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hlai:2_wordclass:22_noun:22_noun [2018/06/06 13:04] 박성하 |
doc:hlai:2_wordclass:22_noun:22_noun [2021/08/22 15:23] (현재) 박성하 |
||
|---|---|---|---|
| 줄 19: | 줄 19: | ||
| - 수량사를 가진 명사의 앞에 khun53을 부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 - 수량사를 가진 명사의 앞에 khun53을 부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 ||
| - | {{{eg>hlai1239 (ouyangjueyazhengyiqing2006:402) | + | {{{eg>hlai1239 (ouyangjueyazhengyiqing2006:403) |
| khun53 ɬau11 pha11 foːi55 hei53 tshi55 o11? | khun53 ɬau11 pha11 foːi55 hei53 tshi55 o11? | ||
| they two CL uncle go city Q | they two CL uncle go city Q | ||
| 그들 두 삼촌은 시내로 갔나요? | 그들 두 삼촌은 시내로 갔나요? | ||
| + | }}} | ||
| + | |||
| + | ### 명사의 문법특성 | ||
| + | |||
| + | - 수사의 수식을 받을 때, 앞에는 일반적으로 양사가 있어야 한다. 양사로 쓰이는 명사는 직접 수사의 수식을 받을 수 있다. | ||
| + | |||
| + | {{{eg>hlai1239 (ouyangjueyazhengyiqing2006:402) | ||
| + | fu11 tsuːn53 u55aːu53 | ||
| + | three CL people | ||
| + | 세 명의 사람 | ||
| + | }}} | ||
| + | |||
| + | - 명사는 중첩할 수 없다. 모든(每一)의 의미를 나타내려면 명사의 앞에 ran55와 같은 상응하는 양사를 부가해야 한다. | ||
| + | |||
| + | {{{eg>hlai1239 (ouyangjueyazhengyiqing2006:402) | ||
| + | ran55 tsuːn53 u55aːu53 rɯ11 tsau55 | ||
| + | every CL people all have | ||
| + | 모두 사람들이 다 가지고 있다. | ||
| + | }}} | ||
| + | |||
| + | - 명사는 주로 주어, 목적어, 관형어로 쓰이며 술어, 보어 또는 부사어로 쓰일 수도 있다. | ||
| + | |||
| + | - 시간명사 pou55(해, 년), hwan53(일, 날) 등은 주어로 쓰이는 것 이외에 종종 동사의 앞에서 부사어로 쓰인다. | ||
| + | |||
| + | {{{eg>hlai1239 (ouyangjueyazhengyiqing2006:403) | ||
| + | pou55 nei55 pou55 me11he11? | ||
| + | now year year what | ||
| + | 올해는 무슨 해입니까?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