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gelao:4_ss:42_np:42_np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gelao:4_ss:42_np:42_np [2017/02/15 17:16]
박성하 [명사와 양사의 어순]
doc:gelao:4_ss:42_np:42_np [2019/03/29 16:17] (현재)
유현조
줄 1: 줄 1:
-# 42_np :  명사구 구조 (noun phrase ​struture+# 42_np :  명사구 구조 (noun phrase ​structure
  
 ## 명사 핵과 수식어의 어순 ## 명사 핵과 수식어의 어순
줄 6: 줄 6:
 거라오어의 지시사는 명사 뒤에서 수식한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거라오어의 지시사는 명사 뒤에서 수식한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eg>gela1265 ​(kangzhongde2011:​108) +{{{eg>judu1234 ​(kangzhongde2011:​108) 
-[ma33  tsaN33 ​  ​qV31ts_hu35 ​ J_+_0i35 tsin33kuan33 ​  ​nei35] +[ma33  tsaN33 ​  ​qV31ts_hu35 ​ J_+_0i35 ts\in33kuan33 ​  ​nei35] 
-CONN  CL.kind ​  ​people ​      ​this ​     not hesitate to   ​hit ​+CONN  CL.kind ​  ​people ​      ​this ​     not.hesitate.to   ​hit ​
 그런 사람은 때려야만 한다.(这种人该打。) 그런 사람은 때려야만 한다.(这种人该打。)
 }}} }}}
줄 17: 줄 17:
 구조조사 di33을 동반한 형용사가 피수식어 명사 뒤에 놓인 예는 다음과 같다. ​ 구조조사 di33을 동반한 형용사가 피수식어 명사 뒤에 놓인 예는 다음과 같다. ​
  
-{{{eg>gela1265 ​(kangzhongde2011:​174) +{{{eg>judu1234 ​(kangzhongde2011:​174) 
-[ko35pi33hM31 ​    ​aN31 ​ tsɿ33 ​ phM31  tin31  a35ja31a35z31  di33]+[ko35pi33hM31 ​    ​aN31 ​ tsɿ33 ​ phM31  tin31  a35ja31a35z\31  di33]
 infront.of.the.door ​ exist   ​one ​   CL      tree     ​very.tall ​        ​POSS ​ infront.of.the.door ​ exist   ​one ​   CL      tree     ​very.tall ​        ​POSS ​
 문 앞의 한 그루의 나무는 매우 크다.(门前有一株高高的树。) 문 앞의 한 그루의 나무는 매우 크다.(门前有一株高高的树。)
줄 25: 줄 25:
 ‘적다’의 뜻인 형용사 ‘la35’가 명사 앞에 출현한 예는 다음과 같다. ​ ‘적다’의 뜻인 형용사 ‘la35’가 명사 앞에 출현한 예는 다음과 같다. ​
  
-{{{eg>gela1265 ​(kangzhongde2011:​174)+{{{eg>judu1234 ​(kangzhongde2011:​174)
 [la35  an33   ​pa33 ​ la35pai33 ​  ​tin31 ​  ​a35 ​   gi33  plan33 ​ V35] [la35  an33   ​pa33 ​ la35pai33 ​  ​tin31 ​  ​a35 ​   gi33  plan33 ​ V35]
-small  sister ​    ​PREP(把)  ​a.little ​     tree   ​PTCL ​  good(‘好’,-(태워) '​버리다'​의 뜻) burn   ​PTCL ​+small  sister ​ PREP  a.little ​  ​tree   ​PTCL ​  ​good ​ burn   ​PTCL ​
 여동생이 조금 밖에 없는 좋은 목재를 태워 버렸다.(小妹妹把这一点儿好木料烧掉了。) 여동생이 조금 밖에 없는 좋은 목재를 태워 버렸다.(小妹妹把这一点儿好木料烧掉了。)
 }}} }}}
  
 ‘크다’의 뜻인 형용사 ‘ma33’가 명사 앞에 출현한 예는 다음과 같다. ​ ‘크다’의 뜻인 형용사 ‘ma33’가 명사 앞에 출현한 예는 다음과 같다. ​
-{{{eg>gela1265 ​(kangzhongde2011:​174)+{{{eg>judu1234 ​(kangzhongde2011:​174)
 [do31  tsɿ33 ​ bjau31 ​ ma33  man31] [do31  tsɿ33 ​ bjau31 ​ ma33  man31]
 come  one    CL       ​big ​    rain come  one    CL       ​big ​    rain
줄 41: 줄 41:
 거라오어의 고유한 방식은 수식 성분이 피수식 성분의 뒤에 놓이는 것이고, 피수식 성분과 수식 성분 사이에는 대부분 중국어에서 차용하는 구조조사 di33가 출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지금은 명사구 뒤에 di33가 부가되어 피수식어 앞에 놓이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 거라오어의 고유한 방식은 수식 성분이 피수식 성분의 뒤에 놓이는 것이고, 피수식 성분과 수식 성분 사이에는 대부분 중국어에서 차용하는 구조조사 di33가 출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지금은 명사구 뒤에 di33가 부가되어 피수식어 앞에 놓이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
  
-{{{eg>gela1265 ​(kangzhongde2011:​139)+{{{eg>judu1234 ​(kangzhongde2011:​139)
 [wuN31 lan31 di33   ​ven31vuN31 M35      k@n35 gi55] [wuN31 lan31 di33   ​ven31vuN31 M35      k@n35 gi55]
  ​day ​   after POSS  life          will  more  good  ​day ​   after POSS  life          will  more  good
줄 50: 줄 50:
 관계절이 관형어가 될 때 피수식어의 앞에 놓이며 반드시 구조조사 di33을 써서 수식관계를 나타낸다. ​ 관계절이 관형어가 될 때 피수식어의 앞에 놓이며 반드시 구조조사 di33을 써서 수식관계를 나타낸다. ​
  
-{{{eg>gela1265 ​(kangzhongde2011:​176)+{{{eg>judu1234 ​(kangzhongde2011:​176)
 [vu31suN31 ​ qa33   ​seN31 ​ di33  wuN31  thai35 ​ lui33  do31  V35] [vu31suN31 ​ qa33   ​seN31 ​ di33  wuN31  thai35 ​ lui33  do31  V35]
 hair         ​NEG ​   comb  POSS  day     ​too ​   long  very   PTCL hair         ​NEG ​   comb  POSS  day     ​too ​   long  very   PTCL
줄 60: 줄 60:
 양사가 명사 앞에 출현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양사가 명사 앞에 출현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eg>gela1265 ​(kangzhongde2011:​120)+{{{eg>judu1234 ​(kangzhongde2011:​120)
 [ta31   ​SuN31 ​ la35] [ta31   ​SuN31 ​ la35]
 Three  CL      child Three  CL      child
줄 66: 줄 66:
 }}} }}}
  
-수량사구,​ 대사, 명사가 같이 출현할 때 일반적으로는 ‘수사+양사+명사+대사’의 격식이고,​ 수사가 [tsɿ33] 1 일 때 수사를 생략할 수 있다+수량사구,​ 대사, 명사가 같이 출현할 때 일반적으로는 ‘수사+양사+명사+대사’의 격식이고,​ 수사가 [tsɿ33] 1 일 때 수사를 생략할 수 있다. ​
- +
-예문 보충요+
  
doc/gelao/4_ss/42_np/42_np.148714656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7/02/15 17:16 저자 박성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