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gelao:4_ss:46_val:val_caus [2016/06/16 19:45] 127.0.0.1 바깥 편집 |
doc:gelao:4_ss:46_val:val_caus [2018/08/17 19:21] (현재) 유현조 |
||
|---|---|---|---|
| 줄 1: | 줄 1: | ||
| ## val_caus : 사동 (causative) | ## val_caus : 사동 (causative) | ||
| - | - 사동 표지 | + | ## 동사의 사동태 |
| - | - 피사동주(causee)의 실현 방식 | + | |
| - | 지침: | + | 거라오어의 사동태는 일반적으로 전치사 'na35'를 사용하여 동작의 원인을 나타낸다. |
| - | - 문법적으로 사동이 표현된 경우.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63) |
| - | - 형식적인 사동표현 기능동사가 사용된 경우만 사동으로 다룸. "담-obj 밀다 무너지다" (담을 밀어 무너지게 했다) : 이와 같은 경우는 사동이 아니라 serial verb construction으로 다룰 것. | + | [mi35 na35 i55 vu33mau33zen31] |
| - | - 중국어학계의 겸어문(두 술어가 연결되면서 목적어와 주어가 일치), 연동문(두 술어의 주어가 일치) 등은 serial verb construction로 다룸. | + | 3SG PREP 1SG return.home |
| + | 그는 나로 하여금 집에 돌아가게 했다. | ||
| + | }}} | ||
| + | ## 형용사의 사동태 | ||
| + | (1) 형용사 자체가 사동사 역할을 하는 경우. | ||
| + | |||
| + | 이 경우, 주어는 행위자이고, 술어동사는 직접 형용사가 충당하며 피행위자가 목적어가 된다. | ||
| + | |||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80) | ||
| + | [m@M31 han33 qau33 n\i35 qV31li31?o33 s\e33hau31] | ||
| + | 2SG NEG at this ashamed man | ||
| + | 너는 여기서 사람 부끄럽게 하지 마라.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