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gelao:2_wordclass:36_ptcl:36_ptcl [2016/06/26 18:03] 이민 [di33 地] |
doc:gelao:2_wordclass:36_ptcl:36_ptcl [2021/01/20 22:10] (현재) 박은석 |
||
|---|---|---|---|
| 줄 1: | 줄 1: | ||
| # 36_ptcl : 첨사(particle) | # 36_ptcl : 첨사(particle) | ||
| - | 흘료어의 첨사는 크게 구조조사와 어기조사로 나뉜다. | + | 거라오어의 첨사는 크게 구조조사와 어기조사로 나뉜다. |
| - | ## 구조조사 | + | ### 구조조사 |
| - | ### di33 的 | + | |
| - | #### di33는 중국어에서 차용한 것이다. 문중에서 li33로 읽히는 경우가 많은데, 흘료족이 li33로 읽는 것을 더 편하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보통은 ‘수식어+di33+피수식어’ 어순이지만, ‘피수식어+di33+수식어’의 순서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 +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139) | + | ##### di33 的 |
| + | |||
| + | (1) di33는 중국어에서 차용한 것이다. 문중에서 li33로 읽히는 경우가 많은데, 거라오어족이 li33로 읽는 것을 더 편하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보통은 ‘수식어+di33+피수식어’ 어순이지만, ‘피수식어+di33+수식어’의 순서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 ||
| + | |||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39) | ||
| [wuN31 lan31 di33 ven31vuN31 M35 kEn35 gi55] | [wuN31 lan31 di33 ven31vuN31 M35 kEn35 gi55] | ||
| day after GEN life will much better | day after GEN life will much better | ||
| - | 장래의 생활은 더 좋을 것이다. | + | 장래의 생활은 더 좋을 것이다. |
| }}} | }}}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139)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39) |
| [mi~35 au31 qV31tshu35 a35 lEu31san35 li33 au33] | [mi~35 au31 qV31tshu35 a35 lEu31san35 li33 au33] | ||
| 3SG COP people PTCL JuDu GEN not.BE | 3SG COP people PTCL JuDu GEN not.BE | ||
| 줄 19: | 줄 21: | ||
| }}} | }}} | ||
| - | #### di33는 명사(구)나 동사(구) 앞에 쓰여 명사화(구)를 형성하기도 한다. | + | (2) di33는 명사(구)나 동사(구) 앞에 쓰여 명사화(구)를 형성하기도 한다.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140)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40) |
| [a33 J_+ au31 di33 mEM31 a33 bM35 au31 di33 mi~35] | [a33 J_+ au31 di33 mEM31 a33 bM35 au31 di33 mi~35] | ||
| DM this CONT GEN 2SG PTCL that COP GEN 3SG | DM this CONT GEN 2SG PTCL that COP GEN 3SG | ||
| 줄 27: | 줄 29: | ||
| }}} | }}} | ||
| - | 한어 문법의 영향으로 di33가 명사(구)나 동사(구) 앞에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는 흘료어 원래 어순으로 바꾸어도 무방하다. | + | (3) 중국어 문법의 영향으로 di33가 명사(구)나 동사(구) 앞에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는 거라오어 원래 어순으로 바꾸어도 무방하다.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140)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40) |
| [plei31 J_+i35 di33 tS\i31 fan33 tshen31nin31 di33 gi33] | [plei31 J_+i35 di33 tS\i31 fan33 tshen31nin31 di33 gi33] | ||
| year this GEN rise COMPAR last.year GEN good | year this GEN rise COMPAR last.year GEN good | ||
| 줄 35: | 줄 37: | ||
| }}} | }}} | ||
| - | #### 흘료어에서 소유 구조는 보통 ‘명사+수식어’의 구조로 조사를 쓰지 않는다. 조사를 쓰는 것은 한어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한어의 영향을 받은 문장은 흘료어의 고유 표현으로 환원될 수 있다. | + | (4) 거라오어에서 소유 구조는 보통 ‘명사+수식어’의 구조로 조사를 쓰지 않는다. 조사를 쓰는 것은 중국어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중국어의 영향을 받은 문장은 거라오어의 고유 표현으로 환원될 수 있다.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140)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40) |
| [la35 mEM31 lan33 la35 i55 dz\au31 li35 wo33] | [la35 mEM31 lan33 la35 i55 dz\au31 li35 wo33] | ||
| child 2SG 부정동사 child 1SG like cry NEG.FP | child 2SG 부정동사 child 1SG like cry NEG.FP | ||
| 줄 43: | 줄 45: | ||
| }}} | }}} | ||
| - | #### di33과 명사, 대명사 혹은 동사성 단어나 구가 명사화 di33 구조를 이룰 때 보통 명사, 대명사, 동사성 단어나 구의 앞에 놓이지만 어떤 경우에는 명사, 대명사 혹은 동사성 단어나 구의 앞과 뒤에 다 놓이는 경우도 있음. 뒤에 놓이는 것은 li33으로 변독되기도 한다. | + | (5) di33과 명사, 대명사 혹은 동사성 단어나 구가 명사화 di33 구조를 이룰 때 보통 명사, 대명사, 동사성 단어나 구의 앞에 놓이지만 어떤 경우에는 명사, 대명사 혹은 동사성 단어나 구의 앞과 뒤에 다 놓이는 경우도 있음. 뒤에 놓이는 것은 li33으로 변독되기도 한다.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141)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41) |
| [phai35 su31 nan35 au31 di33 mEM31 di33]? | [phai35 su31 nan35 au31 di33 mEM31 di33]? | ||
| CL book which CONT GEN 2SG GEN | CL book which CONT GEN 2SG GEN | ||
| 줄 51: | 줄 53: | ||
| }}} | }}} | ||
| - | ### di33 地 | + | ##### di33 地 |
| - | 흘료어는 원래 부사어 표지 없이 수식어가 피수식어 앞에 위치하지만, 한어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부사어 표지 'di33 地'를 차용하게 되었다. | + | 거라오어는 원래 부사어 표지 없이 수식어가 피수식어 앞에 위치하지만, 중국어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부사어 표지 'di33 地'를 차용하게 되었다.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142)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42) |
| [ma33 thiN31 di33 s\in31] | [ma33 thiN31 di33 s\in31] | ||
| NEG stop ADVZ say | NEG stop ADVZ say | ||
| 줄 61: | 줄 63: | ||
| }}} | }}} | ||
| - | ### [lV33], di33 | + | ##### [lV33], di33 |
| - | 흘료어는 원래 결과보어나 상태보어 표지 없이 직접 동사 뒤에 위치했지만, 한어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lV33], di33을 차용하게 되었다. [lV33], di33은 보어의 앞에 놓인다. | + | |
| - | #### di33 得 | +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143) | + | 거라오어는 원래 결과보어나 상태보어 표지 없이 직접 동사 뒤에 위치했지만, 중국어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lV33], di33을 차용하게 되었다. [lV33], di33은 보어의 앞에 놓인다. |
| + | |||
| + | ###### di33 得 | ||
| + | |||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43) | ||
| [mi~35 di33 vu31tM31su31 lo31zo31 di33 gi33] | [mi~35 di33 vu31tM31su31 lo31zo31 di33 gi33] | ||
| 3SG GEN script write ADVZ good | 3SG GEN script write ADVZ good | ||
| 줄 71: | 줄 75: | ||
| }}} | }}}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143)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43) |
| [dM35 nuN31 J_+i35 V31duN31 lV33 dz\i31 kan31 tsɿ33 sEM31] | [dM35 nuN31 J_+i35 V31duN31 lV33 dz\i31 kan31 tsɿ33 sEM31] | ||
| CL thing this make.noise ADVZ every CL all know | CL thing this make.noise ADVZ every CL all know | ||
| 줄 77: | 줄 81: | ||
| }}} | }}} | ||
| - | ## 어기조사 | + | ### 어기조사 |
| - | ### ne35 | + | |
| + | ##### ne35 | ||
| 문두에서 화제의 시작을 알리거나 문중에서 휴지와 화제를 겸해서 나타내거나 어떤 경우에는 문미에서 진술과 의문의 어기를 나타낸다. 평소에 말할 때는 대부분 문미에 놓이며 문두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다. | 문두에서 화제의 시작을 알리거나 문중에서 휴지와 화제를 겸해서 나타내거나 어떤 경우에는 문미에서 진술과 의문의 어기를 나타낸다. 평소에 말할 때는 대부분 문미에 놓이며 문두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다. | ||
| - | #### 문두에서 어기를 부드럽게 하고 화제를 이끌어내는 작용을 한다. | + | |
| - | | + | (1) 문두에서 어기를 부드럽게 하고 화제를 이끌어내는 작용을 한다.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147) | + | |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47) | ||
| [ne35a N31 qV31tshu35 jou35 s\in31 fei31 mi~35 J_+uN35huN31 han35 V35] | [ne35a N31 qV31tshu35 jou35 s\in31 fei31 mi~35 J_+uN35huN31 han35 V35] | ||
| DM EXIST person again say to 3SG listen ITER PTCL | DM EXIST person again say to 3SG listen ITER PTCL | ||
| 줄 88: | 줄 95: | ||
| }}} | }}} | ||
| - | #### 문중에서 대조, 휴지, 화제를 나타내는 등 역할을 한다. | + | (2) 문중에서 대조, 휴지, 화제를 나타내는 등 역할을 한다.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147)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47) |
| [pa35V33dzoN33 ne35 tshuN33 na31 ts\i33ts\o31 da31 gi33 wo33] | [pa35V33dzoN33 ne35 tshuN33 na31 ts\i33ts\o31 da31 gi33 wo33] | ||
| above PTCL INF to 2PL make RES NEG.PTCL | above PTCL INF to 2PL make RES NEG.PTCL | ||
| 줄 96: | 줄 103: | ||
| }}} | }}} | ||
| - | #### 진술문 문말에 쓰여 새로운 상황을 서술하거나 상대방을 일깨워주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문미어조는 비교적 높음. 명사성 비주술술어문의 문미에 놓이고 의문 어기를 나타내기도 함. 동사술어문의 문미에 놓이고 의문대명사 [s\aN33], [aN31], [da31ts\i33]와 같이 쓰여서 의문 어기를 나타내기도 함. | + | (3) 진술문 문말에 쓰여 새로운 상황을 서술하거나 상대방을 일깨워주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문미어조는 비교적 높다. 명사성 비주술술어문의 문미에 놓이고 의문 어기를 나타내기도 한다. 동사술어문의 문미에 놓이고 의문대명사 [s\aN33], [aN31], [da31ts\i33]와 같이 쓰여서 의문 어기를 나타내기도 한다.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148)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48) |
| [vuN31 ha35~31 qEM31 ne35] | [vuN31 ha35~31 qEM31 ne35] | ||
| time still early PTCL | time still early PTCL | ||
| 줄 104: | 줄 111: | ||
| }}} | }}}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148)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48) |
| [dz\au33 san35san33 mEM31 ne35]? | [dz\au33 san35san33 mEM31 ne35]? | ||
| CL bowl 2SG Q | CL bowl 2SG Q | ||
| 줄 110: | 줄 117: | ||
| }}} | }}}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148)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48) |
| [mEM31 da31ts\i33 ma33 do31 wo33 ne35]? | [mEM31 da31ts\i33 ma33 do31 wo33 ne35]? | ||
| 2SG how NEG come NEG.PTCL Q | 2SG how NEG come NEG.PTCL Q | ||
| 줄 116: | 줄 123: | ||
| }}} | }}} | ||
| - | ### hau31, a33, ha31(了, 吧) | + | |
| + | ##### hau31, a33, ha31(了, 吧) | ||
| 문미에 놓이는 경우가 많고 진술 또는 명령문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 문미에 놓이는 경우가 많고 진술 또는 명령문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 ||
| - | #### 진술문에 쓰이는 경우 | + | (1) 진술문에 쓰이는 경우 |
| 어떤 견해를 제출하거나 어떤 의견, 요구에 동의함을 나타냄. 어조는 비교적 낮음. hau31와 ha35를 연용하는 경우에는 hau31는 반드시 ha35 앞에 놓여야 함. | 어떤 견해를 제출하거나 어떤 의견, 요구에 동의함을 나타냄. 어조는 비교적 낮음. hau31와 ha35를 연용하는 경우에는 hau31는 반드시 ha35 앞에 놓여야 함. | ||
| - | +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149)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49) |
| [i55 vu33 tsen31 hau31, mEM31 z\i31khen31 hau31] | [i55 vu33 tsen31 hau31, mEM31 z\i31khen31 hau31] | ||
| 1SG go buy PTCL 2SG rest DEC | 1SG go buy PTCL 2SG rest DEC | ||
| 줄 128: | 줄 136: | ||
| }}} | }}}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149)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49) |
| [i55 ma33 vu33 wo33, mEM31 vu33 hau31ha35] | [i55 ma33 vu33 wo33, mEM31 vu33 hau31ha35] | ||
| 1SG NEG go NEG.PTCL 2SG go DEC.DEC | 1SG NEG go NEG.PTCL 2SG go DEC.DEC | ||
| 줄 135: | 줄 143: | ||
| - | #### 명령문에 쓰이는 경우 | + | (2) 명령문에 쓰이는 경우 |
| a31, hau31를 써서 요청, 명령, 재촉, 권고를 나타냄. a31, hau31에는 어기를 부드럽게 하는 작용이 있다. | a31, hau31를 써서 요청, 명령, 재촉, 권고를 나타냄. a31, hau31에는 어기를 부드럽게 하는 작용이 있다.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149)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49) |
| [mEM31 ko33tsɿ33 vu33 a33/hau31]! | [mEM31 ko33tsɿ33 vu33 a33/hau31]! | ||
| 2SG quickly go IMP | 2SG quickly go IMP | ||
| 줄 144: | 줄 153: | ||
| }}} | }}} | ||
| - | #### hau31와 ha35는 명령어기를 나타내는 [s\E33]와 공기하여 명령어기를 나타내기도 한다. | + | (3) hau31와 ha35는 명령어기를 나타내는 [s\E33]와 공기하여 명령어기를 나타내기도 한다. |
| + | |||
| 이 때 전체 문장의 어기는 더 강해짐. 이들 간의 위치는 서로 바꿀 수 없다. | 이 때 전체 문장의 어기는 더 강해짐. 이들 간의 위치는 서로 바꿀 수 없다.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149)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49) |
| [gi33 ha31, han33 s\in31 s\e33ha31]! | [gi33 ha31, han33 s\in31 s\e33ha31]! | ||
| good DEC INF say IMP.DEC | good DEC INF say IMP.DEC | ||
| 줄 153: | 줄 163: | ||
| }}} | }}} | ||
| - | ### o35, [V35](了) | + | ##### o35, [V35](了) |
| 문말에 놓여 동작 상태의 실현을 나타낸다. | 문말에 놓여 동작 상태의 실현을 나타낸다.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149)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49) |
| [mi~35 ?jaM35 m_0MN31 tsaN33 V35] | [mi~35 ?jaM35 m_0MN31 tsaN33 V35] | ||
| 3SG PASS dog bite PRF | 3SG PASS dog bite PRF | ||
| 줄 163: | 줄 174: | ||
| 어떤 문장에는 부정을 나타내는 조사 wo33과 어기조사 o35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합음되어 wo33가 된다. | 어떤 문장에는 부정을 나타내는 조사 wo33과 어기조사 o35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합음되어 wo33가 된다. | ||
| - | +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150)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50) |
| [meM31 ma33 nai33 wo35 ɬa31 fei31 i55] | [meM31 ma33 nai33 wo35 ɬa31 fei31 i55] | ||
| 2SG NEG take NEG.PTCL take give 1SG | 2SG NEG take NEG.PTCL take give 1SG | ||
| 줄 170: | 줄 181: | ||
| }}} | }}} | ||
| - | ### [s\E33] | + | ##### [s\E33] |
| 문미조사 [s\E33]는 han33 과 같이 사용되어 "han33...[s\E33]"의 틀을 이루어 명령어기를 나타낸다. | 문미조사 [s\E33]는 han33 과 같이 사용되어 "han33...[s\E33]"의 틀을 이루어 명령어기를 나타낸다.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151)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51) |
| [do31 ai33]! [han22 lo35zi31 bM35 s\e33] | [do31 ai33]! [han22 lo35zi31 bM35 s\e33] | ||
| come here INF stand there IMP | come here INF stand there IMP | ||
| 줄 179: | 줄 190: | ||
| }}} | }}} | ||
| - | ### [maN33] | + | ##### [maN33] |
| 어기조사 [maN33]은 문중에 놓일 수도 있고 문미에 놓일 수도 있음. 위치의 다름에 따라 그 어법 작용도 다름. | 어기조사 [maN33]은 문중에 놓일 수도 있고 문미에 놓일 수도 있음. 위치의 다름에 따라 그 어법 작용도 다름. | ||
| - | #### 선택 관계 | + | |
| + | (1) 선택 관계 | ||
| 어기조사 [maN33]은 보통로 문장에서 두 개의 단어 혹은 구 사이에 놓여서 구 혹은 절을 이으며, 선택 관계를 나타냄. | 어기조사 [maN33]은 보통로 문장에서 두 개의 단어 혹은 구 사이에 놓여서 구 혹은 절을 이으며, 선택 관계를 나타냄.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151)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51) |
| [mEM31 aN31 sEM31 tsaN33 dM31], [M35 vu33 ɬaM35 nz\i31 maN33 M35 vu33 tai33 lo31mo35] | [mEM31 aN31 sEM31 tsaN33 dM31], [M35 vu33 ɬaM35 nz\i31 maN33 M35 vu33 tai33 lo31mo35] | ||
| - | 2SG have two kind idea will go see cow DM will go cut firewood | + | 2SG have two kind idea will go see cow DM will go cut firewood |
| - | 너 있다 두 종류 생각 -려고 하다 가다 보다 소 어기조사 -려고 하다 가다 베다 땔감 | + | 너는 두 가지 선택을 할 수 있다. 소치는 것 아니면 나무 하는 것. |
| - | 너는 두 가지 선택을 할 수 있다. 소치는 것 아니면 나무 하는 것. | + | |
| }}} | }}}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151)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51) |
| [i55 vu33 maN33 ha31sɿ35 mEM31 vu33 V33]? | [i55 vu33 maN33 ha31sɿ35 mEM31 vu33 V33]? | ||
| 1SG go PTCL or 2SG go PTCL | 1SG go PTCL or 2SG go PTCL | ||
| 줄 197: | 줄 209: | ||
| }}} | }}} | ||
| - | #### 대비 화제 | + | (2) 대비 화제 |
| 대비적인 성질을 가진 문장에서 명사성 단어 뒤에 놓여 대비성 화제를 이끌어낸다. 어떤 경우에는 두 개의 명사성 단어 뒤에 [maN33] 이 모두 출현하기도 하고 어떤 경우에는 하나만 출현하기도 한다. | 대비적인 성질을 가진 문장에서 명사성 단어 뒤에 놓여 대비성 화제를 이끌어낸다. 어떤 경우에는 두 개의 명사성 단어 뒤에 [maN33] 이 모두 출현하기도 하고 어떤 경우에는 하나만 출현하기도 한다.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151)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51) |
| [?len31 maN35 da31 di33 gi33], [dM35 ?lan31 J_+i35 thai35 V31nie35 e33 do31] | [?len31 maN35 da31 di33 gi33], [dM35 ?lan31 J_+i35 thai35 V31nie35 e33 do31] | ||
| house PTCL build ??? good CL road this too dirty ??? very | house PTCL build ??? good CL road this too dirty ??? very | ||
| 줄 206: | 줄 218: | ||
| }}} | }}} | ||
| - | #### 의문문 | + | (3) 의문어기 |
| - | 문말에 놓여 의문 어기를 나타냄. | + | |
| - | + | 문말에 놓여 의문 어기를 나타낸다.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151) | + | |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51) | ||
| [mEM31 tsai35 lo31zo31 su31 ha35/maN33]? | [mEM31 tsai35 lo31zo31 su31 ha35/maN33]? | ||
| 2SG PROG write writing Q | 2SG PROG write writing Q | ||
| 줄 217: | 줄 230: | ||
| ### 화용조사 | ### 화용조사 | ||
| - | #### 한정 지시 | + | |
| + | #### 한정 지시 | ||
| + | |||
| 조사 ma33는 명사 앞에 놓여 한정 지시를 나타냄. | 조사 ma33는 명사 앞에 놓여 한정 지시를 나타냄. | ||
| - | | +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152)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52) |
| [mEM31 ɬa31 ma33 dz\au33 khe55 J_+i35 tuN35 ?u55] | [mEM31 ɬa31 ma33 dz\au33 khe55 J_+i35 tuN35 ?u55] | ||
| 2SG take DEF CL pot this boil meat | 2SG take DEF CL pot this boil meat | ||
| 줄 227: | 줄 242: | ||
| #### 빈도 | #### 빈도 | ||
| + | |||
| ##### tshan35 | ##### tshan35 | ||
| - | 문미조사 tshan35는 어기조사 [V35] 앞에 쓰여서 앞의 동작 혹은 행위가 다시 발생함을 나타냄. 어떤 경우에는 tshan35과 부사 jou35가 공기함. 공기 여부는 강제성이 없으며 발화자의 습관에 달려 있음.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153) | + | 문미조사 tshan35는 어기조사 [V35] 앞에 쓰여서 앞의 동작 혹은 행위가 다시 발생함을 나타냄. 어떤 경우에는 tshan35과 부사 jou35가 공기함. 공기 여부는 강제성이 없으며 발화자의 습관에 달려 있다. |
| + | |||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53) | ||
| [jou35 do31 lan31 tshan35 V35]? | [jou35 do31 lan31 tshan35 V35]? | ||
| again come late ITER PTCL | again come late ITER PTCL | ||
| 줄 237: | 줄 254: | ||
| ##### han35 | ##### han35 | ||
| - | 문미조사 han35는 어기조사 [V35] 앞에 쓰여서 앞의 동작 혹은 행위가 다시 발생함을 나타냄. 어떤 경우에는 han35와 부사 jou35가 공기함. 공기 여부는 강제성이 없으며 발화자의 습관에 달려 있음. | + | |
| - | | + | 문미조사 han35는 어기조사 [V35] 앞에 쓰여서 앞의 동작 혹은 행위가 다시 발생함을 나타냄. 어떤 경우에는 han35와 부사 jou35가 공기함. 공기 여부는 강제성이 없으며 발화자의 습관에 달려 있다.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153) | + | |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53) | ||
| [M35 do31 man31 han35 V35] | [M35 do31 man31 han35 V35] | ||
| will do come ITER PTCL | will do come ITER PTCL | ||
| 줄 245: | 줄 263: | ||
| }}} | }}} | ||
| - | #### 강조를 나타냄. | + | #### 강조 |
| - | ##### di35 | + | |
| - | 조사 di35 는 문미에 놓이거나 문미어기사 앞에 놓임. 앞의 동작 행위 혹은 앞의 수량 구조에 대하여 강조 작용을 일으킴. | +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153) | + | ##### di35 |
| + | |||
| + | 조사 di35 는 문미에 놓이거나 문미어기사 앞에 놓임. 앞의 동작 행위 혹은 앞의 수량 구조에 대하여 강조 작용을 일으킴. | ||
| + | |||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53) | ||
| [i55 ka31V33lu33 Nu35 ko35 di35 V35] | [i55 ka31V33lu33 Nu35 ko35 di35 V35] | ||
| 1SG noon sleep PRF INT PTCL | 1SG noon sleep PRF INT PTCL | ||
| 줄 259: | 줄 279: | ||
| ##### thei35 | ##### thei35 | ||
| - | 조사 thei35는 의문문에서 의문대사 ‘[v31ts\i33]’ 앞에 쓰임. 뒤의 ‘[vu31ts\i33]’를 강조하여 비교적 강한 어기를 나타냄. 발화자의 대답에 대한 일종의 기대를 강조함.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154) | + | 조사 thei35는 의문문에서 의문대사 ‘[v31ts\i33]’ 앞에 쓰임. 뒤의 ‘[vu31ts\i33]’를 강조하여 비교적 강한 어기를 나타냄. 발화자의 대답에 대한 일종의 기대를 강조함. |
| - | [mEM31 aN35 thei35 vu31ts\i33]?2SG have INT what | + | |
| - | 너 무엇이 있니?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54) |
| + | [mEM31 aN35 thei35 vu31ts\i33]? | ||
| + | 2SG have INT what | ||
| + | 너 무엇이 있니?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