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doc:hinuq:2_wordclass:22_noun:22_noun [2018/06/24 13:34] 동영은 |
doc:hinuq:2_wordclass:22_noun:22_noun [2021/02/01 15:22] (현재) 동영은 |
||
---|---|---|---|
줄 1: | 줄 1: | ||
- | # 22_noun : 명사 (noun) | + | # 22_noun : 명사 (noun) |
+ | - 명사는 수와 격 (문법적 격, 공간적 격)에 따라 어형변화한다. 성(클래스) 범주는 내재범주로 존재한다 | ||
+ | - 기누흐어 명사의 어간에는 기본어간(단수, 복수)과 사격어간(단수, 복수)가 있다 | ||
+ | - 사격 단수어간을 만드는 접미사의 종류는 매우 많은데 그 중 -то, -а, -ла, -и, -йа, -о, -ли, -йи, -ра, -ру, -ро, -до, -у, -на, -ну등이 있다 | ||
+ | - 사격 복수접미사는 -за이다 | ||
+ | - 사격으로 어형변화를 할 때 사격접미사를 취하지 않을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하나의 명사에 대해 사격접미사를 가진 형태와 없는 형태가 둘 다 나타날 수 있다 | ||
### 5개 클래스 | ### 5개 클래스 | ||
- | 1, 2클래스는 의미적으로 비교적 명확히 구분되나, 3-5 클래스의 구분기준은 모호하다. | + | 1, 2클래스는 의미적으로 비교적 명확히 구분되나, 3-5 클래스의 구분기준은 모호하다. 명사의 클래스와 수에 따라서 동사의 활용 앞에 아래의 접두사가 쓰인다. 연구서에 따라 아래에서 G4와 G5의 구분 없이 4개의 클래스로만 구분하는 연구도 있고 G4, G5가 서로 바뀌어 있는 연구서도 있다. |
+ | |||
+ | ^ 클래스 ^ 단수 접두사 ^ 복수 접두사 ^ | ||
+ | | G1 | ∅ | б | | ||
+ | | G2 | й, и | б, р| | ||
+ | | G3 | б | р | | ||
+ | | G4 | р | р | | ||
+ | | G5 | й | р | | ||
###### 1클래스 | ###### 1클래스 | ||
- | - 표지: ∅-б | ||
- 남성인칭 및 일부 신화적 존재 지칭 | - 남성인칭 및 일부 신화적 존재 지칭 | ||
줄 22: | 줄 33: | ||
###### 2클래스 | ###### 2클래스 | ||
- | - 표지: и-б | ||
- 여성인칭 및 일부 신화적 존재 지칭 | - 여성인칭 및 일부 신화적 존재 지칭 | ||
줄 35: | 줄 45: | ||
###### 3클래스 | ###### 3클래스 | ||
- | - 표지: б-р | ||
- 동물, 벌레 및 일부 무정명사, 추상적 개념 | - 동물, 벌레 및 일부 무정명사, 추상적 개념 | ||
줄 49: | 줄 58: | ||
###### 4클래스 | ###### 4클래스 | ||
- | - 표지: р-р | ||
- 무정명사, 추상개념 | - 무정명사, 추상개념 | ||
줄 63: | 줄 71: | ||
###### 5클래스 | ###### 5클래스 | ||
- | - 표지: й-р | ||
- 무정체 및 추상개념의 개별지칭 | - 무정체 및 추상개념의 개별지칭 | ||
줄 106: | 줄 113: | ||
### 격 | ### 격 | ||
+ | |||
+ | 기누흐어에는 기본격 6개, 장소관련격 35개 (5격 x 7 시리즈), 총 41개의 격이 있다. | ||
+ | |||
#### 기본격 | #### 기본격 | ||
- | - 주격, 능격, 제1생격, 제2생격, 여격, 조격 | + | - 주격, 능격, 제1속격, 제2속격, 여격, 조격 |
- | 단수 격변화 | + | ###### 단수 기본 격변화의 예 |
- | ^ 주격 ^ 능격 ^ 제1생격 ^ 제2생격 ^ 여격 ^ 조격 ^ | + | ^ 주격 ^ 능격 ^ 제1속격 ^ 제2속격 ^ 여격 ^ 조격 ^ |
| ужи '아들' | ужий | ужис | ужизо | ужиз | ужид | | | ужи '아들' | ужий | ужис | ужизо | ужиз | ужид | | ||
| ог 'axe' | огруй | огрус | огрузо | огруз | огруд | | | ог 'axe' | огруй | огрус | огрузо | огруз | огруд | | ||
- | 복수 격변화 | + | ###### 복수 기본 격변화의 예 |
- | ^ 주격 ^ 능격 ^ 제1생격 ^ 제2생격 ^ 여격 ^ 조격 ^ | + | ^ 주격 ^ 능격 ^ 제1속격 ^ 제2속격 ^ 여격 ^ 조격 ^ |
| ужибе | ужижай | ужижос | ужижазо | ужижаз | ужижад | | | ужибе | ужижай | ужижос | ужижазо | ужижаз | ужижад | | ||
| огбе | ог(ру)зай | ог(ру)зас | ог(ру)засо | ог(ру)заз | ог(ру)зад | | | огбе | ог(ру)зай | ог(ру)зас | ог(ру)засо | ог(ру)заз | ог(ру)зад | | ||
줄 126: | 줄 136: | ||
- 무표적 형태 | - 무표적 형태 | ||
- | - 자동사의 주어, 타동사의 직접목적어 | + | - 자동사의 주어, 타동사의 직접목적어, |
- | + | ||
- | {{{eg>hinu1240 (Xalilov2001:293) | + | |
- | эссу ӥкьиш идудо | + | |
- | brother.NOM go.PRS home | + | |
- | 형제는 집으로 간다 | + | |
- | }}} | + | |
######능격 | ######능격 | ||
줄 140: | 줄 144: | ||
{{{eg>hinu1240 (Xalilov2001:293) | {{{eg>hinu1240 (Xalilov2001:293) | ||
- | обу-й мочи белӀо̄ | + | обу-й мочи б-елӀ-о̄ |
- | father-ERG plough.PRS land.NOM | + | father-ERG field(G3).NOM G3-plough-PRS |
+ | 아버지가 밭을 갈고 있다 | ||
}}} | }}} | ||
- | ###### 제1생격 | + | ###### 제1속격(직접 속격) |
- 표지: -с | - 표지: -с | ||
- | - 주격명사의 한정 | + | - 주격명사와 함께 쓰인다. head noun의 격이 형태적으로 반복되지는 않지만 case stacking과 같은 원리로 head noun의 격에 따라서 두 가지 속격 형태가 있다 |
{{{eg>hinu1240 (Xalilov2001:293) | {{{eg>hinu1240 (Xalilov2001:293) | ||
колхузмо-с эхо | колхузмо-с эхо | ||
- | collective.farm-GEN1 shepherd.nom | + | collective.farm-GEN1 shepherd(G1).NOM |
집단농장의 목동 | 집단농장의 목동 | ||
}}} | }}} | ||
- | ###### 제2생격 | + | ###### 제2속격(간접 속격) |
- 표지: -зо, -жо | - 표지: -зо, -жо | ||
- | - 간접격 명사의 한정 | + | - head noun이 간접격인 명사구에 쓰인다 |
{{{eg>hinu1240 (Xalilov2001:293) | {{{eg>hinu1240 (Xalilov2001:293) | ||
- | эснижа-зо кед-бизай | + | эсни-жа-зо кедби-за-й |
- | brother.PL-GEN2 daughter-PL- | + | brother.PL-OBL.PL-GEN2 girl(G2).PL-OBL.PL-ERG |
- | 형제들의 딸들에게 | + | 형제들의 딸들로부터 |
}}} | }}} | ||
줄 169: | 줄 174: | ||
- 표지: -з | - 표지: -з | ||
- | - 행위의 수신자, 감각지각동사의 주어 및 이부 동사의 간접목적어 | + | - 행위의 수신자, 지각동사의 주어, 경험주, 수혜주 |
{{{eg>hinu1240 (Xalilov2001:293) | {{{eg>hinu1240 (Xalilov2001:293) | ||
- | де ийо-з кунта йохиш | + | де ийо-з кунта й-ох-иш |
- | PN.1SG mother-DAT dress buy.PST | + | 1SG.ERG mother-DAT dress(G5).NOM G5-buy-PST |
- | 나는 어머니에게 원피스를 사드렸다 | + | 나는 어머니에게 드레스를 사드렸다 |
}}} | }}} | ||
줄 183: | 줄 188: | ||
{{{eg>hinu1240 (Xalilov2001:293) | {{{eg>hinu1240 (Xalilov2001:293) | ||
- | кедий тӀохъмо-д шиш боцӀиш | + | кед-ий тӀохъ-мо-д шиш б-оцӀ-иш |
- | girl.NOM knife-INST cut apple | + | girl-ERG knife-OBL-INS apple(G3) G3-cut-PST |
소녀는 칼로 사과를 잘랐다 | 소녀는 칼로 사과를 잘랐다 | ||
}}} | }}} | ||
줄 193: | 줄 198: | ||
- 재격, 방향격(lative), 탈격, 향격(directive) 변성격 | - 재격, 방향격(lative), 탈격, 향격(directive) 변성격 | ||
- 비고. Xalilov(2001:293)는 통상 ‘방향격’으로 동일하게 번역되는 lative(латив)와 directive(директив)를 구분하는데, 본 문서에서는 이 두 격의 명칭을 각각 방향격과 향격(통상 allative의 번역)으로 칭한다 | - 비고. Xalilov(2001:293)는 통상 ‘방향격’으로 동일하게 번역되는 lative(латив)와 directive(директив)를 구분하는데, 본 문서에서는 이 두 격의 명칭을 각각 방향격과 향격(통상 allative의 번역)으로 칭한다 | ||
- | - 7가지 시리즈(재격)마다 4가지의 장소관련 격(방향격(lative), 탈격, 향격(directive), 변성격) 변화형 | + | - Forker(2013:77-80)에서는 변성격이 없는대신 탈격을 제1탈격, 제2탈격으로 구분하고 이 중 제2탈격이 ‘through’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고 설명한다(부사 бито ‘through’로 대체 가능) |
- | ###### 시리즈 -лъ | + | {{{eg>hinu1240 (Forker2013:80) |
- | + | de diž cʼikay-zo ∅-ik-o | |
- | - 흐르는 액체에 위치 | + | 1SG 1SG.DAT mirror-TRANSL G1-see-PRS |
- | + | 나는 거울을 통해 나를 본다(남성 화자) | |
- | {{{eg>hinu1240 (Xalilov2001:293) | + | |
- | ихӀу-лъ бесуро голъ | + | |
- | river-ESS fish BE | + | |
- | 강에 물고기가 있다 | + | |
}}} | }}} | ||
- | ###### 시리즈 -а̄/-ӣ | ||
- | - 그릇 안에 위치 | + | - 장소관련 격은 아래 7가지 시리즈에 따라서 세분된 장소의미를 표현한다 |
- | {{{eg>hinu1240 (Xalilov2001:293) | + | ^ 시리즈 ^ 의미 ^ 재격 ^ 방향격 ^ (제1)탈격 ^ 변성격(제2탈격) ^ 향격 ^ |
- | чехъи-̄ гьогьонаб мочи голъ | + | | 1 | location with contact | -ɬ | -ɬ-e-r | -ɬ-e-s | -ɬ-e-zo | -ɬ-e-do | |
- | woods-ESS chilly | + | | 2 | in(side) | -V, -ma | -V-r, -ma-r | -V-s, -ma-s | -V-zo, -ma-zo | -V-do, -ma-do | |
- | 숲은 서늘하다 | + | | 3 | under | -ƛ | -ƛ-e-r | -ƛ-e-s | -ƛ-e-zo | -ƛe-do | |
- | }}} | + | | 4 | on | -ƛʼo | -ƛʼo-r | -ƛʼo-s | -ƛʼo-zo | -ƛʼo-do | |
+ | | 5 | at | -qo | -qo-r | -qo-s | -qo-zo | -qp-do | | ||
+ | | 6 | animate location | -de | -de-r | -de-s | -de-zo | -de-do | | ||
+ | | 7 | inanimate location | -ho | -ho-r | -ho-s | -ho-zo | -ho-do | | ||
- | ###### 시리즈 -кьо | ||
- | |||
- | - 수평적 표면 위 | ||
- | |||
- | {{{eg>hinu1240 (Xalilov2001:293) | ||
- | булӀи зокъвен берцинаб мочо-кьо | ||
- | house BE.PST beautiful place-ESS | ||
- | 집은 아름다운 곳에 있었다 | ||
- | }}} | ||
- | |||
- | ###### 시리즈 -лӀ | ||
- | |||
- | - 무엇인가의 아래에 위치 | ||
- | |||
- | {{{eg>hinu1240 (Xalilov2001:293) | ||
- | истоли-лӀ кӀетӀу ботӀийо | ||
- | chair-ESS cat sleep.PRS | ||
- | 의자 아래에서 고양이가 잔다 | ||
- | }}} | ||
- | |||
- | ###### 시리즈 -хъо | ||
- | |||
- | - 수직적 표면 위 | ||
- | |||
- | {{{eg>hinu1240 (Xalilov2001:294) | ||
- | кедӣ хъошухъо сурат гориш | ||
- | girl wall-ESS picture hang.PST | ||
- | 소녀는 벽에 그림을 걸었다 | ||
- | }}} | ||
- | |||
- | ###### 시리즈 -гьо | ||
- | |||
- | - 근접에 위치 | ||
- | |||
- | {{{eg>hinu1240 (Xalilov2001:294) | ||
- | гьайлӀу гъемегьо аже йолъ | ||
- | near this mill-ESS tree BE | ||
- | 이 풍차 근처에 나무가 있다 | ||
- | }}} | ||
- | |||
- | ###### 시리즈 -де̄ | ||
- | |||
- | - 무엇인가와 함께 위치 | ||
- | |||
- | {{{eg>hinu1240 (Xalilov2001:294) | ||
- | бекьзаде садахъ лъоно тӀека голъ | ||
- | together with sheep three goat BE | ||
- | 양과 함께 세 마리의 염소가 있다 | ||
- | }}} | ||
- | ^ 시리즈 ^ 1 ^ 2 ^ 3 ^ 4 ^ 5 ^ 6 ^ 7 ^ | + | - 위의 7가지 시리즈의 의미는 Forker(2013:78)을 위주로 참고했다. 한편 Xalilov(2001:294) 등 러시아어권에서는 시리즈의 의미를 약간씩 다르게 설명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1시리즈는 '흐르는 액체에 위치', 4시리즈와 7시리즈를 각각 '수평적 표면의 위', '수직적 표면의 위'로, 6시리즈는 '함께 위치'로 풀이했다. |
- | | 재격 | -лъ | -а̄/-ӣ | -кьо | -лӀ | -хъо | -гьо | -де̄ | | + | - 각각의 시리즈는 추상적 의미로 확장되어 쓰일 수 있다 |
- | | 방향격 | -лъер | -ар/-ир | -кьор | -лӀер | -хъор | -гьор | -дер | | + | |
- | | 탈격 | -лъсо | -ас/-ис | -кьос | -лӀес | -хъос | -гьос | -дой | | + | |
- | | 향격 | -лъедо̄ | -адо̄/-идо̄ | -кьо̄до̄ | -лӀедо̄ | -хъодо̄ | -гьодо̄ | -дедо̄ | | + | |
- | | 변성격 | -лъбито | -а̄бито/-ӣбито | -кьобито | -лӀбито | -хъобито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