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hani:1_phonology:14_sylstr:14_sylstr [2016/06/16 13:10] 127.0.0.1 바깥 편집 |
doc:hani:1_phonology:14_sylstr:14_sylstr [2018/06/25 08:56] (현재) |
||
|---|---|---|---|
| 줄 1: | 줄 1: | ||
| # 14_sylstr : 음절구조 (syllable structure) | # 14_sylstr : 음절구조 (syllable structure) | ||
| - | 주요 관심: | + | 大寨话의 음절구조는 다음과 같다. |
| - | - 초성의 수, 목록, 비율: 초성 전체의 수와 목록을 제시하고, 전체 자음 수 대비 초성에 올 수 있는 것의 비율을 제시. | + | (1)V |
| - | - 종성의 수, 목록, 비율: 종성 전체의 수와 목록을 제시하고, 전체 자음 수 대비 종성에 올 수 있는 것의 비율을 제시. | + | |
| - | - 초성에 올 수 있는데 종성에는 올 수 없는 자음의 수와 목록 | + | [e55] 말하다 |
| - | - 가능한 음절구조의 목록 예) V, CV, VC, CVC, CCVC, L, CL, CLC, N, CN, CNC 등 | + | |
| - | - 이용 기호: C(consonant), V(vowel), S(semivowel), L(liquid), N(nasal) | + | (2)CV |
| - | - 최대한으로 허용하는 가장 복잡한 음절 구조를 제시. | + | |
| - | - IPA로 구체적인 음을 제시할 때에는 성절성을 가지는 자음 아래 성절성 표시 기호를 붙임. | + | [de31]밀다 |
| - | - 성절성을 가지는 자음의 수와 목록 | + | |
| - | - 유음이나 비음 등이 성절성을 갖는가의 여부가 관심. | + | (3)CVV |
| - | - 음절 구조 제약 (syllable structure constraint) | + | |
| - | - 특정한 초성, 중성, 종성이 같이 배열될 수 없는 경우를 제시함. 예) 표준중국어에서 경구개 파찰음과 마찰음(j, q, x)은 전설모음인 i, y와만 결합하고 후설모음과는 결합할 수 없음. | + | [kua55] 참관하다 |
| - | - 선호되는 음절구조 (preferred syllable structure) | + | |
| - | - 가능한 음절 구조 중에서 많이 사용되는 음절 구조. 일반적으로 많은 언어들에서 가장 자연스러운 음절구조는 CV인데, 특정 언어에서는 CVC구조가 선호되기도 함. | + | 위의 세가지의 음절구조가 있다. 이 중 두 번째 형식이 가장 많으며 3번째 형식은 현대중국어 차용어가 늘어나면서 함께 증가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