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hlai:2_wordclass:27_num:27_num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hlai:2_wordclass:27_num:27_num [2018/06/07 12:26]
박성하
doc:hlai:2_wordclass:27_num:27_num [2021/08/22 15:25] (현재)
박성하
줄 1: 줄 1:
-# 27_num : 수사 (numeral) ​: 100%+# 27_num : 수사 (numeral)
  
 ### 기수사 ### 기수사
줄 32: 줄 32:
 ### 서수사 ### 서수사
  
-+gwou11(头, 머리) 또는 tsheɯ11(一,​ 일)를 써서 첫번째를 나타낸다. 
 + 
 +- tsuʈ55(尾,​ 꼬리)로 마지막을 나타낸다. 
 + 
 +- thom53(中间,​ 중간)으로 두번째부터 마지막 사이의 수를 나타낸다. 
 + 
 +- 최근, 한어에서 차용된 doːi3(第, 제) 뒤에 숫자를 써서 나타내기도 하는데, 이때 쓰는 숫자 또한 차용어이다. ​  
 + 
 +- 리어에서는 날짜나 연도를 계산할 때, 서수를 사용하지 않고 십이간지와 일, 년의 합성사로 나타낸다. 
 + 
 + 
 +### 어림수 
 + 
 +- 십, 백, 천, 만 과 일부 양사의 뒤에 za53(~여, 남짓)을 쓰거나, 수사의 앞에 loːp53(약)을 써서 어림수를 나타낸다. 이 두 표현은 동시에 쓰이기도 한다. 
 + 
 +- tsɯ55kit55(조금,​ 一点), tsɯ55thom53(일부,​ 一部分), kei53(몇, 几)등으로 불정확한 양을 나타낸다. kei53는 10이상의 양을 나타낼 때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십, 백, 천, 만 그리고 양사의 앞에 쓰인다. 
 + 
 +{{{eg>​hlai1239 (ouyangjueyazhengyiqing2006:​412) 
 +tsɯ55kit55 koŋ53 nei55 ta53 ɬeŋ53 
 +INDEF      thing  this NEG  like 
 +이런 물건들은 좋지 않다. 
 +}}} 
 + 
 +{{{eg>​hlai1239 (ouyangjueyazhengyiqing2006:​412) 
 +tsau55 kei53 tsuːn53 u55aːu53 pɯːn53 be53 
 +have   INDEF CL      people ​  ​come ​   FP 
 +몇명이 왔다. 
 +}}} 
 + 
 +- 1에서 9사이의 연속되는 숫자를 두 개나 세 개 연달어 써서 어림수를 나타낸다. 그러나 1과 2는 일반적으로 단독으로 연용하여 사용하지 않는다. 
 + 
 +{{{eg>​hlai1239 (ouyangjueyazhengyiqing2006:​412) 
 +fu11 tshau11 hom53 
 +three four   CL 
 +세네개 
 +}}} 
 +  
 + 
 + 
 +    
 + 
  
doc/hlai/2_wordclass/27_num/27_num.1528341993.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6/07 12:26 저자 박성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