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jinuo:2_wordclass:23_verb:23_verb [2016/06/17 11:59] 박은석 [동사-명사 동형] |
doc:jinuo:2_wordclass:23_verb:23_verb [2018/08/17 20:03] (현재) 박은석 [동사-명사 동형] |
||
|---|---|---|---|
| 줄 3: | 줄 3: | ||
| 지눠어의 판단동사(계사)와 하강조 동사, 평조 동사는 성조변화를 사용해서 서로 다른 문장 형식을 나타낸다고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지눠어의 판단동사(계사)와 하강조 동사, 평조 동사는 성조변화를 사용해서 서로 다른 문장 형식을 나타낸다고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
| - | ## 판단동사(계사) ŋə42의 변화 | + | ### 판단동사(계사) ŋə42의 변화 |
| 판단동사(계사) ŋə42 는 세 가지 서로 다른 굴절변화를 사용해서 의문, 부정, 긍정, 감탄 등의 네 가지 서로 다른 “문장형식”을 나타낸다. | 판단동사(계사) ŋə42 는 세 가지 서로 다른 굴절변화를 사용해서 의문, 부정, 긍정, 감탄 등의 네 가지 서로 다른 “문장형식”을 나타낸다. | ||
| 줄 9: | 줄 9: | ||
| {{{eg>youl1235 (gaixingzhi2007:934) | {{{eg>youl1235 (gaixingzhi2007:934) | ||
| - | ɕe33 ɤ33 to55tshi44 ŋə44 ɛ lɑ42? | + | ɕe33 ɤ33 to55tshi44 ŋə44 ɛlɑ42? |
| this TOP poison COP Q | this TOP poison COP Q | ||
| 이것은 독약이니? | 이것은 독약이니? | ||
| 줄 17: | 줄 17: | ||
| {{{eg>youl1235 (gaixingzhi2007:934) | {{{eg>youl1235 (gaixingzhi2007:934) | ||
| - | ɕe33 ɤ33 to55tshi44 mɔ33 ŋə44 ɑ. | + | ɕe33 ɤ33 to55tshi44 mɔ33 ŋə44ɑ. |
| this TOP poison NEG COP | this TOP poison NEG COP | ||
| 이것은 독약이 아니다. | 이것은 독약이 아니다. | ||
| 줄 24: | 줄 24: | ||
| (3) 긍정문(肯定式): ŋə42→ŋə35 | (3) 긍정문(肯定式): ŋə42→ŋə35 | ||
| {{{eg>youl1235 (gaixingzhi2007:934) | {{{eg>youl1235 (gaixingzhi2007:934) | ||
| - | ɕe33 ɤ33 to55tshi44 ŋə35 ɑ. | + | ɕe33 ɤ33 to55tshi44 ŋə35ɑ. |
| this TOP poison COP | this TOP poison COP | ||
| 이것은 독약이다. | 이것은 독약이다. | ||
| 줄 38: | 줄 38: | ||
| (5) 일반 평서문(陈述式)은 판단동사 ŋə42의 원형을 쓴다. | (5) 일반 평서문(陈述式)은 판단동사 ŋə42의 원형을 쓴다. | ||
| {{{eg>youl1235 (gaixingzhi2007:935) | {{{eg>youl1235 (gaixingzhi2007:935) | ||
| - | ɕe33 ɤ33 to55tshi44 ŋə42 ɑ. | + | ɕe33 ɤ33 to55tshi44 ŋə42ɑ. |
| this TOP poison COP | this TOP poison COP | ||
| 이것은 독약이다. | 이것은 독약이다. | ||
| }}} | }}} | ||
| - | ## 판단 동사(계사) 이외의 동사. | + | ### 판단 동사(계사) 이외의 동사. |
| 일반동사는 고조(高声调, 35조)로 의문문, 긍정문, 감탄문, 명령문 등 문장 유형을 모두 나타낸다. 즉, 문장 유형에 따른 성조 굴절 변화가 없다. 하강조 동사는 제일 많이는 5가지 문장 유형의 변화를 나타낼 수 있고, 평조 동사는 3가지 문장 유형의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 고평조동사는 성조 굴절로 문장 유형의 변화를 나타내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일반동사는 고조(高声调, 35조)로 의문문, 긍정문, 감탄문, 명령문 등 문장 유형을 모두 나타낸다. 즉, 문장 유형에 따른 성조 굴절 변화가 없다. 하강조 동사는 제일 많이는 5가지 문장 유형의 변화를 나타낼 수 있고, 평조 동사는 3가지 문장 유형의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 고평조동사는 성조 굴절로 문장 유형의 변화를 나타내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
| 줄 165: | 줄 165: | ||
| 예: thɔ42tsɔ44→thɔ42tsɔ35 '쪼아먹다’ | 예: thɔ42tsɔ44→thɔ42tsɔ35 '쪼아먹다’ | ||
| - | ## 동사-명사 동형 | + | ### 동사-명사 동형 |
| (1) AA형: 동사와 명사의 형태가 완전히 같은 단어. 이런 단어는 소수이다. | (1) AA형: 동사와 명사의 형태가 완전히 같은 단어. 이런 단어는 소수이다. | ||
| 줄 171: | 줄 171: | ||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16)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16) | ||
| mi44 mi31/35 a44 nɛ33. | mi44 mi31/35 a44 nɛ33. | ||
| - | fire extinguish PTCL DEC | + | fire extinguish PTCL DEC |
| + | 불이 꺼졌다.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