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horpa: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horpa: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 [2020/11/28 10:58]
서취아
doc:horpa: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 [2020/11/28 11:00] (현재)
서취아 [음소의 추가]
줄 27: 줄 27:
 - 두 음절이 연이어 나타날 경우, 한 음절의 전치 자음(파열음)이 그와 관련된 마찰음으로 약화될 수 있다. - 두 음절이 연이어 나타날 경우, 한 음절의 전치 자음(파열음)이 그와 관련된 마찰음으로 약화될 수 있다.
  
-  ɡto ma → xto ma : 요괴나 약량에게 제사를 지낼 때 사용하는 공물 ​+  ɡto ma → xto ma : 요괴나 약량에게 제사를 지낼 때 사용하는 공물 
 +  ​
   dkon po → ʂkon po : 희한하다   dkon po → ʂkon po : 희한하다
 +  ​
   ɡla pa → ɣla pa : 고용 노동자   ɡla pa → ɣla pa : 고용 노동자
 +  ​
   ɡdən rɟjəl → ɣdən rɟjəl ​ : 마왕   ɡdən rɟjəl → ɣdən rɟjəl ​ : 마왕
  
줄 35: 줄 38:
 - 두 음절이 연이어 나타날 경우, 한 음절의 전치 자음(파열음)이 그와 관련이 없는 마찰음이나 반모음으로 약화될 수 있다. ​ - 두 음절이 연이어 나타날 경우, 한 음절의 전치 자음(파열음)이 그와 관련이 없는 마찰음이나 반모음으로 약화될 수 있다. ​
  
-  dcçəl ɡu → ɣcçəl ɡu : 중간 ​+  dcçəl ɡu → ɣcçəl ɡu : 중간 
 +  ​
   bde bde → wde wde : 평탄하다   bde bde → wde wde : 평탄하다
 +  ​
   bden pa → vden pa : 성실한 사람   bden pa → vden pa : 성실한 사람
 +  ​
   bkav dʐən → fkav dʐən : 은혜   bkav dʐən → fkav dʐən : 은혜
  
 - 어떤 음절의 운미가 비음인 경우 해당 비음이 비모음으로 약화될 수 있다. - 어떤 음절의 운미가 비음인 경우 해당 비음이 비모음으로 약화될 수 있다.
  
-  tshuŋ na →← tshõ ma : 전부 ​+  tshuŋ na →← tshõ ma : 전부 
 +  ​
   tɕhuŋ →← tɕhõ : 미주(米酒)   tɕhuŋ →← tɕhõ : 미주(米酒)
 +  ​
   khuŋ sa →← khõ sa  택지(宅地)   khuŋ sa →← khõ sa  택지(宅地)
  
-고대 티베트어의 운미 m, n, ŋ은 현대 티베트어 강(康) 방언에서 모두 비모음으로 약화되었다. 호르파어를 사용하는 道孚顯는 강구(康區)에 속해 있는데, 호르파에 이러한 비음화가 나타난 것이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다.+고대 티베트어의 운미 m, n, ŋ은 현대 티베트어 강(康) 방언에서 모두 비모음으로 약화되었다. 
 +호르파어를 사용하는 道孚顯는 강구(康區)에 속해 있는데, 호르파에 이러한 비음화가 나타난 것이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다.
  
  
줄 54: 줄 63:
  
   brŋə brŋə → rŋə rŋə : (야채 등을) 볶다   brŋə brŋə → rŋə rŋə : (야채 등을) 볶다
 +  ​
   bstod pa → stot pa : 뽐내다/​과시하다   bstod pa → stot pa : 뽐내다/​과시하다
  
줄 59: 줄 69:
  
   ɣzuks pu → ɣzuk pu : 신체   ɣzuks pu → ɣzuk pu : 신체
 +  ​
   les mbres  → le mbrɛs : 인과(因果)   les mbres  → le mbrɛs : 인과(因果)
  
줄 67: 줄 78:
  
   skam ba  → ska mba : 니퍼   skam ba  → ska mba : 니퍼
 +  ​
   ʂcçaɡ pɑ → ʂcça xpa : 대변   ʂcçaɡ pɑ → ʂcça xpa : 대변
  
줄 78: 줄 90:
 - 두 음절이 연이어 출현할 때 후행 음절의 초성에 다른 자음이 추가될 수 있다. ​ - 두 음절이 연이어 출현할 때 후행 음절의 초성에 다른 자음이 추가될 수 있다. ​
  
-  stun mu → stun rmu : 혼례 ​+  stun mu → stun rmu : 혼례 
 +  ​
   rɡən ba → rɡən mba : 노인 ​   rɡən ba → rɡən mba : 노인 ​
  
doc/horpa/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1606528706.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0/11/28 10:58 저자 서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