 남성은 be³¹, 여성은 ja³¹를 붙인다. |
| - | - 단수 대 복수 | + | - 외조부 [be31?aM35] |
| - | - 단수 대 쌍수 대 복수 | + | - 외조모 [ja31?aM35] |
| - | - 단수 대 쌍수 대 삼수 대 복수 | + | |
| - | - 단수 대 쌍수 대 소수 대 복수 | + | |
| - | - 복수의 지위/포괄성 | + | |
| + | - 고모부 [be31vei33] | ||
| + | - 고모 [ja31nai33] | ||
| - | ## noun_case : 격 (case) | ||
| - | - 정렬 | + | 직업 명칭에서 남성을 표시할 때는 lʌ31ke35(匠人, 사부)를, 여성을 표시할 때는 ma33을 붙인다. |
| - | - 격형태 | + | |
| - | - 센스: 예) -로(방향, 도구, 자격) | + | |
| - | - 의미 | + | |
| - | - 예문 | + | |
| - | 예) 사모예드어의 translative(prolative)는 어디를 통해서라는 의미와 물이 얼음으로 변했다와 같은 변성이라는 의미를 가짐. | + | - [lV31ke35phlM35] 銀匠 |
| + | |||
| + | - [ma33ja31a35dzen33mlM31] 여자 무당 | ||
| + | |||
| + | 몇몇 사람과 사물은 양사성질을 가진 접두사 dɯ35, pau33으로 남성성, ma33으로 여성성을 나타낸다. | ||
| + | |||
| + | - 홀아비 [dM35blaN33] | ||
| + | |||
| + | - 과부 [ma33blaN33] | ||
| + | |||
| + | - 한 마리 수캐 [tsɿ33dM35/pau33m_0MN31] 한 마리 암캐 [tsɿ33ma33m_0MN31] | ||
| + | |||
| + | 무생물은 거라오어에서 여성성으로 표시된다. | ||
| + | |||
| + | - 江 [ma33xM33] | ||
| + | |||
| + | - 고구마 [ma33ji31mi33] | ||
| + | |||
| + | 추상적인 명칭은 거라오어에서 일반적으로 남성으로 표시된다. | ||
| + | |||
| + | - 하늘 [pau33lui31lui31] | ||
| + | |||
| + | - 하늘 [be31lui31lui31] | ||
| + | |||
| + | - 부뚜막 신 [be31Ne31tsuN55] | ||
| + | |||
| + | 너무 작아서 성별을 구분하기 힘든 동물의 경우 거라오어에서는 여성성으로 표시된다. | ||
| + | |||
| + | - 파리 [ma33pei31zo31] | ||
| + | |||
| + | - 나비 [ma33bu33bu33] | ||
| + | |||
| + | |||
| + | ### 명사의 수 | ||
| + | |||
| + | 거라오어 명사는 수는 형태변화가 없다. | ||
| + | |||
| + | 거라오어의 수사 양사와 관련된 수 표현은 수사와 양사 부분 참고. | ||
| + | |||
| + | 명사 뒤에 접미사 “ʌ33tsɿ33”(-들)을 붙여 복수 표현을 하기도 한다. | ||
| + | |||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48) | ||
| + | ke35su31 ʌ33tsɿ33 | ||
| + | teacher PL | ||
| + | 선생님들 | ||
| + | }}} | ||
| + | |||
| + | |||
| + | #### 명사의 크고 작음 표시 | ||
| + | |||
| + | 형태소 부가로 사물의 크고 작음을 표시한다. 그러나 큼과 작음을 표시하는 방법은 서로 다른 수식구조를 가진다. | ||
| + | |||
| + | |||
| + | #### 큼을 표시하는 방법 | ||
| + | |||
| + | 큰 사물을 표시할 때 명사 앞에 "ma³³"를 붙이거나 명사 뒤에 "a³⁵dzuŋ"를 붙여 표현한다. | ||
| + | |||
| + | - 큰 비 [ma33man31] | ||
| + | - 대문 [pi33adzuN31] | ||
| + | |||
| + | 연배가 위인 친족 명칭을 표시할 때 명사 뒤에 ʌ³³sɯn³³(大)나 a³⁵jəu⁵⁵(老)를 붙인다. | ||
| + | |||
| + | - 오빠(형) [wai33a35V33sMn33] | ||
| + | |||
| + | |||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48) | ||
| + | [pau33ma33?jaM33-a35?j@u55] | ||
| + | old.Wang-old | ||
| + | 왕씨 성의 어르신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작음을 표시하는 방법 | ||
| + | |||
| + | 거라오어에서 작은 사물을 표시할 때 "la35, la35ə31pe35, la35pe35, pe35, pe31pe35"로 나타낸다. 이 중에서 “la35, la35ə31pe35, la35pe35”는 명사 앞에 출현하고, “pe35, pe31pe35”는 명사 뒤에 출현한다. | ||
| + | |||
| + | #####명사 앞 | ||
| + | |||
| + | - 작은 길 [la35qV31?lan31] | ||
| + | |||
| + | - 적은 비 [pe35man31] | ||
| + | |||
| + | |||
| + | #####명사 뒤 | ||
| + | |||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49) | ||
| + | [V31tshu35-pe31pe35] | ||
| + | human-small | ||
| + | 작은 키 | ||
| + | }}} | ||
| + | |||
| + | |||
| + | |||
| + | 연배가 적은 친족명칭을 표시할 때 일반적으로 명사 앞에 "la35, da35"를 부가하거나 혹은 명사 뒤에 “a35dai35dai33"을 부가하여 나타낸다. | ||
| + | |||
| + | #####명사 앞 | ||
| + | |||
| + | - 손자 [la35?li31] | ||
| + | |||
| + | - 이씨(小李) [da35ma35ts\iu31] | ||
| + | |||
| + | |||
| + | ##### 명사 뒤 | ||
| + | |||
| + | - 작은 아들 [da35a35dai35dai33] | ||
| + | |||
| + | |||
| + | ### 명사의 중첩 | ||
| + | |||
| + | 거라오어의 명사 중 일부분은 중첩이 가능하다. | ||
| + | |||
| + | 명사 형태소 자체를 중첩하여 하나의 완성된 단어를 만든다. 조어법 상의 중첩이다. | ||
| + | |||
| + | - 종이 [ml@M31ml@M31] | ||
| + | |||
| + | - 제비 [biau31biau31] | ||
| + | |||
| + | - 영화 [M55M55] | ||
| + | |||
| + | 통사 형식상 중첩되는 명사도 일부 있다. 단독 음절과 중첩 형식의 의미가 일치한다. | ||
| + | |||
| + | - 그릇 [san35san33] | ||
| + | |||
| + | - 하늘 [lui31lui31] | ||
| - | ## noun_poss : 소유(possessive) | ||
| - | ## noun_tame : | ||
| - | 명사에 시제, 서법과 같은 현상이 나타나는 경우. | ||
| - | 예) 사모예드어의 predestinative가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