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 |||
|
doc:itelmen:2_wordclass:22_noun:22_noun [2021/03/01 17:57] 동영은 |
doc:itelmen:2_wordclass:22_noun:22_noun [2021/03/01 19:04] (현재) 동영은 |
||
|---|---|---|---|
| 줄 72: | 줄 72: | ||
| + | - 이텔멘어에는 부치사가 없는 대신 다른 언어에서 부치사로 표현하는 의미들을 다양한 격으로 표현할 수 있다. | ||
| + | - 이텔멘어 명사에는 대격이 없다. 이텔멘어의 주어와 직접 목적어는 둘 다 절대격을 취하고 어순으로 구분된다. | ||
| - 단수 절대격이 -∅인 명사는 4개(절대격, 호격, 처격, 방향격)의 격에서만 격에 따라 단수, 복수의 형태가 구분된다. -м, -н, -ӈ, -ч로 끝나는 명사는 모든 격에서 단수와 복수의 형태가 다르다. | - 단수 절대격이 -∅인 명사는 4개(절대격, 호격, 처격, 방향격)의 격에서만 격에 따라 단수, 복수의 형태가 구분된다. -м, -н, -ӈ, -ч로 끝나는 명사는 모든 격에서 단수와 복수의 형태가 다르다. | ||
| + | - 동반격은 두 가지 형태를 지니는데, 이 중 제2 동반격으로는 хэвлыч '생선 머리', иллал '나무껍질'과 같은 단어들이 자주 쓰인다. | ||
| + | |||
| + | {{{eg>itel1242 (VolodinKhalojmova1989:233) | ||
| + | Кʼ-исх-эԓ х-кʼоԓ-хч | ||
| + | COM1-father-COM1 IMP.2SG-come-IMP.2SG | ||
| + | 아버지와 함께 와라 | ||
| + | }}} | ||
| + | |||
| + | |||
| + | {{{eg>itel1242 (VolodinKhalojmova1989:233) | ||
| + | əњч к-хэвлы-чом | ||
| + | fish COM2-fish.head-COM2 | ||
| + | 머리 달린 생선 | ||
| + | }}} | ||
| + | |||
| + | {{{eg>itel1242 (VolodinKhalojmova1989:233) | ||
| + | уʼ кʼ-иллал-чом | ||
| + | tree COM2-bark-COM2 | ||
| + | 껍질 있는 나무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