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jingpo:2_wordclass:23_verb:23_verb [2017/06/12 19:19] 박은석 |
doc:jingpo:2_wordclass:23_verb:23_verb [2021/08/26 08:52] (현재) 박은석 |
||
|---|---|---|---|
| 줄 1: | 줄 1: | ||
| # 23_verb : 동사 (verb) | # 23_verb : 동사 (verb) | ||
| + | |||
| + | |||
| #### 동사 특징 개괄 | #### 동사 특징 개괄 | ||
| 줄 5: | 줄 7: | ||
| (1) 징포어 동사는 품사 중에서 수량이 가장 많고 문법 특징이 가장 풍부한 품사이다. | (1) 징포어 동사는 품사 중에서 수량이 가장 많고 문법 특징이 가장 풍부한 품사이다. | ||
| - | (2) 사동, 인칭, 수, 상, 양태 등의 문법 범주를 동사에서 나타낸다. | + | (2) 사동, 인칭, 수, 상, 양태 등의 문법 범주를 동사에서 나타낸다. 동사의 형태변화 현상으로는 변음, 접두사 부가, 접요사 부가, 중첩을 들 수 있다. 인칭, 수, 양태 등의 문법 의미는 문미사(句尾词)를 통해서 나타낸다. |
| - | + | ||
| - | + | ||
| - | + | ||
| - | 동사의 형태변화 현상으로는 변음, 접두사 부가, 접요사 부가, 중첩을 들 수 있다. | + | |
| - | + | ||
| - | 인칭, 수, 양태 등의 문법 의미는 문미사(句尾词)를 통해서 나타낸다. | + | (3) 징포어의 동사는 주로 서술어를 담당한다. 이 밖에도 부사어, 보어, 관형어를 담당할 수 있고, 명사화된 동사는 주어와 목적어를 담당할 수 있다. |
| + | (4) 동사는 기원상, 발전상, 구조상 다른 품사들과 관련을 맺고 있다. 징포어의 동사와 형용사는 공통적인 특징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으며, 겹품사인 단어도 꽤 있다. 그리고 동사와 명사가 동형인 경우도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