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japhug:2_wordclass:28_clf:28_clf [2021/01/22 22:20] 서취아 |
doc:japhug:2_wordclass:28_clf:28_clf [2021/01/22 22:20] (현재) 서취아 |
||
|---|---|---|---|
| 줄 16: | 줄 16: | ||
| 제비 두 마리와 새 두 마리가 창문 쪽에서 놀고 있다. | 제비 두 마리와 새 두 마리가 창문 쪽에서 놀고 있다. | ||
| }}} | }}} | ||
| + | |||
| -위 예문의 의미는 수사 접두사와 양사로 같은 의미 표현 가능. | -위 예문의 의미는 수사 접두사와 양사로 같은 의미 표현 가능. | ||
| + | |||
| {{{eg>japh1234 (xiangbolin2008:195) | {{{eg>japh1234 (xiangbolin2008:195) | ||
| tɯrme ʁnɯ-rdoʁ ma maŋe-tɕi | tɯrme ʁnɯ-rdoʁ ma maŋe-tɕi | ||
| 줄 24: | 줄 26: | ||
| }}} | }}} | ||
| - | -수사 ɕi ‘1’은 ‘하나’의 의미 이외에도 ‘조금’, ‘한 번’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음. | ||
| - | -"수사 접두사+양사" 구조는 부사로 사용하지 못하고 명사만을 수식할 수 있음. | + | - 수사 ɕi ‘1’은 ‘하나’의 의미 이외에도 ‘조금’, ‘한 번’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음. |
| + | |||
| + | |||
| + | - "수사 접두사+양사" 구조는 부사로 사용하지 못하고 명사만을 수식할 수 있음. | ||
| - 자푹갸롱어의 대부분 양사는 類別 양사와 도량형 양사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음. | - 자푹갸롱어의 대부분 양사는 類別 양사와 도량형 양사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