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gelao:2_wordclass:22_noun:22_noun [2018/08/17 17:13] 김나연 [2) 연배가 위인 친족 명칭을 표시할 때 명사 뒤에 ʌ³³sɯn³³(大)나 a³⁵jəu⁵⁵(老)를 붙인다.] |
doc:gelao:2_wordclass:22_noun:22_noun [2018/08/18 14:00] (현재) 김나연 [명사의 수] |
||
|---|---|---|---|
| 줄 66: | 줄 66: | ||
| ### 명사의 수 | ### 명사의 수 | ||
| - | - 거라오어 명사는 수는 형태변화가 없다. | + | 거라오어 명사는 수는 형태변화가 없다. |
| - | - 거라오어의 수사 양사와 관련된 수 표현은 수사와 양사 부분 참고. | + | |
| - | - 명사 뒤에 접미사 “ʌ33tsɿ33”(-들)을 붙여 복수 표현을 하기도 한다. | + | 거라오어의 수사 양사와 관련된 수 표현은 수사와 양사 부분 참고. |
| + | |||
| + | 명사 뒤에 접미사 “ʌ33tsɿ33”(-들)을 붙여 복수 표현을 하기도 한다.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48) | {{{eg>judu1234 (kangzhongde2011:48) | ||
| 줄 77: | 줄 79: | ||
| - | ##### 명사의 크고 작음 표시 | + | #### 명사의 크고 작음 표시 |
| - | - 형태소 부가로 사물의 크고 작음을 표시한다. 그러나 큼과 작음을 표시하는 방법은 서로 다른 수식구조를 가진다. | + | 형태소 부가로 사물의 크고 작음을 표시한다. 그러나 큼과 작음을 표시하는 방법은 서로 다른 수식구조를 가진다. |
| - | ##### 큼을 표시하는 방법 | + | #### 큼을 표시하는 방법 |
| - | ### 1) 큰 사물을 표시할 때 명사 앞에 "ma³³"를 붙이거나 명사 뒤에 "a³⁵dzuŋ"를 붙여 표현한다. | + | 큰 사물을 표시할 때 명사 앞에 "ma³³"를 붙이거나 명사 뒤에 "a³⁵dzuŋ"를 붙여 표현한다. |
| - 큰 비 [ma33man31] | - 큰 비 [ma33man31] | ||
| - 대문 [pi33adzuN31] | - 대문 [pi33adzuN31] | ||
| - | ### 2) 연배가 위인 친족 명칭을 표시할 때 명사 뒤에 ʌ³³sɯn³³(大)나 a³⁵jəu⁵⁵(老)를 붙인다. | + | 연배가 위인 친족 명칭을 표시할 때 명사 뒤에 ʌ³³sɯn³³(大)나 a³⁵jəu⁵⁵(老)를 붙인다. |
| - 오빠(형) [wai33a35V33sMn33] | - 오빠(형) [wai33a35V33sMn33] | ||
| 줄 103: | 줄 105: | ||
| - | ##### 작음을 표시하는 방법 | + | ####작음을 표시하는 방법 |
| - | ###### 거라오어에서 작은 사물을 표시할 때 "la35, la35ə31pe35, la35pe35, pe35, pe31pe35"로 나타낸다. 이 중에서 “la35, la35ə31pe35, la35pe35”는 명사 앞에 출현하고, “pe35, pe31pe35”는 명사 뒤에 출현한다. | + | 거라오어에서 작은 사물을 표시할 때 "la35, la35ə31pe35, la35pe35, pe35, pe31pe35"로 나타낸다. 이 중에서 “la35, la35ə31pe35, la35pe35”는 명사 앞에 출현하고, “pe35, pe31pe35”는 명사 뒤에 출현한다. |
| - | #######명사 앞 | + | #####명사 앞 |
| - | 작은 길 [la35qV31?lan31] | + | - 작은 길 [la35qV31?lan31] |
| - | 적은 비 [pe35man31] | + | - 적은 비 [pe35man31] |
| - | ② 명사 뒤 | + | #####명사 뒤 |
| {{{eg>judu1234 (kangzhongde2011:49) | {{{eg>judu1234 (kangzhongde2011:49) | ||
| 줄 124: | 줄 126: | ||
| | | ||
| - | 작은 폭죽 [te35vu33n₩uN33pe35] | + | 연배가 적은 친족명칭을 표시할 때 일반적으로 명사 앞에 "la35, da35"를 부가하거나 혹은 명사 뒤에 “a35dai35dai33"을 부가하여 나타낸다. |
| - | + | ||
| - | + | ||
| - | 2) 연배가 적은 친족명칭을 표시할 때 일반적으로 명사 앞에 "la35, da35"를 부가하거나 혹은 명사 뒤에 “a35dai35dai33"을 부가하여 나타낸다. | + | |
| - | ① 명사 앞 | + | #####명사 앞 |
| - | 손자 [la35?li31] | + | - 손자 [la35?li31] |
| - | 이씨(小李) [da35ma35ts₩iu31] | + | - 이씨(小李) [da35ma35ts\iu31] |
| - | ② 명사 뒤 | + | ##### 명사 뒤 |
| - | 작은 아들 [da35a35dai35dai33] | + | - 작은 아들 [da35a35dai35dai33] |
| - | ## 명사의 중첩 | + | ### 명사의 중첩 |
| | | ||
| 거라오어의 명사 중 일부분은 중첩이 가능하다. | 거라오어의 명사 중 일부분은 중첩이 가능하다. | ||
| - | (1) 명사 형태소 자체를 중첩하여 하나의 완성된 단어를 만든다. 조어법 상의 중첩이다. | + | 명사 형태소 자체를 중첩하여 하나의 완성된 단어를 만든다. 조어법 상의 중첩이다. |
| - | 종이 [ml@M31ml@M31] | + | - 종이 [ml@M31ml@M31] |
| - | 제비 [biau31biau31] | + | - 제비 [biau31biau31] |
| - | 영화 [M55M55] | + | - 영화 [M55M55] |
| - | (2) 통사 형식상 중첩되는 명사도 일부 있다. 단독 음절과 중첩 형식의 의미가 일치한다. | + | 통사 형식상 중첩되는 명사도 일부 있다. 단독 음절과 중첩 형식의 의미가 일치한다. |
| - | 그릇 [san35san33] | + | - 그릇 [san35san33] |
| - | 하늘 [lui31lui31] | + | - 하늘 [lui31lui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