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gelao:4_ss:47_info:47_info [2018/08/17 17:02] 박은석 |
doc:gelao:4_ss:47_info:47_info [2018/08/18 14:30] (현재) 김나연 [화제와 주어의 구분] |
||
|---|---|---|---|
| 줄 90: | 줄 90: | ||
| ## 화제의 개수 | ## 화제의 개수 | ||
| - | ### 복수 화제 | + | #### 복수 화제 |
| 한 문장에 화제가 두 개 있는 것을 말한다. | 한 문장에 화제가 두 개 있는 것을 말한다. | ||
| 두 개의 화제와 술어는 동일한 통사층위에 있지 않다. T1+C1+[T2+C2]에서 C1+[T2+C2]은 T1을 진술하고, C2는 T2를 진술한다. T1과 T2의 의미관계에 따라 아래의 4종류로 재분류될 수 있다. | 두 개의 화제와 술어는 동일한 통사층위에 있지 않다. T1+C1+[T2+C2]에서 C1+[T2+C2]은 T1을 진술하고, C2는 T2를 진술한다. T1과 T2의 의미관계에 따라 아래의 4종류로 재분류될 수 있다. | ||
| 줄 143: | 줄 143: | ||
| - | ## 화제 성분 | + | ### 화제 성분 |
| - | - 동사(구) 화제 | + | |
| + | ####동사(구) 화제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219) | {{{eg>judu1234 (kangzhongde2011:219) | ||
| 줄 152: | 줄 153: | ||
| }}} | }}} | ||
| - | - 명사화구조 화제 | + | ####명사화구조 화제 |
| {{{eg>judu1234 (kangzhongde2011:219) | {{{eg>judu1234 (kangzhongde2011:219) | ||
| 줄 160: | 줄 161: | ||
| }}} | }}} | ||
| - | -전치사구 화제 | + | ####전치사구 화제 |
| {{{eg>judu1234 (kangzhongde2011:220) | {{{eg>judu1234 (kangzhongde2011:220) | ||
| 줄 168: | 줄 169: | ||
| }}} | }}} | ||
| - | - 종속절 화제 | + | ####종속절 화제 |
| {{{eg>judu1234 (kangzhongde2011:220) | {{{eg>judu1234 (kangzhongde2011:220) | ||
| 줄 177: | 줄 178: | ||
| - | ## 화제와 주어의 구분 | + | ### 화제와 주어의 구분 |
| - | - 화제는 화용론적인 진술의 상대적 개념이다. 주어는 통사론적인 술어의 상대적 개념이다. | + | |
| - | - 화제는 문두에 위치하고, 주어는 주로 문두에 위치하지만 화제에 비해 분포가 자유로운 편이다. | + | 화제는 화용론적인 진술의 상대적 개념이다. 주어는 통사론적인 술어의 상대적 개념이다. |
| + | |||
| + | 화제는 문두에 위치하고, 주어는 주로 문두에 위치하지만 화제에 비해 분포가 자유로운 편이다. | ||
| {{{eg>judu1234 (kangzhongde2011:214) | {{{eg>judu1234 (kangzhongde2011:21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