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ingush:4_ss:48_tame:48_tame [2018/06/22 19:31] 김희연 |
doc:ingush:4_ss:48_tame:48_tame [2021/08/25 22:22] (현재) 김희연 |
||
|---|---|---|---|
| 줄 1: | 줄 1: | ||
| - | # 48_tame : 시제-상-법-증거성 (TAME) | + | # 48_tame : 시제-상-법-증거성 (TAME) |
| ### 시제 | ### 시제 | ||
| - | - 시제는 동사의 세가지 형태의 어간에서 형송된다. | + | - 시제는 동사의 세가지 형태의 어간에서 형성된다. |
| - 부정사 | - 부정사 | ||
| - 현재 와 과거 비완망상의 과거 시제 | - 현재 와 과거 비완망상의 과거 시제 | ||
| 줄 48: | 줄 48: | ||
| |대과거 |техадар|лайзадар|лийчадар|дитадар| | |대과거 |техадар|лайзадар|лийчадар|дитадар| | ||
| + | |||
| + | |||
| + | - 동사의 어근에 오는 모음 교체에 따라 동사 변화는 9가지로 나뉜다. | ||
| + | - 타동사 어근에 а 가 오면 현재 시제를 나타내며, 동사변화시 원순음으로 교체 된다. | ||
| + | - дага : 타다 -> доаг : 타다 동사 3인칭 단수 | ||
| + | - мала : 마시다 -> мол : 타다 동사 3인칭 단수 | ||
| + | |||
| + | - 자동사 어근에 а 가 오면 현재 시제를 나타내되, 동사변화시 모음의 교체는 없다. | ||
| + | - ва:ха : 살다 -> ва:х : 살다 동사의 3인칭 단수 | ||
| + | - лаза : 아프다 -> ладз : 살다 동사의 3인칭 단수 | ||
| + | |||
| + | - ə 가 부동사어근에 올 경우 현재 시제 형태로 만들며, 원순음 у 로 교체 한다. | ||
| + | - тəга : 따르다, 복종하다 -> туг : 3SG | ||
| + | |||
| + | |||
| + | |||
| + | ###### 다양한 활용의 모음교체 유형 | ||
| + | |||
| + | |||
| + | |||
| + | - 인구시어에서 어간의 모음의 특징에 따라 9개의 그룹으로 나뉜다. | ||
| + | |||
| + | |||
| + | | |1|2|3|4|5|6|7|8|9| | ||
| + | |부정사의 어간|а:|а|иэ:иэ|уо: |уо|ов: |ув|ə| | ||
| + | |현재시제의 어간|ао|а|о|а|иэ иэ|уо уо|ов|ув|у| | ||
| + | |과거시제의 어간|аь|аь|э|э|ий ий|иэ иэ|эй|ий|и| | ||
| + | |||
| + | |||
| + | - 1) 그룹 1 : а: | ||
| + | - хаба : 끊어지다, 떨어지다 | ||
| + | - къага : 반짝거리다 | ||
| + | - бага : 타다 | ||
| + | |||
| + | - 2) 그룹 2 : а | ||
| + | - лакха : 놀기 시작하다 | ||
| + | - лата : 싸우다 | ||
| + | - мага : 할수 있다. | ||
| + | - 3) 그룹 3 : иэ: | ||
| + | - тиэкха : 꿈틀거리다 | ||
| + | - лиэха : 찾다 | ||
| + | - диэша : 읽다 | ||
| + | - 4) 그룹 4 : иэ | ||
| + | - лиэчкъа : 숨다, 남의 눈을 피하다 | ||
| + | - кхиэста : 돌다 | ||
| + | - диэхка : 단단히 묶다 | ||
| + | - 5) 그룹 5 : уо: | ||
| + | - уоза : ~할 능력이 있다. | ||
| + | - ІодуогІа : 실리다 | ||
| + | - дуоха : 찢기다 | ||
| + | - 6) 그룹6 : уо | ||
| + | - Іуотта : 찌르다 | ||
| + | - хуотта : 연결하다 | ||
| + | - муотта : 생각하다 | ||
| + | - 7) 그룹7 : ов: | ||
| + | - къовса : 내기, 경쟁하다 | ||
| + | - Іовда : 짜내다 | ||
| + | - ловза : 놀다 | ||
| + | - 8) 그룹8 : ув: | ||
| + | - лувча : 멱감다, 수영하다 | ||
| + | - дувча : 이야기 하다 | ||
| + | - дІакъувла : 닫다 | ||
| + | - 9) 그룹9 : ə | ||
| + | - дəтта : 빨래 하다 | ||
| + | - дəла : 씻어내다 | ||
| + | - лəста : 감다 | ||
| + | |||
| + | |||
| + | |||
| + | #### 과거시제 비완망상 | ||
| + | |||
| + | |||
| + | - 현재시제 어간에 –ар, -р : 과거 비완망상을 만든다. | ||
| + | - оал-ап : 말했다. | ||
| + | - д-ут-ар : 남겼다. | ||
| + | - вез-ар : 사랑했다. | ||
| + | |||
| + | |||
| + | #### 과거시제완망상 | ||
| + | |||
| + | - 과거시제의 어간에 –ар 로 과거완망상을 만든다. | ||
| + | - аьлар : 말했다.(완망상) | ||
| + | |||
| + | |||
| + | #### 직전과거와 대과거 | ||
| + | |||
| + | - 분사와 부동사의 과거 분류 표지-д , -в, й, -б 를 붙여 직전 과거, 바로 얼마 전에 있었던 과거의행위를 나타낸다 | ||
| + | - -дар, -вар, -йар, -бар 는 대과거를 나타낸다. | ||
| + | - сеца-вар : 오래전에 세웠다. | ||
| + | |||
| + | |||
| + | #### 가능성이 있는 미래 | ||
| + | |||
| + | - 표지 : - цо | ||
| + | |||
| + | |||
| + | |||
| + | |||
| + | ### 법 | ||
| + | |||
| + | |||
| + | - 직설, 명령, 조건, 희구의 서법이 존재한다. | ||
| + | |||
| + | |||
| + | |||
| + | #### 명령법 | ||
| + | |||
| + | - 명령형은 부정사의 형태와 일치한다. | ||
| + | - ала : 말해줘/ 말하다 | ||
| + | |||
| + | |||
| + | #### 직설법 | ||
| + | |||
| + | - 직설법은 현재, 미래가능성 미래 확실성, 과거 비완망, 과거 완망, 대과거, 직전과거의 시제를 나타낸다. | ||
| + | |||
| + | |||
| + | #### 조건법 | ||
| + | |||
| + | |||
| + | - 독립적인 분사의 미래 첨사를 과거형에 붙여 나타낸다. | ||
| + | - гІоргвар :갔었더라면 | ||
| + | - хъехаргдар : 배웠더라면 | ||
| + | - д-алар – гІоттавалар : 만약에 일어났었더라면 (말하는 시점에 ) | ||
| + | - гІоттаргвалар : 만약에 일어났었더라면 (말한 이후에 시점에) | ||
| + | - гІеттавалар : 만약에 일어났었더라면 (말할 때까지의 시점에) | ||
| + | |||
| + | |||
| + | |||
| + | ### 상 | ||
| + | |||
| + | |||
| + | - 행동의 1회성과 다회성을 동사의 어간의 모음을 교체 하여 나타낸다. | ||
| + | - 행동의 완망과 비완망은 시제표지로 나타낸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