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gelao:2_wordclass:23_verb:23_verb [2016/06/27 14:08] 박은석 [동사의 중첩] |
doc:gelao:2_wordclass:23_verb:23_verb [2018/08/18 14:04] (현재) 김나연 [통사적인 중첩] |
||
|---|---|---|---|
| 줄 3: | 줄 3: | ||
| 거라오어에서 동사는 수량 면에서 명사 바로 다음이라고 말할 수 있는 큰 품사이며, 동작행위동사, 심리활동동사, 존재, 변화, 소실을 나타내는 동사, 판단동사, 조동사, 방향동사의 6 가지 큰 종류로 나눌 수 있다. | 거라오어에서 동사는 수량 면에서 명사 바로 다음이라고 말할 수 있는 큰 품사이며, 동작행위동사, 심리활동동사, 존재, 변화, 소실을 나타내는 동사, 판단동사, 조동사, 방향동사의 6 가지 큰 종류로 나눌 수 있다. | ||
| - | ## 동사의 분류 | + | ### 동사의 분류 |
| - | (1) 동작행위동사: ka31 먹다 | + | ##### 동작행위동사 |
| - | (2) 심리활동동사: dɯ31 생각하다 | + | - ka31 먹다 |
| - | (3) 존재, 변화, 소실을 나타내는 동사: plan31 죽다 | + | ##### 심리활동동사 |
| - | (4) 판단동사: au31 이다 | + | - dɯ31 생각하다 |
| - | (5) 조동사: | + | ##### 존재, 변화, 소실을 나타내는 동사 |
| - | ① 의지: dʑau31 –고 싶다, ɯ35 –고자 하다, gen31 감히 | + | - plan31 죽다 |
| - | ② 이치, 사리에 대한 판단: han31 능히, 마땅히 | + | ##### 판단동사 |
| - | ③ 객관 조건에 대한 판단: tshuŋ31 능히, han31 능히, 마땅히 | + | - au31 이다 |
| - | ④ 허락: han31 해도 된다. | + | ##### 조동사 |
| - | (6) 방향동사: | + | ######의지 |
| - | do31 오다, | + | - dʑau31 –고 싶다 |
| - | vu33 가다, | + | - ɯ35 –고자 하다 |
| - | vu33dʑi33나가다, | + | - gen31 감히 |
| - | vu31ha31 열다, | + | ###### 이치, 사리에 대한 판단 |
| - | lo35do31 일어나다, | + | - han31 능히, 마땅히 |
| - | ʌ31nei31 오르다, | + | ###### 객관 조건에 대한 판단 |
| - | lʌ33jaɯ33 내리다, | + | - tshuŋ31 능히 |
| - | ko35 지나다(过), | + | - han31 능히, 마땅히 |
| - | tɕhi33 일어나다(起), | + | ###### 허락 |
| - | lo35do31 일어나다(起来), | + | - han31 해도 된다. |
| - | do31ʔo55 올라오다, | + | ##### 방향동사: |
| - | do31qʌ31tsei31 내려오다, | + | - do31 오다, |
| - | vu33ʔo55 올라가다, | + | - vu33 가다, |
| - | vu33qʌ31tsei31 내려가다 | + | - vu33dʑi33나가다, |
| - | ##동사의 중첩 | + | - vu31ha31 열다, |
| - | 거라오어에는 조어법상의 동사중첩이 있고 통사상의 동사 중첩이 있다. | + | |
| - | (1) 조어법적인 중첩 | + | - lo35do31 일어나다, |
| - | 거라오어에서 동사 중첩은 동사가 두 개의 같은 음성 성분 중첩으로 형성되었다는 것, 즉, 두 음성 성분이 합쳐져서 하나의 완전한 동사를 이루며 분리되면 의미가 없는 것을 가리킨다. | + | - ʌ31nei31 오르다, |
| - | 예) qo31qo31 쓰다(戴) | + | - lʌ33jaɯ33 내리다, |
| - | 예) bɯ31bɯ31 찾다(找) | + | - ko35 지나다(过), |
| + | - tɕhi33 일어나다(起), | ||
| - | 1) 일부동사는 중첩된 앞 구성 요소를 qʌ31로 바꿔 쓸 수 있는데, 이 경우 동사의 전체 의미는 변하지 않는다. | + | - lo35do31 일어나다(起来), |
| - | 예) bɯ31bɯ31 → qʌ31bɯ31 찾다 | + | - do31ʔo55 올라오다, |
| + | - do31qʌ31tsei31 내려오다, | ||
| - | 2) 일부 동사는 두 개의 형태소가 상승 어조인 경우 중첩시 두 번째 구성 요소가 하강조로 바뀐다. | + | - vu33ʔo55 올라가다, |
| - | 예) tɕi31tɕi31 (부리로 쪼다). | + | - vu33qʌ31tsei31 내려가다 |
| + | ### 동사의 중첩 | ||
| - | 만약 두 구 구성 요소의 어조가 평조 혹은 하강조이면 어조가 변하지 않는다. | + | 거라오어에는 조어법상의 동사중첩이 있고 통사상의 동사 중첩이 있다. |
| - | 예) bɯ31bɯ31 (찾다) | + | ##### 조어법적인 중첩 |
| + | |||
| + | 거라오어에서 동사 중첩은 동사가 두 개의 같은 음성 성분 중첩으로 형성되었다는 것, 즉, 두 음성 성분이 합쳐져서 하나의 완전한 동사를 이루며 분리되면 의미가 없는 것을 가리킨다. | ||
| + | |||
| + | - qo31qo31 쓰다(戴) | ||
| + | |||
| + | - bɯ31bɯ31 찾다(找) | ||
| + | |||
| + | |||
| + | 일부동사는 중첩된 앞 구성 요소를 qʌ31로 바꿔 쓸 수 있는데, 이 경우 동사의 전체 의미는 변하지 않는다. | ||
| + | |||
| + | - bɯ31bɯ31 → qʌ31bɯ31 찾다 | ||
| + | |||
| + | 일부 동사는 두 개의 형태소가 상승 어조인 경우 중첩시 두 번째 구성 요소가 하강조로 바뀐다. | ||
| + | |||
| + | - tɕi31tɕi31 (부리로 쪼다). | ||
| + | |||
| + | 만약 두 구 구성 요소의 어조가 평조 혹은 하강조이면 어조가 변하지 않는다. | ||
| + | - bɯ31bɯ31 (찾다) | ||
| - | (2) 통사적인 중첩 | + | ##### 통사적인 중첩 |
| 거라오어에서 통사적인 동사중첩은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동사가 중첩되어 사용되는 것을 가리킨다. 중첩하여 사용되어도 기능이나 의미에는 변화가 없다. "qaŋ31qaŋ31 끌다, au31au31 이다, aŋ31aŋ31 있다, dɯ31dɯ31 생각하다" 등을 들 수 있으며 4음절 형식으로는 "vu33vu33do31do31 가고오다"를 들 수 있다. | 거라오어에서 통사적인 동사중첩은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동사가 중첩되어 사용되는 것을 가리킨다. 중첩하여 사용되어도 기능이나 의미에는 변화가 없다. "qaŋ31qaŋ31 끌다, au31au31 이다, aŋ31aŋ31 있다, dɯ31dɯ31 생각하다" 등을 들 수 있으며 4음절 형식으로는 "vu33vu33do31do31 가고오다"를 들 수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