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gelao:2_wordclass:36_ptcl:36_ptcl [2018/08/18 14:25] 박은석 [구조조사] |
doc:gelao:2_wordclass:36_ptcl:36_ptcl [2021/01/20 22:10] (현재) 박은석 |
||
|---|---|---|---|
| 줄 1: | 줄 1: | ||
| # 36_ptcl : 첨사(particle) | # 36_ptcl : 첨사(particle) | ||
| - | 흘료어의 첨사는 크게 구조조사와 어기조사로 나뉜다. | + | 거라오어의 첨사는 크게 구조조사와 어기조사로 나뉜다. |
| ### 구조조사 | ### 구조조사 | ||
| - | + | ||
| - | ### di33 的 | + | ##### di33 的 |
| - | #### di33는 중국어에서 차용한 것이다. 문중에서 li33로 읽히는 경우가 많은데, 흘료족이 li33로 읽는 것을 더 편하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보통은 ‘수식어+di33+피수식어’ 어순이지만, ‘피수식어+di33+수식어’의 순서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 + | |
| + | (1) di33는 중국어에서 차용한 것이다. 문중에서 li33로 읽히는 경우가 많은데, 거라오어족이 li33로 읽는 것을 더 편하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보통은 ‘수식어+di33+피수식어’ 어순이지만, ‘피수식어+di33+수식어’의 순서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39) | {{{eg>judu1234 (kangzhongde2011:139) | ||
| [wuN31 lan31 di33 ven31vuN31 M35 kEn35 gi55] | [wuN31 lan31 di33 ven31vuN31 M35 kEn35 gi55] | ||
| day after GEN life will much better | day after GEN life will much better | ||
| - | 장래의 생활은 더 좋을 것이다. | + | 장래의 생활은 더 좋을 것이다. |
| }}} | }}} | ||
| 줄 20: | 줄 21: | ||
| }}} | }}} | ||
| - | #### di33는 명사(구)나 동사(구) 앞에 쓰여 명사화(구)를 형성하기도 한다. | + | (2) di33는 명사(구)나 동사(구) 앞에 쓰여 명사화(구)를 형성하기도 한다.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40) | {{{eg>judu1234 (kangzhongde2011:140) | ||
| 줄 28: | 줄 29: | ||
| }}} | }}} | ||
| - | 한어 문법의 영향으로 di33가 명사(구)나 동사(구) 앞에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는 흘료어 원래 어순으로 바꾸어도 무방하다. | + | (3) 중국어 문법의 영향으로 di33가 명사(구)나 동사(구) 앞에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는 거라오어 원래 어순으로 바꾸어도 무방하다.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40) | {{{eg>judu1234 (kangzhongde2011:140) | ||
| 줄 36: | 줄 37: | ||
| }}} | }}} | ||
| - | #### 흘료어에서 소유 구조는 보통 ‘명사+수식어’의 구조로 조사를 쓰지 않는다. 조사를 쓰는 것은 한어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한어의 영향을 받은 문장은 흘료어의 고유 표현으로 환원될 수 있다. | + | (4) 거라오어에서 소유 구조는 보통 ‘명사+수식어’의 구조로 조사를 쓰지 않는다. 조사를 쓰는 것은 중국어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중국어의 영향을 받은 문장은 거라오어의 고유 표현으로 환원될 수 있다.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40) | {{{eg>judu1234 (kangzhongde2011:140) | ||
| 줄 44: | 줄 45: | ||
| }}} | }}} | ||
| - | #### di33과 명사, 대명사 혹은 동사성 단어나 구가 명사화 di33 구조를 이룰 때 보통 명사, 대명사, 동사성 단어나 구의 앞에 놓이지만 어떤 경우에는 명사, 대명사 혹은 동사성 단어나 구의 앞과 뒤에 다 놓이는 경우도 있음. 뒤에 놓이는 것은 li33으로 변독되기도 한다. | + | (5) di33과 명사, 대명사 혹은 동사성 단어나 구가 명사화 di33 구조를 이룰 때 보통 명사, 대명사, 동사성 단어나 구의 앞에 놓이지만 어떤 경우에는 명사, 대명사 혹은 동사성 단어나 구의 앞과 뒤에 다 놓이는 경우도 있음. 뒤에 놓이는 것은 li33으로 변독되기도 한다.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41) | {{{eg>judu1234 (kangzhongde2011:141) | ||
| 줄 52: | 줄 53: | ||
| }}} | }}} | ||
| - | ### di33 地 | + | ##### di33 地 |
| - | 흘료어는 원래 부사어 표지 없이 수식어가 피수식어 앞에 위치하지만, 한어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부사어 표지 'di33 地'를 차용하게 되었다. | + | 거라오어는 원래 부사어 표지 없이 수식어가 피수식어 앞에 위치하지만, 중국어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부사어 표지 'di33 地'를 차용하게 되었다.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42) | {{{eg>judu1234 (kangzhongde2011:142) | ||
| 줄 62: | 줄 63: | ||
| }}} | }}} | ||
| - | ### [lV33], di33 | + | ##### [lV33], di33 |
| - | 흘료어는 원래 결과보어나 상태보어 표지 없이 직접 동사 뒤에 위치했지만, 한어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lV33], di33을 차용하게 되었다. [lV33], di33은 보어의 앞에 놓인다. | + | |
| - | #### di33 得 | + | 거라오어는 원래 결과보어나 상태보어 표지 없이 직접 동사 뒤에 위치했지만, 중국어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lV33], di33을 차용하게 되었다. [lV33], di33은 보어의 앞에 놓인다. |
| + | |||
| + | ###### di33 得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43) | {{{eg>judu1234 (kangzhongde2011:143) | ||
| 줄 78: | 줄 81: | ||
| }}} | }}} | ||
| - | ## 어기조사 | + | ### 어기조사 |
| - | ### ne35 | + | |
| + | ##### ne35 | ||
| 문두에서 화제의 시작을 알리거나 문중에서 휴지와 화제를 겸해서 나타내거나 어떤 경우에는 문미에서 진술과 의문의 어기를 나타낸다. 평소에 말할 때는 대부분 문미에 놓이며 문두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다. | 문두에서 화제의 시작을 알리거나 문중에서 휴지와 화제를 겸해서 나타내거나 어떤 경우에는 문미에서 진술과 의문의 어기를 나타낸다. 평소에 말할 때는 대부분 문미에 놓이며 문두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다. | ||
| - | #### 문두에서 어기를 부드럽게 하고 화제를 이끌어내는 작용을 한다. | + | (1) 문두에서 어기를 부드럽게 하고 화제를 이끌어내는 작용을 한다.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47) | {{{eg>judu1234 (kangzhongde2011:147) | ||
| 줄 91: | 줄 95: | ||
| }}} | }}} | ||
| - | #### 문중에서 대조, 휴지, 화제를 나타내는 등 역할을 한다. | + | (2) 문중에서 대조, 휴지, 화제를 나타내는 등 역할을 한다.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47) | {{{eg>judu1234 (kangzhongde2011:147) | ||
| 줄 99: | 줄 103: | ||
| }}} | }}} | ||
| - | #### 진술문 문말에 쓰여 새로운 상황을 서술하거나 상대방을 일깨워주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문미어조는 비교적 높다. 명사성 비주술술어문의 문미에 놓이고 의문 어기를 나타내기도 한다. 동사술어문의 문미에 놓이고 의문대명사 [s\aN33], [aN31], [da31ts\i33]와 같이 쓰여서 의문 어기를 나타내기도 한다. | + | (3) 진술문 문말에 쓰여 새로운 상황을 서술하거나 상대방을 일깨워주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문미어조는 비교적 높다. 명사성 비주술술어문의 문미에 놓이고 의문 어기를 나타내기도 한다. 동사술어문의 문미에 놓이고 의문대명사 [s\aN33], [aN31], [da31ts\i33]와 같이 쓰여서 의문 어기를 나타내기도 한다.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48) | {{{eg>judu1234 (kangzhongde2011:148) | ||
| 줄 120: | 줄 124: | ||
| - | ### hau31, a33, ha31(了, 吧) | + | ##### hau31, a33, ha31(了, 吧) |
| 문미에 놓이는 경우가 많고 진술 또는 명령문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 문미에 놓이는 경우가 많고 진술 또는 명령문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 ||
| - | #### 진술문에 쓰이는 경우 | + | (1) 진술문에 쓰이는 경우 |
| 어떤 견해를 제출하거나 어떤 의견, 요구에 동의함을 나타냄. 어조는 비교적 낮음. hau31와 ha35를 연용하는 경우에는 hau31는 반드시 ha35 앞에 놓여야 함. | 어떤 견해를 제출하거나 어떤 의견, 요구에 동의함을 나타냄. 어조는 비교적 낮음. hau31와 ha35를 연용하는 경우에는 hau31는 반드시 ha35 앞에 놓여야 함. | ||
| 줄 139: | 줄 143: | ||
| - | #### 명령문에 쓰이는 경우 | + | (2) 명령문에 쓰이는 경우 |
| a31, hau31를 써서 요청, 명령, 재촉, 권고를 나타냄. a31, hau31에는 어기를 부드럽게 하는 작용이 있다. | a31, hau31를 써서 요청, 명령, 재촉, 권고를 나타냄. a31, hau31에는 어기를 부드럽게 하는 작용이 있다. | ||
| 줄 148: | 줄 153: | ||
| }}} | }}} | ||
| - | #### hau31와 ha35는 명령어기를 나타내는 [s\E33]와 공기하여 명령어기를 나타내기도 한다. | + | (3) hau31와 ha35는 명령어기를 나타내는 [s\E33]와 공기하여 명령어기를 나타내기도 한다. |
| + | |||
| 이 때 전체 문장의 어기는 더 강해짐. 이들 간의 위치는 서로 바꿀 수 없다. | 이 때 전체 문장의 어기는 더 강해짐. 이들 간의 위치는 서로 바꿀 수 없다. | ||
| 줄 157: | 줄 163: | ||
| }}} | }}} | ||
| - | ### o35, [V35](了) | + | ##### o35, [V35](了) |
| 문말에 놓여 동작 상태의 실현을 나타낸다. | 문말에 놓여 동작 상태의 실현을 나타낸다. | ||
| 줄 174: | 줄 181: | ||
| }}} | }}} | ||
| - | ### [s\E33] | + | ##### [s\E33] |
| 문미조사 [s\E33]는 han33 과 같이 사용되어 "han33...[s\E33]"의 틀을 이루어 명령어기를 나타낸다. | 문미조사 [s\E33]는 han33 과 같이 사용되어 "han33...[s\E33]"의 틀을 이루어 명령어기를 나타낸다. | ||
| 줄 183: | 줄 190: | ||
| }}} | }}} | ||
| - | ### [maN33] | + | ##### [maN33] |
| 어기조사 [maN33]은 문중에 놓일 수도 있고 문미에 놓일 수도 있음. 위치의 다름에 따라 그 어법 작용도 다름. | 어기조사 [maN33]은 문중에 놓일 수도 있고 문미에 놓일 수도 있음. 위치의 다름에 따라 그 어법 작용도 다름. | ||
| - | #### 선택 관계 | + | (1) 선택 관계 |
| 어기조사 [maN33]은 보통로 문장에서 두 개의 단어 혹은 구 사이에 놓여서 구 혹은 절을 이으며, 선택 관계를 나타냄. | 어기조사 [maN33]은 보통로 문장에서 두 개의 단어 혹은 구 사이에 놓여서 구 혹은 절을 이으며, 선택 관계를 나타냄.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151) | {{{eg>judu1234 (kangzhongde2011:151) | ||
| [mEM31 aN31 sEM31 tsaN33 dM31], [M35 vu33 ɬaM35 nz\i31 maN33 M35 vu33 tai33 lo31mo35] | [mEM31 aN31 sEM31 tsaN33 dM31], [M35 vu33 ɬaM35 nz\i31 maN33 M35 vu33 tai33 lo31mo35] | ||
| - | 2SG have two kind idea will go see cow DM will go cut firewood | + | 2SG have two kind idea will go see cow DM will go cut firewood |
| - | 너 있다 두 종류 생각 -려고 하다 가다 보다 소 어기조사 -려고 하다 가다 베다 땔감 | + | 너는 두 가지 선택을 할 수 있다. 소치는 것 아니면 나무 하는 것. |
| - | 너는 두 가지 선택을 할 수 있다. 소치는 것 아니면 나무 하는 것. | + | |
| }}} | }}} | ||
| 줄 202: | 줄 209: | ||
| }}} | }}} | ||
| - | #### 대비 화제 | + | (2) 대비 화제 |
| 대비적인 성질을 가진 문장에서 명사성 단어 뒤에 놓여 대비성 화제를 이끌어낸다. 어떤 경우에는 두 개의 명사성 단어 뒤에 [maN33] 이 모두 출현하기도 하고 어떤 경우에는 하나만 출현하기도 한다. | 대비적인 성질을 가진 문장에서 명사성 단어 뒤에 놓여 대비성 화제를 이끌어낸다. 어떤 경우에는 두 개의 명사성 단어 뒤에 [maN33] 이 모두 출현하기도 하고 어떤 경우에는 하나만 출현하기도 한다. | ||
| 줄 211: | 줄 218: | ||
| }}} | }}} | ||
| - | #### 의문문 | + | (3) 의문어기 |
| 문말에 놓여 의문 어기를 나타낸다. | 문말에 놓여 의문 어기를 나타낸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