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jinuo:2_wordclass:25_adv:25_adv [2018/08/17 11:40] 박성하 [어기부사] |
doc:jinuo:2_wordclass:25_adv:25_adv [2018/08/17 20:06] (현재) 박은석 [방식부사] |
||
|---|---|---|---|
| 줄 3: | 줄 3: | ||
| 부사는 동사, 형용사를 수식한다. 정도, 범위, 시간, 상태, 부정, 빈도, 방식을 나타내는 부사어로 사용된다. 대부분 부사어+피수식어의 어순이며 소수는 피수식어+부사의 어순을 갖는다. 극소수의 부사는 문두나 문미에 분포한다. | 부사는 동사, 형용사를 수식한다. 정도, 범위, 시간, 상태, 부정, 빈도, 방식을 나타내는 부사어로 사용된다. 대부분 부사어+피수식어의 어순이며 소수는 피수식어+부사의 어순을 갖는다. 극소수의 부사는 문두나 문미에 분포한다. | ||
| - | ## 정도부사 | + | ### 정도부사 |
| (1) ʈʃi54/a44khɯ33ŋje44: 매우, 가장(很,最,十分,极) | (1) ʈʃi54/a44khɯ33ŋje44: 매우, 가장(很,最,十分,极) | ||
| 줄 29: | 줄 29: | ||
| - | ## 범위부사 | + | ### 범위부사 |
| (1) lɯ54/tɯ54/ɯ54: 단지, 다만(仅,只). 수식 명사성 성분에 뒤에 놓거나 수량구 위에 놓는다. | (1) lɯ54/tɯ54/ɯ54: 단지, 다만(仅,只). 수식 명사성 성분에 뒤에 놓거나 수량구 위에 놓는다. | ||
| 줄 51: | 줄 51: | ||
| 2) 동사 앞에 쓰여서 동사와 함께 'khɔ44+동사+mʌ33+상동동사' 구조를 구성한다. 어떤 행위 동작이 매우 적게 발생하거나 혹은 사건이 매우 적게 출현함을 나타낸다. | 2) 동사 앞에 쓰여서 동사와 함께 'khɔ44+동사+mʌ33+상동동사' 구조를 구성한다. 어떤 행위 동작이 매우 적게 발생하거나 혹은 사건이 매우 적게 출현함을 나타낸다. | ||
| - | ## 시간부사 | + | ### 시간부사 |
| 주로 동사 앞에 분포하며, 동사 뒤에 분포하는 경우도 있지만 매우 소수이다. | 주로 동사 앞에 분포하며, 동사 뒤에 분포하는 경우도 있지만 매우 소수이다. | ||
| 줄 154: | 줄 154: | ||
| }}} | }}} | ||
| - | ## 부정부사 | + | ### 부정부사 |
| 부정부사는 mʌ44 “아니다, 아니었다(不, 没)”과 thʌ44 “-지 마라(别, 莫,勿)”의 2종류가 있다. thʌ44는 명령문에만 쓰인다. | 부정부사는 mʌ44 “아니다, 아니었다(不, 没)”과 thʌ44 “-지 마라(别, 莫,勿)”의 2종류가 있다. thʌ44는 명령문에만 쓰인다. | ||
| 줄 173: | 줄 173: | ||
| }}} | }}} | ||
| - | ## 어기부사 | + | ### 어기부사 |
| 지눠어에서 어기부사는 화자의 어기와 감정을 표현한다. | 지눠어에서 어기부사는 화자의 어기와 감정을 표현한다. | ||
| 줄 245: | 줄 245: | ||
| }}} | }}} | ||
| - | ## 방식부사 | + | ### 방식부사 |
| (1) lɛ44 : 도(也) | (1) lɛ44 : 도(也)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