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doc:japhug:8_lexicology:82_wform:82_wform [2017/02/23 12:36] 서취아 [2) 접미사] |
doc:japhug:8_lexicology:82_wform:82_wform [2021/01/22 21:48] (현재) 서취아 [2)다른 파생 접두사] |
||
---|---|---|---|
줄 3: | 줄 3: | ||
##(1)명사 형성법: | ##(1)명사 형성법: | ||
- | - 자푹갸롱어는 접두사, 접미사, 그리고 중첩을 통해서 명사를 구성할 수 있다. | + | - 자푹갸롱어는 접두사, 접미사, 그리고 중첩을 통해서 명사를 구성할 수 있다. |
- | + | ||
- | ###1)명사파생접두사 | + | ###1)명사 파생 접두사 |
- 자푹갸롱어는 접두사를 추가함으로써 동사를 명사로 바꿀 수 있다. 따라서 명사의 구조를 분석할 때, 접두사가 동사를 명사화하는 접두사인지를 잘 판단해야 하고 다른 접두사와 혼동해서 안 된다. | - 자푹갸롱어는 접두사를 추가함으로써 동사를 명사로 바꿀 수 있다. 따라서 명사의 구조를 분석할 때, 접두사가 동사를 명사화하는 접두사인지를 잘 판단해야 하고 다른 접두사와 혼동해서 안 된다. | ||
- 동사로부터 파생된 명사는 다른 어근과 같이 복합어를 형성할 수도 있다. | - 동사로부터 파생된 명사는 다른 어근과 같이 복합어를 형성할 수도 있다. | ||
- | - 자푹갸롱어에 명사파생접두사는 kɯ-, kɤ-, tɯ-, sɤ-/ z- 네 가지가 있다. | + | - 자푹갸롱어에 명사파생접두사는 kɯ-, kɤ-, tɯ-, sɤ-/ z- 네 가지가 있다. |
- | ###2)파생 접두사 | + | ###2)다른 파생 접두사 |
- 재귀 소유 접두사가 있음: tɯ-, kɤɣɯ-, kɤ-ndʑɯ-, kɤ́. ‘tɯ-’의 기본의미는 ‘자기 자신’의 뜻인데, 신체부위, 친족명칭, 일부 추상적 개념, 사람의 몸과 가까운 명사(예: 옷)에 쓰인다. | - 재귀 소유 접두사가 있음: tɯ-, kɤɣɯ-, kɤ-ndʑɯ-, kɤ́. ‘tɯ-’의 기본의미는 ‘자기 자신’의 뜻인데, 신체부위, 친족명칭, 일부 추상적 개념, 사람의 몸과 가까운 명사(예: 옷)에 쓰인다. | ||
줄 16: | 줄 16: | ||
{{{eg>japh1234 (xiangbolin2008:49) | {{{eg>japh1234 (xiangbolin2008:49) | ||
- | [jiʑo kɤndʑɯ-sqʰɤj ŋu-j] | + | jiʑo kɤndʑɯ-sqʰɤj ŋu-j. |
- | 1PL PREF-sister be-AGR | + | 1PL REFL-sister be-AGR |
- | 우리는 자매이다. | + | 우리는 자매다. |
}}} | }}} | ||
줄 33: | 줄 33: | ||
####② 동물 명칭 접두사 kɯ- | ####② 동물 명칭 접두사 kɯ- | ||
- | kɯ-/ɣ/x-는 13개의 동물 명칭 앞에 나타난다. | + | |
+ | kɯ-/ɣ/x-는 13개의 동물 명칭 앞에 나타난다. | ||
####③ 신체 부위 명사와 동물 명칭 접두사 ɕ- | ####③ 신체 부위 명사와 동물 명칭 접두사 ɕ- | ||
줄 119: | 줄 120: | ||
{{{eg>japh1234 (xiangbolin2008:77) | {{{eg>japh1234 (xiangbolin2008:77) | ||
- | [tɕoχtsi ɯ-taʁ ɕoʁɕoʁ ɲɯ-ɤ-ta] | + | tɕoχtsi ɯ-taʁ ɕoʁɕoʁ ɲɯ-ɤ-ta. |
table AGR-up paper DIREVID(亲验)-INTR-put | table AGR-up paper DIREVID(亲验)-INTR-put | ||
책상 위에 종이가 있다. | 책상 위에 종이가 있다. | ||
줄 134: | 줄 135: | ||
####⑧ 재귀 접두사: nɯ- | ####⑧ 재귀 접두사: nɯ- | ||
{{{eg>japh1234 (xiangbolin2008:80) | {{{eg>japh1234 (xiangbolin2008:80) | ||
- | a-mi kɤ-nɯ-rpú-t-a | + | a-mi kɤ-nɯ-rpú-t-a. |
1SG-foot PFV-REFL-bump-PST-1SG | 1SG-foot PFV-REFL-bump-PST-1SG | ||
나는 발이 부딪쳤다. | 나는 발이 부딪쳤다. | ||
줄 144: | 줄 145: | ||
####⑩ 다른 접두사: a- 등 | ####⑩ 다른 접두사: a- 등 | ||
- | - a-가 전치음으로 동사 맨 앞에 나타나는 동사들이 모두 자동사이지만 a-를 ‘자동 접두사’로 보면 안 된다. 그 예들 중 대부분 동사의 어근이 前置音 a-와 반드시 결합하여야 하고 홀로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예: amdzɯ '앉다' | + | |
+ | - a-가 전치음으로 동사 맨 앞에 나타나는 동사들이 모두 자동사이지만 a-를 ‘자동 접두사’로 보면 안 된다. 그 예들 중 대부분 동사의 어근이 前置音 a-와 반드시 결합하여야 하고 홀로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예: amdzɯ '앉다' | ||
- 전치음 a를 가지는 동사들은 물체의 형상을 표현하는 형용사(정태 동사, 예: astu '곧다')이나 ‘몸에서 나는 소리를 나타내는 동사(aɕqʰe '기침')’들이다. | - 전치음 a를 가지는 동사들은 물체의 형상을 표현하는 형용사(정태 동사, 예: astu '곧다')이나 ‘몸에서 나는 소리를 나타내는 동사(aɕqʰe '기침')’들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