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doc:jinuo:2_wordclass:28_clf:28_clf [2016/06/20 12:15] 박성하 |
doc:jinuo:2_wordclass:28_clf:28_clf [2018/08/17 20:20] (현재) 박은석 [(4) 양사의 어순] |
||
---|---|---|---|
줄 3: | 줄 3: | ||
- 지눠어에서는 명사의 개수와 동사가 나타내는 동작의 횟수를 셀 때 반드시 양사를 사용해야 한다. | - 지눠어에서는 명사의 개수와 동사가 나타내는 동작의 횟수를 셀 때 반드시 양사를 사용해야 한다. | ||
- | ## (1) 명량사 | + | ### (1) 명량사 |
명량사에는 개체양사, 집체양사, 겸용양사등이 있으며, 명량사는 명사에서 유래된 것과 동사에서 유래된 것이 있다. | 명량사에는 개체양사, 집체양사, 겸용양사등이 있으며, 명량사는 명사에서 유래된 것과 동사에서 유래된 것이 있다. | ||
- | ### 1) 개체 양사 | + | #### 1) 개체 양사 |
개체양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반향(反响)양사, 유별양사, 성상양사, 통용양사등으로 구분된다. | 개체양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반향(反响)양사, 유별양사, 성상양사, 통용양사등으로 구분된다. | ||
- | ###### ① 반향(反响)양사 | + | ##### ① 반향(反响)양사 |
반향(反响)양사는 대상 명사와 일부 혹은 전부 동일한 양사로 특정명사를 셀 때만 사용되기 때문에 특정 명사와 일대일의 대응관계이다. 지눠어의 양사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1음절이 대부분이며 2음절도 일부 있다. | 반향(反响)양사는 대상 명사와 일부 혹은 전부 동일한 양사로 특정명사를 셀 때만 사용되기 때문에 특정 명사와 일대일의 대응관계이다. 지눠어의 양사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1음절이 대부분이며 2음절도 일부 있다. | ||
줄 22: | 줄 22: | ||
- | ###### ② 유별양사 | + | ##### ② 유별양사 |
유별양사는 동일한 속성을 명사를 사용하며, [xjo31/li54]와 [mV44]의 두 가지가 있다. [xjo31/li54]는 ‘개’의 의미이며 사람에 쓰인다. [mV44]는 ‘마리, 필’의 의미이며 동물에게 쓰인다. | 유별양사는 동일한 속성을 명사를 사용하며, [xjo31/li54]와 [mV44]의 두 가지가 있다. [xjo31/li54]는 ‘개’의 의미이며 사람에 쓰인다. [mV44]는 ‘마리, 필’의 의미이며 동물에게 쓰인다. | ||
줄 38: | 줄 38: | ||
}}} | }}} | ||
- | ###### ③ 성상양사 | + | ##### ③ 성상양사 |
성상양사는 동일한 성질이나 상태의 명사에 쓰인다. 대표적인 것으로 [itsM44]가 있으며, ‘그루, 뿌리’의 의미를 나타낸다. | 성상양사는 동일한 성질이나 상태의 명사에 쓰인다. 대표적인 것으로 [itsM44]가 있으며, ‘그루, 뿌리’의 의미를 나타낸다. | ||
줄 48: | 줄 48: | ||
}}} | }}} | ||
- | ###### ④ 통용양사 | + | ##### ④ 통용양사 |
통용양사는 개괄성이 강하고 사용빈도가 높으며, 여러 명사와 공기하여 쓰일 수 있는 양사이다. 지눠어의 하나의 통용양사가 있는데, [l944]이며, 이것은 양사 [k_hl931]에서 발생한 것이다. | 통용양사는 개괄성이 강하고 사용빈도가 높으며, 여러 명사와 공기하여 쓰일 수 있는 양사이다. 지눠어의 하나의 통용양사가 있는데, [l944]이며, 이것은 양사 [k_hl931]에서 발생한 것이다. | ||
줄 59: | 줄 59: | ||
- | ### 2) 집체양사 | + | #### 2) 집체양사 |
집체양사에는 정량집체양사와 부정량집체양사가 있는데, 정량집체양사는 [ts954] '쌍, 벌‘ 하나이다. 부정량집체양사는 비교적 많은데 상용되는 것으로는 [tSu44] 무리, [tSu54] 가족 등이 있다. | 집체양사에는 정량집체양사와 부정량집체양사가 있는데, 정량집체양사는 [ts954] '쌍, 벌‘ 하나이다. 부정량집체양사는 비교적 많은데 상용되는 것으로는 [tSu44] 무리, [tSu54] 가족 등이 있다. | ||
- | ### 3) 겸용양사 | + | #### 3) 겸용양사 |
겸용양사에는 유관 도구, 기계에서 차용된 양사와 동사에서 차용된 양사가 있다. | 겸용양사에는 유관 도구, 기계에서 차용된 양사와 동사에서 차용된 양사가 있다. | ||
줄 68: | 줄 68: | ||
[ts_hV31z044 t_hi44 k_hjE44] | [ts_hV31z044 t_hi44 k_hjE44] | ||
people one canoe | people one canoe | ||
- | 한 배의 사람 (一船人) | + | 사람 한 배 (一船人) |
}}} | }}} | ||
줄 74: | 줄 74: | ||
[xja54l044 t_hi44 t_h931] | [xja54l044 t_hi44 t_h931] | ||
thing one CL | thing one CL | ||
- | 한 보따리 물건 | + | 물건 한 보따리 |
}}} | }}} | ||
- | ## (2) 동량사 | + | ### (2) 동량사 |
지눠어의 동량사에는 모든 동작동사와 함께 쓰일 수 있는 [la54]와 [tØ44]가 있다. [la54]는 ‘한번 ~하다.’의 뜻이며 동작을 세는 것 외에 동작에 ‘상’적 의미를 부가하는데, ‘시간의 짧음’, ‘양의 적음’, ‘시도’를 나타낸다. [tØ44]는 ‘회, 차, 번’의 뜻이며, 어떤 동작이 시간 내에 출현하거나 발생한 횟수를 나타낸다. | 지눠어의 동량사에는 모든 동작동사와 함께 쓰일 수 있는 [la54]와 [tØ44]가 있다. [la54]는 ‘한번 ~하다.’의 뜻이며 동작을 세는 것 외에 동작에 ‘상’적 의미를 부가하는데, ‘시간의 짧음’, ‘양의 적음’, ‘시도’를 나타낸다. [tØ44]는 ‘회, 차, 번’의 뜻이며, 어떤 동작이 시간 내에 출현하거나 발생한 횟수를 나타낸다. | ||
줄 90: | 줄 90: | ||
[t_hi33 tØ44 le33] | [t_hi33 tØ44 le33] | ||
one CL go | one CL go | ||
- | 한번 가다 | + | 한번 가다. |
}}} | }}} | ||
- | ## (3) 양사의 중첩 | + | ### (3) 양사의 중첩 |
지눠어의 양사는 중첩할 수 있으며, 형태중첩뿐만 아니라 통사중첩도 가능하다. | 지눠어의 양사는 중첩할 수 있으며, 형태중첩뿐만 아니라 통사중첩도 가능하다. | ||
- | ###### 양사의 형태적 중첩 | + | #### 양사의 형태적 중첩 |
형태중첩의 주요 기능은 ‘모든’의 의미를 가지는 4음격사가 된다. 예를 들어, ‘모든 사람(每一个人)’이며, 중첩 음의 형태는 ‘A + tʃhʌ33+ a-A(a는 구조배음)’이다. | 형태중첩의 주요 기능은 ‘모든’의 의미를 가지는 4음격사가 된다. 예를 들어, ‘모든 사람(每一个人)’이며, 중첩 음의 형태는 ‘A + tʃhʌ33+ a-A(a는 구조배음)’이다. | ||
줄 114: | 줄 114: | ||
}}} | }}} | ||
- | ###### 양사의 통사적 중첩 | + | #### 양사의 통사적 중첩 |
지눠어 양사에는 비교적 특수한 통사중첩 현상이 있으며, 중첩된 양사는 문장의 술어로 쓰일 수 있다. | 지눠어 양사에는 비교적 특수한 통사중첩 현상이 있으며, 중첩된 양사는 문장의 술어로 쓰일 수 있다. | ||
줄 121: | 줄 121: | ||
khɯ44jo44 thi33 mʌ44 mʌ44 ɯ54/tɯ54/lɯ54. | khɯ44jo44 thi33 mʌ44 mʌ44 ɯ54/tɯ54/lɯ54. | ||
dog one CL CL only | dog one CL CL only | ||
- | 한 마리의 개만이 있다. (주인은 밖에 있다.) (只有一只狗在。) | + | 개 한 마리만 있다. (주인은 밖에 있다.) (只有一只狗在。) |
}}} | }}} | ||
- | ## (4) 양사의 어순 | + | ### (4) 양사의 어순 |
- | ###### 명량사의 어순: 명사+수사+명량사 | + | #### 명량사의 어순: 명사+수사+명량사 |
명사를 셀 때에는 ‘명사+수사+명량사’로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 명사를 셀 때에는 ‘명사+수사+명량사’로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92)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92) | ||
- | ŋa31zɔ44 thi33mʌ44 | + | ŋa31zɔ44 thi33 mʌ44 |
bird one CL | bird one CL | ||
새 한 마리 | 새 한 마리 | ||
}}} | }}} | ||
- | ###### 동량사의 어순: 수사+동량사+동사 | + | #### 동량사의 어순: 수사+동량사+동사 |
동사를 셀 때에는 ‘수사+동량사+동사’로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 동사를 셀 때에는 ‘수사+동량사+동사’로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92)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92) | ||
- | thi33tsɔ44(tsɔ44) | + | thi33 tsɔ44 (tsɔ44) |
one CL eat | one CL eat | ||
한 끼를 먹다. | 한 끼를 먹다. | ||
}}} | }}} | ||
- | ###### 양사와 지시대명사의 어순: 명사+지시대명사+수사+양사 | + | #### 양사와 지시대명사의 어순: 명사+지시대명사+수사+양사 |
3) 양사와 지시대명사가 함께 명사를 수식할 때에는 그 기본어순은 ‘명사+지시대명사+수사+양사’이다. 그러나 ‘지시대명사+명사+수사+양사’로 나타내기도 한다. | 3) 양사와 지시대명사가 함께 명사를 수식할 때에는 그 기본어순은 ‘명사+지시대명사+수사+양사’이다. 그러나 ‘지시대명사+명사+수사+양사’로 나타내기도 한다. |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92)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92) | ||
- | tshʌ31zɔ44xji33sø44xjo31 | + | tshʌ31zɔ44 xji33 sø44 xjo31 |
people this three CL | people this three CL | ||
- | 이 세 사람 | + | 사람 이 세명 |
}}} | }}} |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93)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93) | ||
- | xji33tshʌ31zɔ44sø44xjo31 | + | xji33 tshʌ31zɔ44 sø44 xjo31 |
this people three CL | this people three CL | ||
- | 이 세 사람 | + | 이 사람 세명 |
}}} | }}} | ||
- | ###### 양사와 의문대사의 어순: 명사+의문대명사+명량사, 의문대명사+동량사+동사 | + | #### 양사와 의문대사의 어순: 명사+의문대명사+명량사, 의문대명사+동량사+동사 |
4) 양사와 의문대사가 공기하여 쓰이는 경우 명량사와 의문대사는 ‘명사+의문대명사+명량사’의 어순으로 나타내고, 동량사와 의문대사는 ‘의문대명사+동량사+동사’의 어순으로 나타낸다. 각각의 예문은 다음과 같다. | 4) 양사와 의문대사가 공기하여 쓰이는 경우 명량사와 의문대사는 ‘명사+의문대명사+명량사’의 어순으로 나타내고, 동량사와 의문대사는 ‘의문대명사+동량사+동사’의 어순으로 나타낸다. 각각의 예문은 다음과 같다. |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93)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93) | ||
nʌ31 jia54 jo31mɛ33 ŋɯ54pø44 mʌ44 xju31 tɔ44 a33ŋja31/53? | nʌ31 jia54 jo31mɛ33 ŋɯ54pø44 mʌ44 xju31 tɔ44 a33ŋja31/53? | ||
- | 2.SG PTCL cat Q.how many CL keep PTCL Q.PTCL | + | 2SG PTCL cat Q CL keep PTCL Q |
- | 고양이 몇 마리 키우니? (명사+의문대명사+명량사) | + | 너는 고양이 몇 마리 키우니? (명사+의문대명사+명량사) |
}}} | }}} |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93)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93) | ||
- | nʌ31 pɤ31tɕi44 va44 ŋɯ54pø44tø44 le33 tɔ44 a33ŋja31/53? | + | nʌ31 pɤ31tɕi44 va44 ŋɯ54pø44 tø44 le33 tɔ44 a33ŋja31/53? |
- | 2.SG beijing LOC Q.how often CL go Q.PTCL FP | + | 2SG beijing LOC Q CL go PTCL Q |
너는 북경에 몇 번 가봤어? (의문대명사+동량사+동사) | 너는 북경에 몇 번 가봤어? (의문대명사+동량사+동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