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jinuo:4_ss:41_cl:41_cl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jinuo:4_ss:41_cl:41_cl [2016/06/18 19:00]
박은석
doc:jinuo:4_ss:41_cl:41_cl [2018/08/17 20:39] (현재)
박은석 [정렬(alignment)]
줄 1: 줄 1:
 # 41_cl : 절(clause) # 41_cl : 절(clause)
  
-## 핵심 논항 구별 방법+### 핵심 논항 구별 방법
  
 지눠어에서는 단순절의 주어는 어순을 통해 구별한다. 그렇지만 목적어의 경우 일반적으로 목적격 조사 '​va44'​를 부가하여 구별하며(flagging) 만약에 의미가 명확한 경우에는 목적격 조사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 지눠어에서는 단순절의 주어는 어순을 통해 구별한다. 그렇지만 목적어의 경우 일반적으로 목적격 조사 '​va44'​를 부가하여 구별하며(flagging) 만약에 의미가 명확한 경우에는 목적격 조사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
줄 12: 줄 12:
 }}} }}}
  
-## 정렬(alignment)+### 정렬(alignment)
 지눠어는 주격/​대격 정렬을 사용한다. ​ 지눠어는 주격/​대격 정렬을 사용한다. ​
 아래의 예문들에서 자동문의 주어와 타동문의 행위자 주어가 모두 어떤 표지를 취하지 않고 문두에 출현하였으며,​ 타동문의 피행위자 목적어는 목적격조사 '​va44'​를 취했음을 볼 수 있다.  ​ 아래의 예문들에서 자동문의 주어와 타동문의 행위자 주어가 모두 어떤 표지를 취하지 않고 문두에 출현하였으며,​ 타동문의 피행위자 목적어는 목적격조사 '​va44'​를 취했음을 볼 수 있다.  ​
-     +
 {{{eg>​youl1235 (gaixingzhi2007:​961) {{{eg>​youl1235 (gaixingzhi2007:​961)
 xo42    tɕhi442 ​  ​phjə33 ​       ​ xo42    tɕhi442 ​  ​phjə33 ​       ​
줄 22: 줄 22:
 }}}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52) ​+ 
 +{{{eg>​youl1235 (jiangguangyou2010:​52)
 a44mɔ33 ​  ​zɔ44ku44 ​  ​va44 ​       tʃhi44/​33 ​     mjʌ33/​53 ​  ​thi44la54 ​ po54   nɛ33 a44mɔ33 ​  ​zɔ44ku44 ​  ​va44 ​       tʃhi44/​33 ​     mjʌ33/​53 ​  ​thi44la54 ​ po54   nɛ33
 mother ​  ​child ​   ACC      embrace ​   after    once(一下) ​   kiss   ​DEC ​ mother ​  ​child ​   ACC      embrace ​   after    once(一下) ​   kiss   ​DEC ​
 엄마가 아이를 안고 한번 뽀뽀했다. 엄마가 아이를 안고 한번 뽀뽀했다.
 }}} }}}
doc/jinuo/4_ss/41_cl/41_cl.146624404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6/06/18 19:00 저자 박은석