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jinuo:2_wordclass:36_ptcl:36_ptcl [2018/08/17 14:07] 박성하 [18) mʌ44 : 수혜자나 접수자, 단일목적어를 가지는 동사를 이중목적어 동사로 바꾸어 주는 기능(双及物化)] |
doc:jinuo:2_wordclass:36_ptcl:36_ptcl [2021/01/20 21:49] (현재) 박은석 [16) jɔ44] |
||
|---|---|---|---|
| 줄 3: | 줄 3: | ||
| - 지누어의 첨사는 구조조사와 어기조사로 나누어서 살펴볼 수 있다. | - 지누어의 첨사는 구조조사와 어기조사로 나누어서 살펴볼 수 있다. | ||
| - | ## (1) 구조조사 | + | ### (1) 구조조사 |
| 문장성분이나 문장성분간의 관계를 표시하는 허사이다. | 문장성분이나 문장성분간의 관계를 표시하는 허사이다. | ||
| - | ### 1) 관계격조사 | + | #### 1) 관계격조사 |
| ɤ33(혹은 loe33) : 주어와 술어연결, mjɑ33 : 복합술어, 단문간의 연결, xɔ44ɔ33 : 앞 뒤의 어기 연결(就) | ɤ33(혹은 loe33) : 주어와 술어연결, mjɑ33 : 복합술어, 단문간의 연결, xɔ44ɔ33 : 앞 뒤의 어기 연결(就) | ||
| - | ### 2) 관형격 조사 | + | #### 2) 관형격 조사 |
| mɤ44 : 관형어 역할을 하는 형용사, 동사, 구, 문장 뒤에 분포, 때로는 명사화 기능을 함. | mɤ44 : 관형어 역할을 하는 형용사, 동사, 구, 문장 뒤에 분포, 때로는 명사화 기능을 함. | ||
| - | ### 3) 부사격 조사 | + | #### 3) 부사격 조사 |
| ɛ44(tɛ42) : 형용사가 부사어로 기능하며 중심어 앞에 분포할 경우 | ɛ44(tɛ42) : 형용사가 부사어로 기능하며 중심어 앞에 분포할 경우 | ||
| - | ### 4) 상(표지)조사, 태조사 : | + | #### 4) 상(표지)조사, 태조사 : |
| 동사의 상, 태 참고 | 동사의 상, 태 참고 | ||
| - | ## (2) 어기조사 | + | ### (2) 어기조사 |
| - | ### 1) 진술 | + | #### 1) 진술 |
| 진술을 나타내는 어기조사 : noe33, fɑ44, lɑ55, m55 | 진술을 나타내는 어기조사 : noe33, fɑ44, lɑ55, m55 | ||
| - | ### 2) 명령 | + | #### 2) 명령 |
| 명령을 나타내는 어기조사 : m42, o44 | 명령을 나타내는 어기조사 : m42, o44 | ||
| - | ### 3) 의문 | + | #### 3) 의문 |
| 의문을 나타내는 어기조사 : lɑ42, ᶇɑ44, ɛ44 | 의문을 나타내는 어기조사 : lɑ42, ᶇɑ44, ɛ44 | ||
| - | ### 4) 문장유형과 관련된 어기조사 | + | #### 4) 문장유형과 관련된 어기조사 |
| ① a33, nɛ33 : 진술 문미조사, 서로 바꾸어 쓸 수 있다. | ① a33, nɛ33 : 진술 문미조사, 서로 바꾸어 쓸 수 있다. | ||
| 줄 41: | 줄 41: | ||
| ④ o33, ɛ33, ka31, tʌ31, ŋjɯ53 : 명령, 청유 문미조사. | ④ o33, ɛ33, ka31, tʌ31, ŋjɯ53 : 명령, 청유 문미조사. | ||
| - | ### 5) kɤ33(ɤ33) : 화제표지 | + | #### 5) kɤ33(ɤ33) : 화제표지 |
| - | ### 6) va44 | + | #### 6) va44 |
| ① 명사성 성분 뒤에 쓰여, 동작이 지향하는 것 또는 동작의 영향을 받는 대상을 나타낸다. 문장의 주어나 목적어가 될 수 있다. | ① 명사성 성분 뒤에 쓰여, 동작이 지향하는 것 또는 동작의 영향을 받는 대상을 나타낸다. 문장의 주어나 목적어가 될 수 있다. | ||
| 줄 83: | 줄 83: | ||
| }}} | }}} | ||
| - | ### 7) jʌ33 | + | #### 7) jʌ33 |
| ① 명사성 성분 뒤에 위치하여 도구격조사로 쓰이며 생략 가능하다. | ① 명사성 성분 뒤에 위치하여 도구격조사로 쓰이며 생략 가능하다. | ||
| 줄 109: | 줄 109: | ||
| }}} | }}} | ||
| - | ### 8) ja54 | + | #### 8) ja54 |
| ① ‘소유자+ja54+소유물’의 순서로 소유를 나타내는 조사이다. | ① ‘소유자+ja54+소유물’의 순서로 소유를 나타내는 조사이다. | ||
| 줄 183: | 줄 183: | ||
| }}} | }}} | ||
| - | ### 9) mɤ33 | + | #### 9) mɤ33 |
| ① 명사화 | ① 명사화 | ||
| 줄 233: | 줄 233: | ||
| }}} | }}} | ||
| - | ### 10) 부사어조사(상태) | + | #### 10) 부사어조사(상태) |
| - 지누어에는 ‘차례대로, 일일이, 하나하나씩’을 나타내는 구성으로 “thi44+양사+thi44+양사”와 “kɔ33+양사+kɔ33+양사”가 있다. | - 지누어에는 ‘차례대로, 일일이, 하나하나씩’을 나타내는 구성으로 “thi44+양사+thi44+양사”와 “kɔ33+양사+kɔ33+양사”가 있다. | ||
| 줄 253: | 줄 253: | ||
| }}} | }}} | ||
| - | ### 11) 상표지 조사 | + | #### 11) 상표지 조사 |
| - | ɛ33 : 미래상 | + | - ɛ33 : 미래상 |
| - | mʌ35 : 임박상 | + | - mʌ35 : 임박상 |
| - | ʌ44 : 완료상 | + | - ʌ44 : 완료상 |
| - | kɔ33 : 진행상 | + | - kɔ33 : 진행상 |
| - | tɔ44 : 지속상, 경험상 | + | - tɔ44 : 지속상, 경험상 |
| - | ### 12) vi44 | + | #### 12) vi44 |
| ① 화자의 바람, 의지: 주로 명령문에서 사용되고 화자가 (어떠한 힘을 빌어) 어떤 상황이 출현하기를 희망함을 표현하며 생략 가능하다. | ① 화자의 바람, 의지: 주로 명령문에서 사용되고 화자가 (어떠한 힘을 빌어) 어떤 상황이 출현하기를 희망함을 표현하며 생략 가능하다. | ||
| 줄 291: | 줄 291: | ||
| }}} | }}} | ||
| - | ### 13) 증거성 | + | #### 13) 증거성 |
| ① ɛ54mɤ33 : 물말에 위치하여“듣자하니, 들은 바로는...”의 의미를 나타낸다. | ① ɛ54mɤ33 : 물말에 위치하여“듣자하니, 들은 바로는...”의 의미를 나타낸다. | ||
| 줄 297: | 줄 297: | ||
| ② tʃe31 : 누가 직접 말해준 것임을 의미한다. | ② tʃe31 : 누가 직접 말해준 것임을 의미한다. | ||
| - | ### 14) 상호태 | + | #### 14) 상호태 |
| ① po31 : 동사 뒤에 위치하여 싸우지 않는 ‘서로’를 나타낸다. | ① po31 : 동사 뒤에 위치하여 싸우지 않는 ‘서로’를 나타낸다. | ||
| 줄 315: | 줄 315: | ||
| }}} | }}} | ||
| - | ### 15) pɔ31 : 명사 혹은 대명사 뒤에서 동작이나 행위의 위치 및 방향을 나타낸다. | + | #### 15) pɔ31 |
| - | (youl1235 蒋光友2010:193) | + | |
| + | 명사 혹은 대명사 뒤에서 동작이나 행위의 위치 및 방향을 나타낸다. | ||
| + | |||
| +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93) | ||
| khɯ44jo44 ŋo31 pɔ31 tʃø33 la54 kɔ33 nɛ33 | khɯ44jo44 ŋo31 pɔ31 tʃø33 la54 kɔ33 nɛ33 | ||
| - | dog 1SG LAT run come PROG DEC | + | dog 1SG LAT run come PROG DEC |
| 개가 나를 향해 달려온다. | 개가 나를 향해 달려온다. | ||
| + | }}} | ||
| - | ### 16) jɔ44 : 용도, 목적을 나타낸다. ‘동사+jɔ44’는‘ 문장에서 관형어로 전치와 후치가 모두 가능. 따라서 jɔ44는 용도, 목적의미 외에 동사를 관계화 시켜 관형어로 만드는 기능도 가진다. | + | #### 16) jɔ44 |
| + | |||
| + | 용도, 목적을 나타낸다. ‘동사+jɔ44’는‘ 문장에서 관형어로 전치와 후치가 모두 가능. 따라서 jɔ44는 용도, 목적의미 외에 동사를 관계화 시켜 관형어로 만드는 기능도 가진다. | ||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94)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94) | ||
| a44mɛ44 tsɔ44 jɔ44 khlɛ31 tʃhi44 khlɔ33 jɔ44! | a44mɛ44 tsɔ44 jɔ44 khlɛ31 tʃhi44 khlɔ33 jɔ44! | ||
| - | meal eat REL table above put well | + | meal eat REL table above put well |
| 밥 먹는 상을 잘 놓아라. | 밥 먹는 상을 잘 놓아라. | ||
| }}} | }}} | ||
| 줄 331: | 줄 337: | ||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94)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94) | ||
| khlɛ31 a44mɛ44 tsɔ44 jɔ44 tʃhi44 khlɔ33 jɔ44! | khlɛ31 a44mɛ44 tsɔ44 jɔ44 tʃhi44 khlɔ33 jɔ44! | ||
| - | table meal eat REL table put well | + | table meal eat REL table put well |
| - | 탁자 밥 먹다 는 상 놓다 잘하다 | + | |
| 밥 먹는 상을 잘 놓아라. | 밥 먹는 상을 잘 놓아라. | ||
| }}} | }}} | ||
| - | ### 17) jo44 : 명사성 성분 뒤에 위치하여 “~에 따르면, ~과 같이”의 의미를 나타낸다. | + | #### 17) jo44 |
| + | |||
| + | 명사성 성분 뒤에 위치하여 “~에 따르면, ~과 같이”의 의미를 나타낸다. | ||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94)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94) | ||
| 줄 344: | 줄 351: | ||
| }}} | }}} | ||
| - | ### 18) mʌ44 : 수혜자나 접수자, 단일목적어를 가지는 동사를 이중목적어 동사로 바꾸어 주는 기능(双及物化) | + | #### 18) mʌ44 |
| + | |||
| + | 수혜자나 접수자, 단일목적어를 가지는 동사를 이중목적어 동사로 바꾸어 주는 기능(双及物化) | ||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95)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9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