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gelao:4_ss:47_info:47_info [2018/06/25 08:56] 127.0.0.1 바깥 편집 |
doc:gelao:4_ss:47_info:47_info [2018/08/18 14:30] (현재) 김나연 [화제와 주어의 구분] |
||
|---|---|---|---|
| 줄 5: | 줄 5: | ||
| ᴧ31는 qᴧ31의 성모 탈락으로 형성된 것이다. 문두 대명사 앞에서 화제표지로 기능하며 문중에서는 화제 표지의 기능을 갖지 않는다. ᴧ31는 단수 인칭대명사 앞에만 출현(복수 인칭대명사는 불가)할 수 있다. | ᴧ31는 qᴧ31의 성모 탈락으로 형성된 것이다. 문두 대명사 앞에서 화제표지로 기능하며 문중에서는 화제 표지의 기능을 갖지 않는다. ᴧ31는 단수 인칭대명사 앞에만 출현(복수 인칭대명사는 불가)할 수 있다.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221)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221) |
| [V31 mEM31 pa33 lV31dzaN31 ge31 vu33 dz\i33] | [V31 mEM31 pa33 lV31dzaN31 ge31 vu33 dz\i33] | ||
| TOP 2SG ?? table move go out | TOP 2SG ?? table move go out | ||
| 줄 14: | 줄 14: | ||
| 문두의 명사(구), 대명사 혹은 명사화구조의 앞에 분포한다. | 문두의 명사(구), 대명사 혹은 명사화구조의 앞에 분포한다.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221)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221) |
| [a35 vu31suN31 mEM31 tau31tau35 di33 aN31 bja35dzen31 aN33]? | [a35 vu31suN31 mEM31 tau31tau35 di33 aN31 bja35dzen31 aN33]? | ||
| TOP body 2SG take GEN have mony NEG | TOP body 2SG take GEN have mony NEG | ||
| 줄 23: | 줄 23: | ||
| 문두의 명사(구), 동사(구), 대명사, 명사화구조 및 절의 앞이나 바로 뒤에 분포하고, 문미의 ne35는 어기를 나타낸다. | 문두의 명사(구), 동사(구), 대명사, 명사화구조 및 절의 앞이나 바로 뒤에 분포하고, 문미의 ne35는 어기를 나타낸다.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222)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222) |
| [ta31 pan35lan33 ne35 lua31 pin31 pan33 qV31dzo31] | [ta31 pan35lan33 ne35 lua31 pin31 pan33 qV31dzo31] | ||
| arrive later TOP set fire burn mount | arrive later TOP set fire burn mount | ||
| 줄 29: | 줄 29: | ||
| }}} | }}}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222)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222) |
| [ne35 ma33la35tsau33 na31 ma33mi33 ni~35 s\in31] | [ne35 ma33la35tsau33 na31 ma33mi33 ni~35 s\in31] | ||
| TOP daughter give mom 2SG say | TOP daughter give mom 2SG say | ||
| 줄 39: | 줄 39: | ||
| - 문두의 maŋ35는 명사(구), 동사(구), 대명사, 명사화구조의 앞에 분포한다. | - 문두의 maŋ35는 명사(구), 동사(구), 대명사, 명사화구조의 앞에 분포한다.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223)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223) |
| [maN35 di33to31 M35 s\aN33aN31da31 ka31 mau33]? | [maN35 di33to31 M35 s\aN33aN31da31 ka31 mau33]? | ||
| TOP 1PL will how eat meal | TOP 1PL will how eat meal | ||
| 줄 47: | 줄 47: | ||
| - 문중의 maŋ35은 문두의 명사(구), 동사(구), 대명사, 명사화구조의 뒤에 분포한다. | - 문중의 maŋ35은 문두의 명사(구), 동사(구), 대명사, 명사화구조의 뒤에 분포한다.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224)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224) |
| [to31lo33 maN3535 ?le35 do31] | [to31lo33 maN3535 ?le35 do31] | ||
| GELAO TOP many very | GELAO TOP many very | ||
| 줄 55: | 줄 55: | ||
| - 문말의 maŋ35은 어기를 나타낸다. | - 문말의 maŋ35은 어기를 나타낸다.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225)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225) |
| [mEM31 dz\au31 da31 z\i31 maN35]? | [mEM31 dz\au31 da31 z\i31 maN35]? | ||
| 2SG will sing song PTCL | 2SG will sing song PTCL | ||
| 줄 68: | 줄 68: | ||
| 화제조사 ᴧ31, a35, 휴지 ne24(呢), maŋ35(呢) 등으로 표현된다. | 화제조사 ᴧ31, a35, 휴지 ne24(呢), maŋ35(呢) 등으로 표현된다.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215)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215) |
| [V31 mi~35 qV33dau33 n0ei35 i55 tsɿ33 s\e35] | [V31 mi~35 qV33dau33 n0ei35 i55 tsɿ33 s\e35] | ||
| - | TOP 3SG scare ??? 1SG one | + | TOP 3SG scare PFV 1SG one CL |
| 그는 나를 놀래켰다. | 그는 나를 놀래켰다. | ||
| }}} | }}}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216)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216) |
| [maN35 laN31qaN31 V33J_+aN33 bja35 vu31?EN31 maN35 V31bM31 pM35 V35] | [maN35 laN31qaN31 V33J_+aN33 bja35 vu31?EN31 maN35 V31bM31 pM35 V35] | ||
| - | TOP bridge and CL bridge PTCL find ?? PTCL | + | TOP bridge and CL bridge PTCL find get PTCL |
| 다리와 석판을 찾았다. | 다리와 석판을 찾았다. | ||
| }}} | }}} | ||
| 줄 82: | 줄 82: | ||
| ### 무표지 화제 : 어순으로 표시 | ### 무표지 화제 : 어순으로 표시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216)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216) |
| [la25V31pe35lai33 lo35dzi31 do31 V35] | [la25V31pe35lai33 lo35dzi31 do31 V35] | ||
| child stand up PTCL | child stand up PTCL | ||
| 줄 90: | 줄 90: | ||
| ## 화제의 개수 | ## 화제의 개수 | ||
| - | ### 복수 화제 | + | #### 복수 화제 |
| 한 문장에 화제가 두 개 있는 것을 말한다. | 한 문장에 화제가 두 개 있는 것을 말한다. | ||
| 두 개의 화제와 술어는 동일한 통사층위에 있지 않다. T1+C1+[T2+C2]에서 C1+[T2+C2]은 T1을 진술하고, C2는 T2를 진술한다. T1과 T2의 의미관계에 따라 아래의 4종류로 재분류될 수 있다. | 두 개의 화제와 술어는 동일한 통사층위에 있지 않다. T1+C1+[T2+C2]에서 C1+[T2+C2]은 T1을 진술하고, C2는 T2를 진술한다. T1과 T2의 의미관계에 따라 아래의 4종류로 재분류될 수 있다. | ||
| 줄 96: | 줄 96: | ||
| #### 소유와 피소유 | #### 소유와 피소유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217)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217) |
| [vu31ɬaN31 i55 thai35 qV33ze55] | [vu31ɬaN31 i55 thai35 qV33ze55] | ||
| belly 1SG very pain | belly 1SG very pain | ||
| 줄 104: | 줄 104: | ||
| #### 전체와 부분 | #### 전체와 부분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217)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217) |
| [ma33 ko35 pan33 N_+i35], [tsɿ33bu33 au31 la35sai33] | [ma33 ko35 pan33 N_+i35], [tsɿ33bu33 au31 la35sai33] | ||
| DEF CL class this half BE boy | DEF CL class this half BE boy | ||
| 줄 111: | 줄 111: | ||
| #### 유형과 구성원 | #### 유형과 구성원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217)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217) |
| [tsɿ33 qE35 la35 mi~35], [da35a35dzuN31 ka31 ge31], [da35a35dai35 a31 pa35?len31 du33 su31] | [tsɿ33 qE35 la35 mi~35], [da35a35dzuN31 ka31 ge31], [da35a35dai35 a31 pa35?len31 du33 su31] | ||
| one CL child 3SG big.kid eat rice small.kid PREP in.house read book | one CL child 3SG big.kid eat rice small.kid PREP in.house read book | ||
| 줄 119: | 줄 119: | ||
| #### 复指 | #### 复指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217)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217) |
| [pau33ma35ts\iu31 a33], [mEM31 han33 qV31duN31 s\e33hau31]! | [pau33ma35ts\iu31 a33], [mEM31 han33 qV31duN31 s\e33hau31]! | ||
| LaoLi PTCL 2SG NEG noisy PTCL | LaoLi PTCL 2SG NEG noisy PTCL | ||
| 줄 127: | 줄 127: | ||
| #### 기타 | #### 기타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218)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218) |
| [wuN31 N_+35 lui31 thai35 V31z\i35] | [wuN31 N_+35 lui31 thai35 V31z\i35] | ||
| day this day very cold | day this day very cold | ||
| 줄 136: | 줄 136: | ||
| 화제가 3개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다수화제는 아주 적게 발견되다. | 화제가 3개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다수화제는 아주 적게 발견되다.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218)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218) |
| [dan33 ?lu35 bM35 plei31 nz\i55qEM31 taN55 z\i31mi33], [plei31 pan35?lan33 taN33 waN55] | [dan33 ?lu35 bM35 plei31 nz\i55qEM31 taN55 z\i31mi33], [plei31 pan35?lan33 taN33 waN55] | ||
| CL land that year before plant corn year after plant sweet.potato | CL land that year before plant corn year after plant sweet.potato | ||
| 줄 143: | 줄 143: | ||
| - | ## 화제 성분 | + | ### 화제 성분 |
| - | - 동사(구) 화제 | +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219) | + | ####동사(구) 화제 |
| + | |||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219) | ||
| [ta31 lEu31san35 ha33a31da31 pin31]? | [ta31 lEu31san35 ha33a31da31 pin31]? | ||
| arrive JUDU how go | arrive JUDU how go | ||
| 줄 152: | 줄 153: | ||
| }}} | }}} | ||
| - | - 명사화구조 화제 | + | ####명사화구조 화제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219)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219) |
| [nei35 di33 maN35 ɬa31 vu31?EN31 nei35] | [nei35 di33 maN35 ɬa31 vu31?EN31 nei35] | ||
| hit GEN TOP take stone hit | hit GEN TOP take stone hit | ||
| 줄 160: | 줄 161: | ||
| }}} | }}} | ||
| - | -전치사구 화제 | + | ####전치사구 화제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220)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220) |
| [V3J_+aN33 mEM31 aN33 vu31ts\i33 qV33lEu33 wo33] | [V3J_+aN33 mEM31 aN33 vu31ts\i33 qV33lEu33 wo33] | ||
| and 2SG NEG what relation NEG.PTCL | and 2SG NEG what relation NEG.PTCL | ||
| 줄 168: | 줄 169: | ||
| }}} | }}} | ||
| - | - 종속절 화제 | + | ####종속절 화제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220)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220) |
| [z\u31kho55 Ne31lo35 ma33 do31 man31 wo33], [di33to31 tsɿ35 vu33 ga31khai55] | [z\u31kho55 Ne31lo35 ma33 do31 man31 wo33], [di33to31 tsɿ35 vu33 ga31khai55] | ||
| if tomorrow NET come rain NEG.PTCL 1PL ??? go go.to.market | if tomorrow NET come rain NEG.PTCL 1PL ??? go go.to.market | ||
| 줄 177: | 줄 178: | ||
| - | ## 화제와 주어의 구분 | + | ### 화제와 주어의 구분 |
| - | - 화제는 화용론적인 진술의 상대적 개념이다. 주어는 통사론적인 술어의 상대적 개념이다. | + | |
| - | - 화제는 문두에 위치하고, 주어는 주로 문두에 위치하지만 화제에 비해 분포가 자유로운 편이다. | + | 화제는 화용론적인 진술의 상대적 개념이다. 주어는 통사론적인 술어의 상대적 개념이다. |
| + | |||
| + | 화제는 문두에 위치하고, 주어는 주로 문두에 위치하지만 화제에 비해 분포가 자유로운 편이다.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214)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214) |
| [hen31 he31 vu31dz\i31 M35 dzaN33 ts\i31] | [hen31 he31 vu31dz\i31 M35 dzaN33 ts\i31] | ||
| seven eight month will cut rice | seven eight month will cut rice | ||
| 줄 187: | 줄 190: | ||
| }}} | }}}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214)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214) |
| [i55 s\e35 J_+i35 vu33] | [i55 s\e35 J_+i35 vu33] | ||
| 1SG now this go | 1SG now this go | ||
| 줄 196: | 줄 199: | ||
| - 한 문장에 주어는 하나만 가능하지만 화제는 하나 이상도 가능하다. 괄호 안의 성분은 화제이고 주어는 ‘이 두 사람’이다. | - 한 문장에 주어는 하나만 가능하지만 화제는 하나 이상도 가능하다. 괄호 안의 성분은 화제이고 주어는 ‘이 두 사람’이다. | ||
| - | {{{eg>gela1265 (kangzhongde2011:215)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215) |
| - | ([sEM31 kan31 qV31tshu35 J_+i35]) ([tsɿ33 kan33)) [z\u31], ([tsɿ33 kan33]) [V31tshu35) | + | ([sEM31 kan31 qV31tshu35 J_+i35]) ([tsɿ33 kan33]) [z\u31], ([tsɿ33 kan33]) [V31tshu35] |
| two CL people this one CL tall one CL short | two CL people this one CL tall one CL short | ||
| 이 두 사람은 한 명은 키가 크고 한 명은 작다. | 이 두 사람은 한 명은 키가 크고 한 명은 작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