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ingr: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 [2017/06/19 02:54] 동영은 |
doc:ingr: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 [2021/08/26 14:53] (현재) 동영은 |
||
|---|---|---|---|
| 줄 1: | 줄 1: | ||
| - | #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 0% : | + | #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
| 명사와 동사의 어형변화 과정에서 어근의 자음이 변화한다 | 명사와 동사의 어형변화 과정에서 어근의 자음이 변화한다 | ||
| - | - 변화형 A (Chernjavskij2005:8) | + | |
| + | ### 자음변화형 A (Chernjavskij2005:8) | ||
| 1) 자음 군(kk/hk/lk/rk/tk/sk)에서 두번째 k 탈락 → k/h/l/r/t/z (비고. sk는 k탈락 후 s → z) | 1) 자음 군(kk/hk/lk/rk/tk/sk)에서 두번째 k 탈락 → k/h/l/r/t/z (비고. sk는 k탈락 후 s → z) | ||
| 예: paikka ‘place’ – paikan ‘place.PL’, jalka ‘foot’ – jalan ‘foot.PL’ | 예: paikka ‘place’ – paikan ‘place.PL’, jalka ‘foot’ – jalan ‘foot.PL’ | ||
| + | |||
| 2) k → jj/vv: aik → aijj, eik → eijj, iik → iijj, auk → auvv, iuk → iuvv, ook → oovv, uku → uvvu, ükü → üvvü | 2) k → jj/vv: aik → aijj, eik → eijj, iik → iijj, auk → auvv, iuk → iuvv, ook → oovv, uku → uvvu, ükü → üvvü | ||
| 예: aika ‘time’ – aijjan ‘time.PL’, luku ‘number’ – luvvun ‘number.PL’ | 예: aika ‘time’ – aijjan ‘time.PL’, luku ‘number’ – luvvun ‘number.PL’ | ||
| + | |||
| 3) pp → p; p → v (lp → lv, mp → mm, rp → rv) | 3) pp → p; p → v (lp → lv, mp → mm, rp → rv) | ||
| 예: lappa ‘buckle’ – lapan ‘buckle.PL’, lupa ‘permission’ – luvan ‘permission.PL’ | 예: lappa ‘buckle’ – lapan ‘buckle.PL’, lupa ‘permission’ – luvan ‘permission.PL’ | ||
| + | |||
| 4) ss → s, s → z, z→ V | 4) ss → s, s → z, z→ V | ||
| 예: ossan ‘can.PRS.1SG’ – ozata ‘can.INF’, suzi ‘wolf’ – suen ‘wolf.GEN’ | 예: ossan ‘can.PRS.1SG’ – ozata ‘can.INF’, suzi ‘wolf’ – suen ‘wolf.GEN’ | ||
| + | |||
| 5) 두번재 t의 탈락: tt → t (ht →h, lt → ll, nt → nn/nz, rt → rr, st → ss) | 5) 두번재 t의 탈락: tt → t (ht →h, lt → ll, nt → nn/nz, rt → rr, st → ss) | ||
| 예: katto ‘roof’ – katon ‘roof.PL’ | 예: katto ‘roof’ – katon ‘roof.PL’ | ||
| + | |||
| 6) t → jj/vv: ait → aijj, iit → iijj, eet → eejj, oit → oijj, aut → auvv, oot → uuvv, äüt → äüvv, ööt → üüvv | 6) t → jj/vv: ait → aijj, iit → iijj, eet → eejj, oit → oijj, aut → auvv, oot → uuvv, äüt → äüvv, ööt → üüvv | ||
| 예) maita ‘country.PL’ – maijjen ‘country.PL.GEN’ | 예) maita ‘country.PL’ – maijjen ‘country.PL.GEN’ | ||
| + | |||
| 7) tts → ts | 7) tts → ts | ||
| 예) vattsa ‘stomach’ – vatsan ‘stomach.GEN’ | 예) vattsa ‘stomach’ – vatsan ‘stomach.GEN’ | ||
| - | - 변화형 B (Chernjavskij2005:9) | + | ### 자음변화형 B (Chernjavskij2005:9) |
| 1) 비강세 음절이 장모음이나 이중모음이면 그 앞의 자음이 길어진다 | 1) 비강세 음절이 장모음이나 이중모음이면 그 앞의 자음이 길어진다 | ||
| + | |||
| 반대로 강세음절의 모음이 짧으면 그 다음 자음이 길어진다. 강세 음절이 장모음이나 이중모음인 경우에는 그 다음 자음이 k, p, t, z일 때만 길어진다 | 반대로 강세음절의 모음이 짧으면 그 다음 자음이 길어진다. 강세 음절이 장모음이나 이중모음인 경우에는 그 다음 자음이 k, p, t, z일 때만 길어진다 | ||
| 예) koti ‘house’ → kottii ‘home(집으로)’, miä tulen ‘I go’ → hää tulloo ‘he goes’ | 예) koti ‘house’ → kottii ‘home(집으로)’, miä tulen ‘I go’ → hää tulloo ‘he goes’ | ||
| 줄 29: | 줄 39: | ||
| 예) ommeena ‘apple’ | 예) ommeena ‘apple’ | ||
| kolt halluua ‘three wishes’ → haluloin täüttümiin ‘fulfill wishes’ | kolt halluua ‘three wishes’ → haluloin täüttümiin ‘fulfill wishes’ | ||
| - | |||
| - | |||
| - | ## phonproc_assimil : 동화(assimilation) : 0% : | ||
| - | ## phonproc_hiatus : 모음충돌회피 : 0% : | ||
| - | ## phonproc_supra : 초분절요소와 관련된 음운과정 (suprasegmental process) : 0% : | ||
| - | |||
| - | ## phonproc_vharmony: 모음조화(vowel harmony) : 50% : 핀란드어의 모음조화 법칙 참조 | ||
| - | |||
| - | 핀란드어와 같은 모음조화 법칙을 지닌다 | ||
| ### 경/연자음 교체 | ### 경/연자음 교체 | ||
| 발트-핀어군 대다수의 언어에서와 마찬가지로 파열음의 경/연 교체현상이 있다. | 발트-핀어군 대다수의 언어에서와 마찬가지로 파열음의 경/연 교체현상이 있다. | ||
| + | |||
| - 모음 사이의 단일 파열음 k, t가 연자음의 위치일 때는 대부분 자음이 탈락된다: suku 'clan, birth' – sun 'clan, birth.GEN'; pata 'pot' – pān 'pot.GEN) | - 모음 사이의 단일 파열음 k, t가 연자음의 위치일 때는 대부분 자음이 탈락된다: suku 'clan, birth' – sun 'clan, birth.GEN'; pata 'pot' – pān 'pot.GEN) | ||
| + | |||
| - 자음군 hk, sk, tk, ht, st에서도 자음교체(탈락)이 일어난다: nahka 'skin' – nahan 'skin.GEN'; iskeäk 'hit' – isen 'hit.1SG.PRS'; musta 'black' – mussat 'black.PL' | - 자음군 hk, sk, tk, ht, st에서도 자음교체(탈락)이 일어난다: nahka 'skin' – nahan 'skin.GEN'; iskeäk 'hit' – isen 'hit.1SG.PRS'; musta 'black' – mussat 'black.PL'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