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japhug:6_cs:62_subr:62_subr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다음 판
이전 판
doc:japhug:6_cs:62_subr:62_subr [2016/12/10 17:45]
127.0.0.1 바깥 편집
doc:japhug:6_cs:62_subr:62_subr [2021/01/22 21:50] (현재)
서취아 [6) tɯ-로 형성되는 정도 명사]
줄 1: 줄 1:
-# 62_subr :  내포 (embedding) ​ : 0% : +# 62_subr :  내포 (embedding) ​ : 100% :
  
 +subr_nmlz: 명사화(nomonalization)
 +
 +##동사의 명사화
 +
 +동사가 명사화되어서 명사처럼 쓰이지만 보통명사와는 몇 가지 차이가 있다. 자푹갸롱어 동사의 명사화소는 통사적으로 동사를 명사로 바꾸거나 동사의 보어, 보어절, 혹은 관계절 등을 형성하는 여러 기능을 할 수 있다.
 +
 +- 명화화소로 쓰인 접두사:
 +
 +###1) kɯ-/​kɤ-로 형성되는 부정형
 +
 +- 不定形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명사화의 수단이고 가장 기본적 의미는 행동 제체를 가리킨다. ​
 +일반 타동사와 자동사의 不定 접두사는 kɤ-이고, 정태동사(형용사,​ 존재 동사, 계사, 일부 양태 동사)의 不定 접두사는 kɯ-이다.
 +
 +- 不定形은 趨向 접두사, 否定 접두사, 구심/​원심 접두사 등 문법 형태들과 같이 쓰일 수 있다. 이러한 동사의 굴절 접두사들은 일반 명사에 쓰이지 않는다. 이는 자푹갸롱어에서 명사화된 동사가 동사도, 명사도 아닌 하나의 특수한 품사 부류를 형성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eg>​japh1234 (xiangbolin2008:​92)
 +kɤ-mɯrkɯ nɯ mɤ-βdi.
 +INF-steal ​  that NEG-good
 +도둑질은 안 좋은 것이다.
 +}}}
 +
 +###2) kɯ-로 형성되는 행위자 명사(Nomen Agentis)
 +
 +- 행위자 명사는 동작의 행위자를 명사화하는 형식이다. 타동사의 행위자 명사 앞에 반드시 소유 접두사가 와야 한다. ​
 +
 +{{{eg>​japh1234 (xiangbolin2008:​95)
 +nɤ-kɯ-ʁndɯ.
 +2SG-NMLZ.SBJ-beat
 +너를 때리는 사람 ​
 +}}}
 +
 +-자동사의 한 논항과 타동사의 여격 논항을 명사화시키는 형식은 모두 접두사 kɯ-로 구성된 것이다.
 +
 +-趨向 접두사, 否定 접두사, 구심/​원심 접두사는 모두 행위자 명사와 결합하여 쓰일 수 있다.
 +
 +###3) sɤ-로 형성되는 도구/​방위 명사/세 자리 동사의 수여자
 +
 +- 도구/​방위/​세 자리 동사의 수여자 논항은 ‘소유 접두사+sɤ+동사 어간’ 구조로 표현된다.
 +
 +예: rɤrɤt ‘쓰다(자동사,​ 자동 접두사 rɤ-를 가지고 있음)’ -> ɯ-sɤ-rɤrɤt ‘글씨를 쓸 때 사용하는 도구(연필 등)/​글씨가 써지는 장소(종이)’
 +
 +###4) tɯ-로 형성되는 행위명사 ​
 +
 +- tɯ-로 형성되는 행위명사는 앞에 세 가지와 달리 통사적으로 보통 명사에 더 가깝다.
 +- tɯ-로 형성되는 행위명사는 방향 접두사, 否定 접두사 등과 결합할 수 없고, 관계절에도 쓰이지 않고, 보어절에도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
 +- tɯ-로 형성되는 행위명사가 나타내는 의미가 부정형과 완전히 같지 않다.
 +- tɯ-로 형성되는 행위명사는 동작의 방식을 나타낼 수 있다. 예: rɤt ‘(글)쓰다’ -> ‘tɯ-rɤt’ ‘(글)쓰는 방법’ ​
 +- tɯ-로 형성되는 행위명사는 동작의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예: tɯ-taʁ '​방직품'​
 +- tɯ-로 형성되는 행위명사는 부정형과 마찬가지로 동작 자체를 가리킬 수 있다. 예: ndzɯ ‘교육하다’ -> tɯ-ndzɯ ‘교육’
 +
 +###5) tɤ-로 형성되는 상태 명사
 +
 +- 상태 명사는 보통 존재 동사 ‘tu’와 ‘ɣɤʑu’와 함께 사용되고,​ ntɕʰos, spjɤt 등 ‘사용하다’의 의미를 가진 동사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
 +- 상태 명사를 파생하는 동사는 무계(atelic) 자동사이어야 한다. 그리고 동사의 주어는 반드시 사람이어야 한다. ​
 +
 +{{{eg>​japh1234 (xiangbolin2008:​100)
 +tɤ-ɲaʁ ​       tu.
 +NMLZ.size-big ​ COP
 +(그의 얼굴이) 매우 까맣다. ​
 +}}}
 +
 +###6) tɯ-로 형성되는 정도 명사
 +
 +- 정도 명사의 구조는 ‘소유 접두사+tɯ+동사의 제 1 어간’이다. ​ 이 구조 중 tɯ- 접두사는 행위자 명사 표지와 매우 유사하다. 이는 정도 명사가 행위자 명사로부터 파생된 것임을 의미할 수도 있다. ​
 +
 +{{{eg>​japh1234 (xiangbolin2008:​102)
 +tɤɣi ​   ra rcánɯ ​ nɯ-mbrɯ ​       ɯ-tɯ-ŋgɯ, ​             nɯ-tɯ-nɯzdɯɣ ​     pjɤ-saχaʁ ​           ʑo.
 +relative PL 조사 ​  ​3PL.POSS-anger 3SG.GEN-NMLZ.extent-be.angry ​ 3PL-NMLZ.extent-sad ​ INDIREVID.PST.IPFV-very ​ PTCL
 +친척들이 이에 대해서 매우 분하기도하고 슬프기도 한다. ​
 +}}}
 +
 +-모든 타동사가 정도 명사로 전환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타동사를 자동사로 바꾼 후에 명사화시키는 것이 더 일반적이다.
 +
 +-정도 명사는 방향 접두사와 구심/​원심 접두사와 결합할 수 없지만 否定 접두사 mɤ-와 결합할 수 있다.
 +
 +-동사가 정도 명사로 변한 후 의미가 달라질 수 있고, 혹은 통사적 제약이 생길 수도 있다.
 +
 +###7) 무표지 不定形
 +
 +- 명사화소가 쓰이지 않고 소유 접두사와 동사어근으로만 구성된 부정형을 가리킨다. 자동사는 무표지 부정형으로 쓰일 수 없다.
 +
 +- 무표지 부정형은 보어로만 쓰인다.
 +
 +- 무표지 부정형은 rɲo ‘경험하다’와 否定형인 mɤ-ra ‘원하지 않다’ 두 동사와만 함께 쓰인다.
 +
 +{{{eg>​japh1234 (xiangbolin2008:​105)
 +ɯ-ndza ​    ​pɯ-rɲó-t-a.
 +3SG-eat.INF PFV-experience-PST-1SG
 +나는 그것을 먹어 봤다. ​
 +}}}
 +
 +###8) 합성법
 +
 +- 앞에서 ‘명사 어근+ 동사 어근’이 결합하여 복합 동사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보면, 동사 어근과 부사 어근을 결합시켜 복합 명사화 형식을 형성할 수도 있다.
 +
 +- 이 때 이 복합 명사화 형식은 ‘오랫동안,​ 여러 번’의 뜻을 나타내는 kɯzɣa의 마지막 모음이 ɤ로 약화된 후 다른 동사 어간과 결합하여 복합 명사화 형식을 형성하는 것이다.
 +
 +예: kɯzɣɤ-가 동사 βzu‘하다’와 함께 출현하여 ‘항상~~~’ ‘오랫동안~~’의 의미를 나타내는 ‘동사+목적어’ 구조를 형성하였다. 이때
 +조동사 βzu 앞에 오는 방향 접사는 동사가 가진 방향 접사임을 알 수 있다.
 +
 +na-ɕar “그는 찾았다.”->​ kɯzɣɤ-ɕar ʑo na-βzu “그는 오랫동안 찾았다.”
 +
 +-ʑo는 목적어와 조동사 사이에 놓이는 범위 범사이다.
 +
 +   
  
doc/japhug/6_cs/62_subr/62_subr.1481359522.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7/02/23 12:42 (바깥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